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7:54
복음을 증거한 스데반이 순교했습니다. 교회의 첫 순교자에요. 이후 기독교 역사는 순교의 역사였고, 지금도 진행 중입니다. 한 사람의 죽음은 인생의 종말이고, 더욱이 순교는 비참한 단명으로 여겨집니다. 그렇다면 하나님은 이 일을 어떻게 보셨을까? 이 일로 우리는 무엇을 배워야 할까? Sudevan, who proved the gospel, was martyred. He was the first martyr of the church. Since then, Christian history has been and is still in progress. The death of a person is the end of life, and furthermore, martyrdom is considered a miserable short-lived. So how did God see this? What should we learn from this?
-
사도행전은 초기 기독교의 역사를 서술하는 문헌입니다. 복음이 예루살렘에서 시작해서 유대와 사마리아와, 멀리 로마까지 확장되는 드라마를 여기서 읽을 수 있습니다. 사도행전에는 여러 인물이 등장합니다. 대표적으로는 베드로와 바울입니다. 앞부분에서는 베드로가 중심인물로 나오고, 그 뒤로는 바울이 중심인물로 나옵니다. 그 사이에 몇몇 사람들이 나오는데, 그 중의 한 사람이 스데반입니다. The Acts of the Apostles is a document describing the history of early Christianity. You can read the drama that the gospel begins in Jerusalem and extends to Judea and Samaria, and Rome in the distance. The Acts of the Apostles feature many characters. Peter and Paul are representative. In the front part, Peter is the main character, followed by Paul. In the meantime, several people come out, one of whom is Sudevan.
-
다른 인물들의 이야기보다 스데반 이야기가 특히 강렬합니다. 초기 예루살렘 교회는 12사도 외에 일곱 명의 지도자를 세웠는데, 그 중의 한 인물이 스데반입니다. 그는 사도에 버금가는 영적 권위를 가진 최초의 순교자입니다. 스데반은 누명을 쓴 채 종교재판을 받기 위해서 산헤드린 공회에 끌려갔습니다(6:8). 예수님이 재판을 받던 장면과 비슷합니다. 대제사장은 스데반에게 자신을 변론해보라고 말했습니다. 행 7:2절 이하에서 스데반은 긴 설교를 합니다. The story of Sudevan is particularly powerful than that of other characters. In addition to the 12 apostles, the early Church of Jerusalem had seven leaders, one of whom was Sudevan. He was the first martyr to have a spiritual authority comparable to that of an apostle. Sdevan was framed and taken to the Sanhedrin Convention for religious trial (6:8). It is similar to the scene where Jesus was tried. The high priest told Sdevan to plead himself. Below line 7:2, Sdevan gives a long sermon.
-
아브라함부터 시작해서 이집트 생활과 광야, 그리고 모세 이야기를 거쳐 이스라엘의 왕조까지 거론합니다. 이스라엘이 역사적으로 하나님의 뜻을 거부했다는 사실과 그들이 결국 예수까지 죽였다는 사실이 메시지의 핵심입니다. 그의 변론을 들은 사람들은
기분이 상했습니다. 스데반을 향한 그들의 분노가 하늘을 찌를 듯이 높아지면서 오늘날 대법원이라 할 산헤드린 공회의 분위기가 험악해졌습니다. 그 뒤의 사건 전개가 오늘 본문의 내용입니다. 종교 당국자들은 스데반의 설교를 듣고 마음이 찔렸습니다. Starting with Abraham, we talk about life in Egypt, the wilderness, the story of Moses, and even the dynasty of Israel. The core of the message is the fact that Israel historically rejected God's will and that they eventually killed Jesus. Those who heard his argument said I was offended. As their anger against Sudevan rose to the sky, the atmosphere of the Sanhedrin Convention, which is now called the Supreme Court, became harsh. The development of the incident behind it is the content of today's text. Religious officials were impressed by Sudevan's sermon.
