-핸드폰 진동원리-
핸드폰 진동이 엄청 센데, 혹시 큰 구슬이라도 달려 있는 걸까?
핸드폰 진동은 모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모터의 위쪽에 금속 추가 달려 있다.
추는 반원 모양으로 좌우가 비대칭이다. 비대칭 모양의 추 때문에 무게중심이
안맞아서 진동이 생기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은 한쪽 팔을 뻗어서 가방을 잡고 한 사람은 그대로 빙글 빙글
돌아본다. 가방을 든 사람은 똑바로 돌 수가 없다. 몸이 바깥으로 쏠려서 그렇다.
그게 바로 진동 모터의 원리이다. 핸드폰 진동의 원리는 진동 모터의 회전과 관
계가 있는데, 모터에 달린 비대칭의 추 때문에 무게가 쏠려 진동한다.
모터 중심축에서 추가 멀수록, 모터의 속도가 빠를수록, 추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더 큰 진동이 생긴다. 회전체가 원형일 때 좌우 대칭이라 무게 중심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자리에서 돈다. 회전체가 비대칭일 때 무거운 쪽으로 당기는 힘이 발
생해 중심축이 어긋나 진동한다.
그 전동모터에 휴대폰 회로(Base Band)에서 3~5V의 전원을 공급하면 High-Low에 의한 전극(+,-)이 형성되어 모터가 동작을
합니다.이때 휴대폰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일반적으로 Vibrator 라고함)의 앞쪽에는 반달 모양으로된 기구물이 장착되어 있고 반달모양으로
장착된 기구물(Vibrator)이 회전운동을 하면서 휴대폰 사용자는 진동 하는것으로 느끼게 된다.
-인체에 끼치는 영향-
1.목에 거는 핸드폰 경부통 유발 원인이 된다.
요즘 젊은 직장인들과 대학생 가운데는 앙증맞은 휴대폰을 목에 걸고 다니는 사람이 많이 있다. 누구는 편리해서, 누구는 목걸이같은 장식품처럼 휴대폰을 건다. 하지만 한림의대 한강성심병원 장기언교수[재활의학과]는 자칫 이런 습관이 목뼈 주위의
근육들과 어깨근육들을 긴장시켜 통증을 일으키는 '신경성 경부통'을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긴장성 경부통이 생기는 이유
목걸이 휴대폰으로 나온 대부분의 단말기는 실제 무게가 대단히 가벼워 목에걸어도 별
부담은 없다. 그러나 인체의 목 부위는 위치감각,운동감각,촉각,통각 등의 감각기관이 매우
발달해 있는 민감한 곳으로 아무리 무게가 가볍더라도 어떤 물체가 걸려 있으면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주변 근육이긴장하게 된다. 목의 긴장은
흔히 자세변화를 일으키는데 대개 목을 앞으로내밀거나 숙이는 경향이 커진다. 그리고 이런 자세는 긴장성 경부통을 일으키는 ‘경추(목뼈)직선화’와
‘경추전만의 감소’가 될 가능성을 높인다.
*근막통증증후군과 경추추간판탈출증의 위험까지
정상적인 목뼈는 옆에서 보았을 때 앞으로
약간 볼록한 곡선(경추전만)을 이룬다. 그리고 이 같은 경추전만은 목을 내밀거나 숙일 때 감소해 경추직선화상태가 된다. 경추직선화는 목뼈 주위의
근육들과 어깨근육들을 긴장시키고뻣뻣하게 만들어 경부통을 유발하는데 특히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심할수록더 빨리 더 심하게 나타난다. 한편 긴장성
경부통은 이후 목근육이나 어깨근육에 심한 국소근육통과 어깨,팔로의 방사통까지 느껴지는 ‘근막통증증후군’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런 상태를 계속
방치하면 경추의 디스크에도 영향을 주어 ‘경추추간판탈출증’도 생길 수 있다.
2. 주파수의 성질에 따른 영향
전자기파는 얼마나 빠르게 진동하느냐(이를 주파수라 부른다.)에 따라서 그 성질이 크게 달라진다. 예를 들면 1초에 24억5천만번
진동하는 전자기파 (마이크로파의 일종)는 물에 강하게 흡수되어 물분자를 빠르게 진동시키는 일을 한다. 그 결과로 물을 포함하는 물질의 온도를 급격히 올리는 작용을 한다. 이를
이용하여 음식을 가열하는 것이 전자레인지이다. 따라서, 1초에 24억5천만번 진동하는
전자기파가 우리 몸에 쪼여 진다면 몸에 해를 입힐 가능성이 크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런데, 핸드폰에서 사용하는 전자파는 1초에 약
10억번 진동하는 마이크로파 이다. 요즘에는 핸드폰 사용자가 많아져 통화 채널 수를 늘려야
할 필요가 생겨서 핸드폰 주파수를 1초에 24억번 (전자 오븐과 거의 같다!) 으로 높이려 하고 있다. 시간당 데이터 수송율이 빨라 지므로
전송되는 음성이 더 좋고 데이터 전송도 빨라지는 장점이 있다.
즉, 극저주파 가 아니라 전자레인지에서 사용하는 전자파와 비슷한 주파수대인
것이다. 바로 이 점이 핸드폰에서 방출하는 전자파의 유해 가능성을 시사한다. 얼마 전, 북구의 유명 핸드폰 제조업체가 핸드폰 전자파로부터
보호하는 장치를 개발했다는 소식은 더욱 의심스럽게 한다.
핸드폰 자체에서 나오는 출력이 크지 않으므로 해롭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큰 건물 옥상에 설치되어 있는 기지국, 중계국 주변의 전파는 약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 주변에서 오래동안 생활해야 하는
사람들에게 아무런 해가 없을지? 물리학적 관점에서 보자면, 핸드폰에 사용되는 전자파는 해를 끼칠 가능성이 있다.
분명한 것은 마이크로파의
인체에 대한 유해성에 대한 실험 검증이 체계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전자파와 같이 휴대폰은 우리몸에 해롭다 전자파도 많이 나와서 몸에 안좋지만 진동으로 인한 질병도 많이 늘어나고있다 가급적이면 진동보다는 벨,또는 무음이 더났고 전화는 수신보다는 발신할때 전자파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조심하여야한다.
첫댓글 수고했어요. 0.3점 추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