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상격(炎上格)
丙火/丁火 일간이 지지에 巳-午-未 방합이나 寅-午-戌 삼합을 이루면서 지지 火局을 형성하고 사주 내 재성 金氣나 관성 水氣라 없던지 미약하면 성격(成格)한다. 더하여 염상격(炎上格)을 성격하면 사주주인공은 사양지심(辭讓之心)이라 했으니 예의바른 마음과 사양하고 공경하는 마음이 함께하며 행동거지가 반듯한 성품을 지니게 된다.
예제-1) 1954년 1월 16일 午시(남자/음력)

사주해설
丙일간 寅월에 출생하여 득령/득지/득세하였으며 월지 寅木을 중심으로 寅-午合火한 중에 월상 丙火가 투출하고 년간/시상의 甲木이 합세하여 일간을 생조하니 태왕하며 천간/지지 모두 일간을 생조하는 인성 木氣와 비겁 火氣로 이루어져 종격인 염상격을 성격한다.
고로 용신은 火氣의 대세에 따르는 비겁 火氣와 인성 木氣 및 왕성한 비겁 火氣를 누출시키는 식상 土氣를 모두 길신으로 삼는다 할 것인데 위 사주는 비겁 火氣가 태왕하여 종격/염상격을 성격하므로 강력한 비겁 火氣를 자연스럽게 누출시키는 식상 土氣가 가장 길하다.
특히 염상격(炎上格)은 丙火/丁火 일간이 지지에 巳-午-未 방합하거나 寅-午-戌 삼합하는 삼자의 오행이 모두 갖추어져 있어야 성격한다고 되어있으나 이처럼 준삼합이 형성되어 있거나 준방합이 삼합과 같이 결성되어 있더라도 천간에 중심오행인 火氣가 투출되어 있으면 火氣를 따르는 종격/염상격(炎上格)으로 돌아간다.
또한 지지에 비록 火氣를 결성하는 삼합/방합이 성립되어 있지 않더라도 丙火/丁火 일간을 생조하는 인성/비겁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사주 내 비겁 火氣를 거슬리는 관성 水氣나 재성 金氣가 없다면 이것 역시 火氣를 따르는 종격/염상격을 성격하는 것이다.
그러나 천간에 재성 金氣나 관성 水氣가 하나 이상 존재하고 지장간 중기/정기에 뿌리를 두고 있다면 종격으로 돌아가지 못하며 이때는 억부법/조후법 준한 용신을 설정하여야 한다.
대운해설
35세 시작되는 庚午대운에 적용하면 대운천간 庚金은 일간에 대한 편재로 기신으로 작용하며 사주일간과 월상의 丙火를 丙-庚상충으로 가격하고 년간과 시상의 甲木을 甲-庚상충으로 파극하니 대단히 불리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대운지지 午火가 일간에 대한 겁재로 길신으로 작용하고 사주월지 寅木과 寅-午合火하여 대운천간 庚金을 火剋金으로 상극하니 이는 흉신으로 작용하는 대운천간 庚金의 기운을 해극하는 것이라 무탈함을 뜻하며 기복은 따르나 오히려 길한 면이 많다 할 것이다.
나아가 45세 시작되는 辛未대운에 적용하면 대운천간 辛金은 일간에 대한 정재로 기신으로 작용하며 사주일간과 월상의 丙火를 丙-辛合水하여 왕신인 火氣를 충하니 이는 왕신을 발통케 하는 것이라 그로인한 재화가 크다 할 것이다.
다만 대운지지 未土가 일간에 대한 상관으로 길신으로 작용하고 사주원국의 년지/일지/시지의 午火를 午-未合火하여 길신으로 화하니 이는 대운천간과 지지 간 전극이 발생하는 것이라 대운천간의 丙-辛合水한 水氣를 다스리고도 남음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55세 壬申대운을 맞이함에 대운천간 壬水는 일간에 대한 편관으로 기신으로 작용하여 사주일간과 월상의 丙火를 丙-壬상충으로 가격한다 할 것인데 대운지지 申金 또한 일간에 대한 기신으로 작용하여 사주월지 寅木을 寅-申상충/삼형으로 대접하고 있으니 혼란스러움을 금치 못하고 있다.
결국 종격의 사주가 되면 대운의 흐름이 정히 용신의 운로로 치달리고 있어야 부귀공명을 누린다 할 것인데 만일 대운의 흐름이 기신의 방향으로 치달린다면 운로가 이때는 왕신이 발동하여 십중구사의 운명을 맞이할 수 있는 것이다.