-
그러면 메시아를 죽인 죄를 회개하고 복음을 믿어야 할 텐데, 이를 갈면서 더욱 증오와 적의를 키웠습니다. 일촉즉발 순간에 스데반은 성령에 사로잡혀서 특별한 현상을 목도합니다. 그 현상은 기독교 신앙의 요체입니다. “스데반이 성령 충만하여 하늘을 우러러 주목하여 하나님의 영광과 및 예수께서 하나님 우편에 서신 것을 보고 말하되 보라 하늘이 열리고 인자가 하나님 우편에 서신 것을 보노라 한 대(7:55,56) “ Then he would have to repent for the crime of killing the Messiah and believe in the gospel, but by grinding his teeth, he grew more hatred and hostility. At a flashpoint, Sudevan was captured by the Holy Spirit and witnessed a special phenomenon. This phenomenon is the essence of Christian faith. "Seeing the glory of God and Jesus' correspondence to God's mail by paying attention to the fullness of the Holy Spirit and looking up to heaven, he said, Look at the glory of God and the letter of Jesus to God's mail (7:55,56) "
-
스데반이 죽음 직전에 본 아주 특이한 장면입니다. 스데반은 자기가 본 것을 이렇게 외쳤습니다. ‘나는 하늘이 열리고 인자가 하나님 우편에 서신 것을 본다.’ 그가 본 하나님의 영광을 ‘하늘이 열린 것’이라고 묘사했고, 예수님을 ‘인자’로 묘사했습니다. 같은 이야기입니다. 예수 그리스도가 하나님과 동일한 영적 권위를 갖고 있다는 뜻입니다. 유대인들에게는 이런 말이 신성 모독으로 들렸습니다. 거기 모였던 사람들은 스데반을 용서할 수 없었습니다. This is a very unusual scene that Sudevan saw just before his death. Sudevan shouted what he saw. 'I see that the sky is open and the Son of Man corresponds to the mail of God.' He described the glory of God that he saw as 'the sky is open' and described Jesus as 'the Son of Man.' It's the same story. It means that Jesus Christ has the same spiritual authority as God. To the Jews, these words sounded blasphemy. The people who gathered there could not forgive Sudevan.
-
그들은 광적인 상태에서 고함을 치고, 스데반의 말을 거부한다는 뜻으로 귀를 틀어막으면서 스데반에게 달려들어 린치를 가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스데반을 예루살렘 밖 한적한 곳으로 끌어내어 돌로 쳤습니다. 그 상황이 어땠을지는 우리가 상상할 수 있습니다. 유대교 율법에는 죄인을 돌로 쳐서 죽이는 전통이 나와 있습니다. 고대에는 민족마다 사형 방법이 달랐습니다. 우리나라는 주로 사약이나 참수형을 시행했습니다. 아주 특별한 경우에는 능지처참, 거열형이 처해졌습니다. They shouted in a maniacal state and began to lynch Sudevan, clapping their ears to mean they were refusing to speak. They dragged Sudevan out of Jerusalem into a secluded place and stoned him. We can imagine what that situation was like. Judaism has a tradition of killing sinners by stoning them. In ancient times, different peoples used to death penalty different methods. Korea mainly carried out lethal injection and beheadings. On very special occasions, he was sentenced to death by neungji chucham or Geoyeol.
-
여호수아 7장에 아간 이야기가 나옵니다. 아간은 이스라엘이 출애굽 이후 광야 시절을 거쳐 가나안에 들어가면서 일어난 전쟁에서 지켜야 할 명령을 어긴 관계로 돌아 맞아 죽은 인물입니다. 스데반은 돌에 맞아 죽어 가면서 두 마디를 외쳤습니다. 하나는 ‘주 예수여 내 영혼을 받으시옵소서.’이고 다른 하나는 ‘주여 이 죄를 그들에게 돌리지 마옵소서.’입니다. 이 말을 끝으로 그는 숨을 거두었습니다. 지금까지의 이야기는 기독교 역사에서 최초로 순교당한 스데반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Joshua chapter 7 tells the story of Agan. Agan is a man who was beaten to death because Israel violated orders to obey in the war that took place when he entered Canaan through the wilderness after Exodus. Sdeban shouted two words as he was stoned to death. One is 'Lord Jesus, accept my soul' and the other is 'Lord, do not give this sin to them.' With these words, he passed away. The story so far has been about Sdeban, who was martyred for the first time in Christian history.
-
엔도 슈사쿠의 ‘침묵’은 3백년쯤 전 일본 막부시대에 벌어졌던 가톨릭교회의 순교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당시 가톨릭교도들은 ‘후미에’를 밟으라는 강요를 받았습니다. 후미에는 예수상이나 마리아상이 부조된 철판, 또는 목판입니다. 밟고 살아난 사람도 있고, 밟지 않고 죽은 사람도 있습니다. 기독교 신앙을 명시적으로 인정하느냐 아니면 부정하느냐에 따라서 실제 목숨이 갈리는 순교의 시대가 분명히 우리 앞의 역사에 자리했었습니다. Shusaku Endo's Silence is a story about the martyrdom of the Catholic Church, which took place during the Japanese shogunate period about 300 years ago. Catholics were forced to step on the rear at the time. The rear is an iron plate or wooden board with a statue of Jesus or Mary assembled on it. Some survived by stepping on it, while others died without stepping on it. The era of actual life-changing martyrdom was clearly in the history before us, depending on whether we explicitly acknowledge or deny our Christian beliefs.
-
2백 여 년 전 우리나라에 가톨릭교회가 들어올 때도 일본 못지않은 순교자가 나왔습니다. 지금은 아무도 그런 선택을 강요받지 않습니다. 우리는 종교의 자유가 보장된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스데반 이야기는 아득히 먼, 호랑이 담배 피던 시절의 이야기처럼 들립니다. 그러나 순교는 기독교 신앙의 본질입니다. 기독교 영성은 곧 순교의 영성입니다. 오늘 이 시대에 순교가 없다는 것은 기독교 신앙의 본질이 훼손되었다는 증거입니다. 예수를 믿는다는 이유로 돌에 맞아 죽거나 칼에 맞아 죽는 것으로만 순교를 한정 시키면 안 됩니다.
When the Catholic Church entered Korea more than 200 years ago, there were as many martyrs as Japan. No one is forced to make such a choice now. We are living in a time when religious freedom is guaranteed. The Sudevan story sounds like a story from the days of distant, tiger smoking. However, martyrdom is the essence of the Christian faith. Christian spirituality is the spirituality of martyrdom. The absence of martyrdom in this era is proof that the essence of the Christian faith has been undermined. Martyrdom should not be limited to just being stoned or stabbed to death just because you believe in Jesus.
-
기독교 신앙으로 인해서 세상으로부터 배척당하는 모든 것이 순교에 해당됩니다. 오늘의 교회가 세상으로부터 배척 당하지 않는다는 것은 기독교가 신앙의 본질을 망각했거나 세상에 이용당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기독교는 애초부터 세상과 갈등을 겪었고, 이로 인해서 배척을 받았습니다. 그 결과가 바로 예수의 십자가 처형입니다. 기독교 역사는 오랫동안 로마 정권과 대립했습니다.
Everything that is rejected by the world because of the Christian faith is a martyrdom. The fact that today's church is not excluded from the world means that Christianity has either forgotten the essence of the faith or is being used by the world. Christianity was rejected for conflict with the world from the beginning. The result was the crucifixion of Jesus. Christian history has long been at odds with the Roman regime.
-
사도신경은 예수가 로마 총독 본디오 빌라도에게 고난을 받아 십자가에 못 박혀 죽었다는 사실을 적시하고 있다는 데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313년 밀랑 칙령 이후에도 교회의 예배에서 계속 고백되었습니다. 예수의 십자가 처형은 교회와 로마 사이에 뜨거운 감자였습니다. 교회의 입장에서 볼 때 로마의 지원을 받고 있으니 가능하면 이 역사적 사실을 언급하지 않는 게 좋았습니다.
The apostolic nervous system can be confirmed in that it indicates that Jesus was crucified by the Roman Governor-General Bondio Vilado. He continued to be confessed at church services after the Edict of Milang in 313. The crucifixion of Jesus was a hot potato between the church and Rome. From the church's point of view, it was better not to mention this historical fact as much as possible because it was supported by Rome.
-
그런데도 교회가 예수의 십자가 처형을 신앙 고백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으로 삼은 이유는 그것이 교회의 본질에 속했기 때문입니다. 기독교인들은 예수를 그리스도로 믿는 사람들이니 세상과의 불화를 피하지 말아야 합니다. 그들에게 불편한 사람들로 취급 당해야 합니다. 거기서 순교 영성이 시작됩니다. 자연 과학의 시대에 여전히 진화론을 부정하고 아무런 근거가 없는 창조 과학을 주장하는 일부 기독교인들이 있습니다.