예제-2) 1955년 1월 23일 오시(남자/음력)

사주해설
丁일간 寅월에 출생하여 득령/득세하고 년간의 편인 乙木과 시상의 겁재 丙火가 투출하여 일간을 생조하니 사주강약에 준한 63%라 대단히 신왕하다.
이렇게 일간이 신왕하면 이를 억제할 수 있는 재성 金氣와 관성 水氣가 있어 신왕한 일간을 적절히 단련시켜야 할 것인데 눈을 씻고 찾아봐도 재성 金氣와 관성 水氣의 정오행이 보이지 않고 있으니 신왕한 일간을 바로 억제하기는 어렵다 할 것이다.
다행히 월상의 상관 戊土와 일지/년지의 식신 未土가 존재하여 신왕한 일간의 기운을 억제하고 있으니 일면 억부법/조후법에 일치되는 성질로 판단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나 년지와 일지의 식신 未土는 조토로 일간 정화의 火氣에 동조하고 있으며 시지의 비견 오화와 午-未合火하고 사주월지 寅木과 寅-午合火하여 지지 火局을 이루니 일간 火氣를 따르는 종격/염상격(炎上格)이 성격함을 알 수 있다.
고로 용신은 火氣를 따르는 비겁 火氣와 인성 木氣 및 강력한 비겁 火氣를 누출시키는 식상 土氣를 모두 길신으로 삼는다 할 것인데 식상 土氣는 사주 내 이미 왕성하여 비겁 火氣나 인성 木氣에 비해 길함이 다소 떨어진다 할 것이다.
대운해설
14세 시작되는 丙子대운에 적용하면 대운천간 丙火는 일간에 대한 겁재로 길신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는데 그렇다면 대운천간 丙火가 지배하는 18세까지는 큰 어려움 없이 무탈할 것이나 대운지지 子水가 일간에 대한 편관으로 기신으로 작용하여 사주시지 午火를 子-午상충으로 대접하고 있으니 그로인한 재화가 가중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비록 대운천간 丙火가 길신의 역할을 한다고는 하나 천간의 기운은 지지의 30% 정도 밖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가 없음을 감안한다면 19세 이후는 기복이 많은 형국이 되는 것이며 길함보다는 오히려 불리함이 강하게 작용하는 것이다.
특히 대운지지 子水는 편관이며 시지 午火는 비견인데 子-午상충을 육친별로 판단할 때 편관은 폭력/깡패/건달 등을 의미하니 이는 학업중단 및 친구/동료 간 불화를 뜻하는 것이며 그로인한 관재/소송/폭력/시비에 휘말리는 위험성을 안고 있는 것이다.
24세 시작되는 乙亥대운에 적용하면 대운천간 乙木은 일간에 대한 길신으로 작용하며 길함이 많다 할 것인데 대운지지 亥水는 일간에 대한 기신으로 작용하여 불리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사주월지 寅木과 寅-亥合木하고 사주 년지와 시지 未土를 亥-未合木하여 길신으로 화하니 이는 전화위복이라 재화가 사라지고 발복함이 들어오는 것이다.
34세 시작되는 甲戌대운에 적용하여 볼 때 대운천간 甲木은 일간에 대한 길신으로 작용하여 길함이 많다 하겠으나 사주월상 戊土를 甲-戊상충으로 가격하니 이는 이사/이동 및 직업의 변화를 뜻하는 것이며 대운지지 戌土는 일간에 대한 길신으로 사주월지 寅木과 시지 午火를 寅-午-戌 삼합으로 다스리고 있으니 발복함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사주일지/년지를 戌-未상충으로 가격하는 것은 건강/부상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함을 암시하는 것이며 매사 조심하는 지혜가 필요한 것이다.
44세 시작되는 癸酉대운에 적용하면 대운천간 癸水는 일간에 대한 정관으로 기신으로 작용하며 사주일간 丁火를 丁-癸상충으로 가격하고 한편으론 사주월상 戊土를 戊-癸合火하여 상충의 작용을 해극하니 길과 흉이 교차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대운지지 酉金이 일간에 대한 기신으로 火氣의 대세에 상극하는 기운이며 편재의 운로이기 때문에 이는 투기성재물 및 여자로 인한 손재가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54세 시작되는 壬申대운에 적용하면 대운천간 壬水는 일간에 대한 기신으로 사주일간 丁火를 丁-壬合木하여 길신으로 화하니 이는 무해 무탈함을 뜻하는 것이라 다만 대운지지 申金이 일간에 대한 기신으로 사주월지 寅木을 寅-申상충으로 가격하니 이는 寅-午合이 깨어지며 왕신을 발통케 하는 것이라 그로인한 재화가 만만치 않다 할 것이다.