Nevertheless, the church made the execution of Jesus' cross the most important content in its confession of faith because it belonged to the essence of the church. Christians believe in Jesus as Christ, so they should not avoid discord with the world. They should be treated as uncomfortable people. That's where the martyrdom spirituality begins. In the age of natural science, there are still some Christians who deny evolution and claim creative science with no basis.
-
일부가 아니라 대형 교회에 속한 교역 자들과 신자들은 대부분 그렇게 주장합니다. 심지어 지구가 6천 년 밖에 되지 않았다는 젊은 지구론을 주장합니다. 자연 과학자들을 비롯해서 상식적으로 세상을 보는 사람들은 교회를 지적으로 유치한 집단으로 여길 수밖에 없습니다. 동성애자들의 집회에 가서 가장 극력하게 반대하는 이들도 기독교인들입니다. 양심적인 대체 군복무 제도를 가장 극력하게 반대하는 이들도 기독교인들입니다.
Most of the traders and believers who belong to large churches, not some, argue that. They even assert the young Earth theory that the Earth is only 6,000 years old. In common sense, people who view the world, including natural scientists, have no choice but to regard the church as an intellectually childish group. Christians are the most vocal opponents of gay gatherings. Christians are also the most vocal opponents of the conscientious alternative military service system.
-
오늘의 한국 교회가 통일 지향적인 집단일까요, 아니면 저해하는 집단일까요? 정치 사회적인 면에서 가장 우익 적인 입장을 취하는 이들도 기독교인들입니다. 부끄러워서 얼굴을 들고 다닐 수 없을 지경입니다. 이런 점에서 우리는 세상과 불화 하면 안 됩니다. 오히려 칭찬 받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좀 더 철저하게 정의롭고, 좀 더 철저하게 생명 지향적인 삶의 태도를 보이고, 좀 더 철저하게 소수 자들의 권리를 지켜야 합니다.
Is today's Korean church a unification-oriented group or a deterrent group? Christians are among the most right-wing groups in terms of politics and society. I feel so embarrassed that I cannot even carry my face around. In that respect, we should not be at odds with the world. We should try to receive compliments. We should be more just, more life-oriented, and more thoroughly protect the rights of minorities.
-
순교 영성의 본질이 무엇인지 좀 더 깊이 생각해보아야 할 것입니다. 순교자라는 말은 증인이라는 뜻도 있습니다. 따라서 순교
영성으로 산다는 것은 자신의 삶에서 증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하겠다는 의미입니다. 기독교인은 모두 증인들입니다. 증인은 자신이 증언해야 할 대상을 분명하게 알고 있어야 하는 것처럼 우리 기독교인은 예수 그리스도와 그를 통한 하나님의 구원 행위를 분명 하게 알고 있어야 합니다. 그것 없이는 증인으로서의 삶, 즉 순교자로서의 삶은 불가능합니다.
You will need to think more about the essence of martyrdom spirituality. A martyr also means a witness. Therefore, living in martyrdom spirituality means maintaining your identity as a witness in your life. All Christians are witnesses. We Christians must be aware of Jesus Christ and God's act of salvation through him, just as witnesses must be aware of what they are testifying to. Without it, life as a witness, that is, as a martyr, is impossible.
-
이 말은 거꾸로 우리가 증인과 순교자로 살지 못하는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를 알지 못 한다는 데에 놓여 있습니다. 스데반은 예수가 하나님 우편에 서 계신 것을 보았습니다. 예수가 하늘 법정의 증인으로 나서서 의로운 순교자 스데반을 옹호하고 변호하시는 것 입니다. 예수의 죽음을 승리의 부활로 바꾸셨던 하나님이 스데반의 죽음을 통해서도 당신의 계획을 이루실 것을 보여줍니다. 하늘은 궁극적인 생명이 은폐 된 곳입니다.
In contrast, the reason why we cannot live as witnesses and martyrs lies in the fact that we do not know Jesus Christ. Sdevan saw Jesus standing in the mail of God. Jesus is standing as a witness in heaven's court to defend and defend Sdevan, a righteous martyr. It shows that God, who turned the death of Jesus into a resurrection of victory, will also fulfill your plan through the death of Sdevan. The sky is where the ultimate life is concealed.
-
하늘이 열렸다는 것은 생명이 그 실체를 나타낸다는 뜻입니다. 예수님이 세례 받는 순간에도 하늘이 열리질 않았습니까?(누가3:21) 하나님 우편은 하나님과 동일한 영적 권위를 가진 자에게 제공되는 자리입니다. 그 자리에 ‘인자’가 서 있었다고 합니다.
그 인자는 세상 마지막 때 올 심판자를 가리킵니다. 즉 생명을 완성할 자입니다. 그 인자는 바로 예수 그리스도입니다. 세상을 창조하고 완성할 하나님과 동일한 영적 권위를 가진 분이 예수 그리스도라는 뜻입니다.
When the sky is opened, it means that life represents its substance. Didn't the sky open even at the moment Jesus was baptized? (Who 3:21) God's mail is a place provided to those who have the same spiritual authority as God. It is said that a 'person' stood there.
He is the judge who will come at the end of the world. He is the one who will complete life. He is Jesus Christ. It means that Jesus Christ is the one who has the same spiritual authority as God who will create and complete the world.
-
스데반이 본 것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생명 완성입니다. 즉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입니다. 그것을 누가는 고대인들의 환상적인 글쓰기로 표현한 것입니다. 스데반이 본 것은 자동차 사고처럼 다른 사람도 모두 똑같이 볼 수 있는 현상이 아닙니다. 볼 수 있는 눈이 있을 때만 보이는 생명과 구원의 세계입니다. 세계 최고수 기사들이 둔 바둑의 기보에 숨어있는 수를 모든 사람들이 저절로 알아볼 수 있는 게 아니라 그걸 볼 수 있는 실력이 있는 사람만 볼 수 있는 거와 같습니다.
What Sdevan saw was the completion of life through Jesus Christ. In other words, it was salvation through Jesus Christ. Someone expressed it through the fantastic writing of ancient people. What Sdevan saw is not a phenomenon that everyone else can see the same way as a car accident. It is a world of life and salvation that can only be seen when there is an eye that can be seen. It is like the number hidden in the notation of Go played by the world's best Go players is not recognized by everyone, but only by those who are capable of seeing it.
-
실제로 일어난 현상이 아니라면 큰 의미가 없는 거라고 생각 하는 것도 성경을 오해하는 겁니다. 이 이야기는 신문 기사에 나온 객관적인 사실보다 더 궁극적인 현실(reality)이며, 더 궁극적인 진리입니다. 왜냐하면 이 이야기는 생명의 비밀을 엿본 사람의 증언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기독교 신앙을 통해서 생명의 비밀에 참여했다고 하더라도 실제의 삶에서 순교자로 살기는, 즉 증인으로 살기는 쉽지 않습니다.
It is also a misunderstanding of the Bible to think that it is meaningless if it is not a real phenomenon. This story is more of the ultimate reality and more of the truth than the objective facts in the newspaper article. This is because this story is the testimony of someone who has seen the secret of life. Even if we participated in the secret of life through our Christian faith, it is not easy to live as a martyr in real life, that is, as a witness.
-
아무리 신앙이 깊어도 죽음의 두려움을 떨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모두 스데반 같이 하늘이 열리는 환상을 보면서 돌에 맞아 죽을 수는 없습니다. 그런 위기를 닥치면 대부분이 피하려고 할 겁니다. 엔도 슈사쿠 ‘침묵’에서 후미에를 밟고 목숨을 건진
사람처럼 행동할 겁니다.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아주 극단적인 경우만이 아니라 일상에서도 우리는 끊임없이 순교가 아니라 오히려 배교에 더 쉽게 휩쓸립니다.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no matter how religious we are, it is difficult to dispel the fear of death. We cannot all be stoned to death while watching the illusion of the sky opening like Sudevan. Most people will try to avoid such a crisis if they encounter it. You will act like someone who stepped on the rear of Shusaku Endo's Silence and saved his life. The same applies to me. Not only in extreme cases but also in everyday life, we are more easily swept away by apostasy than constantly being martyred.
-
이런 점에서 우리는 절망적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하나님을 완전히 포기하지 않는다면 그런 배교 행위를 통해서도 하나님은 우리에게 자신의 흔적을 남기실 겁니다. 하나님의 은총이 임하지 않는 곳은 의도적으로 하나님을 거부하지 않는 한 어디에도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삶은 결국 순교를 맞게 됩니다. 모두 죽습니다. 역사에 등장했던 순교자들은 자신의 인생 중간에 순교를 만난 반면에, 나머지 우리 모두는 인생 마지막에 순교를 당할 것입니다.
In this respect, we are hopeless. However, even through such acts of apostasy, God will leave his mark on us if we do not give up on him completely. Because there is nowhere where God's grace does not come into play unless he is intentionally rejected. Our lives end up being martyred. Everyone dies. All of us in history will be martyred at the end of our lives, while the martyrs who appeared in history will be martyred at the end of our lives.
-
피하거나 피하지 않거나 상관없이 우리 모두 순교의 운명에서 벗어나지 못합니다. 이런 운명 앞에서 우리는 선택해야 합니다. 순교의 영성으로 살 것인가, 아니면 아무런 생각 없이 살 것인가? 예수의 증인으로 살 것인가, 자기에게 집중하면서 살 것인가? 두 가지로 좁힐 수 있을 것입니다. 일상에서 죽음을 직시하는 겁니다. 생각이 깊은 사람들은 누구나 죽음을 염두에 두고 삽니다. 좀 더 마음공부를 깊이 한 사람은 삶과 죽음을 동일한 것으로 받아들입니다.
Whether we avoid it or not, we all cannot escape the fate of martyrdom. In the face of this fate, we have to choose. Live in the spirituality of martyrdom, or without thinking? Live as a witness to Jesus or focus on yourself? We could narrow it down to two. We face death in our daily lives. Everyone with deep thoughts lives with death in mind. Those who have studied more deeply accept life and death as the same thing.
-
기독교인들은 죽음을 더 진지하고 절실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입니다. 세례를 받으면서 우리는 예수와 더불어 죽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생명을 훼손하는 세력에 저항해야 합니다. 기독교 역사에서 일어난 순교는 자신을 신의 경지로 높이려는 권력자들에 의해서 일어났습니다. 그들은 생명을 파괴하는 이들입니다. 순교 영성으로 산다는 것은 그들과 타협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생명을 훼손하는 세력이 누군지는 스스로가 판단해야 합니다.
Christians are more serious and desperate about death. This is because we are people who think that we died along with Jesus while being baptized. And we must resist the forces that damage lives. Martyrdom that has occurred in Christian history has been caused by those in power who want to elevate themselves to the level of God. They are the life-destroying. Living in a martyrdom spirituality means that you do not compromise with them. You have to judge who is the life-destroying force.
-
누군가 매우 세련된 모습으로 속삭이듯이 나을 유혹할지도 모릅니다. 중세의 마녀사냥에서 볼 수 있듯이 특정 세력을 향해서 적개심을 불러일으킬지 모릅니다. 거기에 저항하는 것이 맞을 것입니다. 내가 아는 하나님 나라는 세상을 무릎 꿇리는 위세가 아닙니다. 내가 무릎 꿇어 기도하고 사랑으로 잔인한 세상을 향해 ‘복된 공격’을 가하면서 임하는 성령의 나라입니다. 박해가 초대교회에 끼친 영향은 디아스포라가 생겨났습니다.
Someone may be tempted to be better off in a very sophisticated way. As you can see in medieval witch hunts, it may arouse hostility towards certain forces. It would be right to resist there. The kingdom of God as I know it is not a power to kneel down on the world. It is the kingdom of the Holy Spirit, where I pray on my knees and launch a "blessed attack" on a cruel world with love. The influence of persecution on the first church was the creation of a diaspora.
-
물론 스데반의 순교가 가능하도록 자신의 모습을 친히 보여주셨으나 핍박을 통해 복음이 유대와 사마리아 땅으로 전파되게 하신 분도 하나님이십니다. 예루살렘에 복음이 흥왕하면서(6:7) 이후 다시 순교자가 생겨나면서 복음이 유대와 사마리아 지역으로 확장 될 것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한편 스데반을 죽음으로 몰고간 자들은 거기서 그치지 않고 광범위하게 예루살렘 교회를 박해하기 시작합니다.
Of course, it is God who personally showed himself to enable the martyrdom of Sdeban, but through persecution, the gospel spread to the land of Judea and Samaria. After the gospel revels in Jerusalem (6:7), martyrs are born again, implying that the gospel will expand to Judea and Samaria. Meanwhile, those who have driven Sdeban to death do not stop there, but begin to persecute the Church of Jerusalem extensively.
-
여기 유대교의 상징인 사울이 등장하면서(1) 하나님께서 어떤 식으로 유대와 사마리아 지역을 접수 하시는가가 흥미진진합니다. 누군가 내 마음을 찌를 때 공격적인 나는 어떻게 나를 극복할 것인가? 하나님과 예수는 스데반의 죽음을 어떻게 보셨을까?
As Saul, the symbol of Judaism, appears here, (1) it is interesting to see how God takes over Judea and Samaria. How will I overcome myself, being aggressive when someone pokes my heart? How did God and Jesus see the death of Sudevan?
-
스데반의 순교(7:54-8:1a)
a.설교에 대한 반응과 스데반의 외침:7:54-56
b.스데반의 죽음과 사울의 등장:7:57-8:1a
에루살렘의 박해(8:1b-3)
빌립의 사마리아 전도(8:4-8)
-
그들이(54a)
이 말을 듣고(54b)
마음에 찔려(54c)
그를 향하여 이를 갈거늘(54d)
-
스데반이(55a)
성령 충만하여(55b)
하늘을 우러러 주목하여(55c)
하나님의 영광과(55d)
및 예수께서 하나님 우편에 서신 것을 보고(55e)
-
말하되 보라 하늘이 열리고(56a)
인자가(56b)
하나님 우편에 서신 것을 보노라 한대(56c)
-
그들이 큰 소리를 지르며(57a)
귀를 막고(57b)
일제히 그에게 달려들어(57c)
-
성 밖으로 내치고(58a)
돌로 칠새(58b)
증인들이 옷을 벗어(58c)
사울이라 하는 청년의 발 앞에 두니라(58d)
-
그들이 돌로 스데반을 치니(59a)
스데반이 부르짖어 이르되(59b)
주 예수여 내 영혼을 받으시옵소서 하고(59c)
-
무릎을 꿇고 크게 불러(60a)
이르되 주여 이 죄를(60b)
그들에게 돌리지 마옵소서(60c)
이 말을 하고 자니라(60d)
-
사울은(1a)
그가 죽임 당함을(1b)
마땅히 여기더라(1c)
그 날에(1d)
예루살렘에 있는 교회에(1e)
큰 박해가 있어(1f)
사도 외에는(1g)
다 유대와 사마리아 모든 땅으로(1h)
흩어지니라(1i)
-
경건한 사람들이(2a)
스데반을 장사하고(2b)
위하여 크게 울더라(2c)
-
사울이 교회를 잔멸할새(3a)
각 집에 들어가(3b)
남녀를 끌어다가(3c)
옥에 넘기니라(3d)
-
그 흩어진 사람들이(4a)
두루 다니며(4b)
복음의 말씀을 전할새(4c)
-
빌립이(5a)
사마리아 성에 내려가(5b)
그리스도를 백성에게 전파하니(5c)
-
무리가 빌립의 말도 듣고(6a)
행하는 표적도 보고(6b)
한마음으로(6c)
그가 하는 말을 따르더라(6d)
-
많은 사람에게 붙었던(7a)
더러운 귀신들이(7b)
크게 소리를 지르며 나가고(7c)
또 많은 중풍병자와(7d)
못 걷는 사람이 나으니(7e)
-
그 성에(8a)
큰 기쁨이 있더라(8b)
-
스데반의 순교_ Sudevan's Martyrdom_
예수의 반응_ Jesus' Reaction_
하나님의 반응_ God's Reaction_
-
죽기를 무서워하므로 일생에 매여 종노릇하는 모든 자들을 놓아주신 주님을 찬양합니다. 죽음 가운데 주를 증거 하는 스데반을 하나님 앞에서 시인하시는 예수님은 나의 주인입니다. 박해의 이유가 복음 전파의 선한 목적에 있음을 알게 하셨으니 주님, 이제는 미운 자를 끌어안고 의를 위해 애곡하는 이웃과 함께 날마다 순교자의 길을 가겠습니다. I praise the Lord for letting go of all those who have been tied to death in their lifetime because they are afraid to die. Jesus, who admits before God Sudevan, who proves the Lord in the midst of death, is my master. Lord, now that you have seen that the reason for persecution lies in the good purpose of spreading the gospel, I will go on the path of a martyr every day with a neighbor who embraces the ugly and cries for righteousness.
2024.5.16.thu.C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