이것을 육친별로 풀어보면 대운지지 申金은 정재로 남자 사주에 정재는 처/재물을 뜻하며 월지 인수는 문서/모친을 의미한다 하겠는데 사주월지 寅木을 寅-申상충으로 가격하고 寅-午合화를 깨버리는 것은 문서/재물로 인한 손재를 뜻하는 것이며 모친의 불운과 정재의 타격으로 인한 부부불화/부부이별을 무언중에 암시하고 있다.
운암
첫댓글 대운별로 자세하고 쉽게 설명해주셔서 재미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잘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잘 배웠습니다.
많이 배웁니다...감사합니다.
종격이라도 재 관이 있어서 지장간 중기 본기에 뿌리를 두고 있다면 종격으로 화하지 못한다.
재 관이 있더라도,정오행으로 있는지 없는지 꼭 파악해서 감명해야한다~~!!
염상격~~오상으로 예~~예의 바르고/사양하고 공경하는 마음의 소유자가 많다!!
합 충의 육친 변용법을 잘 활용하여 통변한다!!
종격을 구성하고 있더라도/천간에 재 관이 하나라도 있고,이것이 지장간 "중기 본기"에 통근하고 있다면 종격이 되지 못한다!!
대운에 육친을 적용하여 자세히 통변하는 것을 잘 보고 갑니다!!
종격이 되려면. 일간을 극루하는 재성 관성이 지지/지장간에 의지처가 없어야 가능하다!!
지장간 중기 본기에 통근하면 從할 수 없다
염상격~재성/관성이 없어야 되는 것을 먼저 점검해야 종격이 된다!
예제1~~목화가 왕하고 재 관이 없다~염상격으로 목 화 토 길신으로 조토인 술토 미토는 좋다!!
45 신미 대운을 보면 천간은 병신 합 수로 왕신인 화기를 수 극 화로 왕신충발한다(재화가 크다) ,그러나
지지 미대운은 오미 합 화로 지지 전체가 화기를 이루어 천간 기신 수기를 다스리고도 남는다!!
종격은 대운의 흐름이 용신의 흐름일 때는 발복하여 부귀를 누리지만/ 역방향이면 인생이 곤고하다^^
왕신의 발동으로 십중구사의 운명을 맞기에 종격은 많이 조심해야한다!!
예제2.~~59%신왕사주로 일간을 극루하는 재 관이 없다~~지지 인오/오미/미토(정을기~조토)로 천간지지가 화기로 층만!!
목 화 토 길신으로 토기는 이미 충족(3개이상)~토운은 길함이 다소 떨어진다.
19병자대운을 보면~~14~18세 까지는 병화 길신으로 좋다.
19세부터는 기신 수기(자수~~사왕지지)는 왕신을 충밯하는 운으로 볼 수 있기에 재화 기복이 크다!!
그리고,천간 길신운은 지지에 비해 30%밖에 안되기에 지지 자수는 편관으로 흉폭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예제2~~59% 신왕사주를 58% 신왕사주로 수정합니다
결국 종격의 사주가 되면 대운의 흐름이 정히 용신의 운로로 치달리고 있어야 부귀공명을 누린다 할 것인데 만일 대운의 흐름이 기신의 방향으로 치달린다면 운로가 이때는 왕신이 발동하여 십중구사의 운명을 맞이할 수 있는 것이다~~!!
염상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통변 응용에 크게 도움 되게습니다!!
감사합니다!!
염상격(炎上格)을 성격하면 사주주인공은 사양지심(辭讓之心)이라 했으니 "예의바른 마음과 사양하고 공경하는 마음"이 함께하며 행동거지가 반듯한 성품~~!!
종격의 "단점">>>만일 대운의 흐름이 기신의 방향으로 치달린다면 운로가 이때는 왕신이 발동하여 "십중구사의 운명"을 맞이하고,왕신충발할 가능성이 많다.
일간이 신왕하면 이를 억제할 수 있는 재성 과 관성이 있어 신왕한 일간을 적절히 단련시켜야 함~~!!
특히, 식 재 관을 살펴야 한다.
용신의 운로가 본인 사주 원국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치달릴 때는 발복함을 암시한다
예제1~~사주는 비겁 火氣가 태왕하여 종격/염상격을 성격하므로 강력한 비겁 火氣를 자연스럽게 누출시키는 "식상 土氣가 가장 吉"하다.
"종격의 사주"가 되면 대운의 흐름이 정히 용신의 운로로 치달리고 있어야 "부귀공명을 누린다" 할 것인데 만일 대운의 흐름이 "기신의 방향으로 치달린다면 운로가 이때는 왕신이 발동하여 십중구사의 운명"을 맞이 함.
예제2~~강약도표 58% 신왕사주로 지지 모두가 오미 인오 화국을 형성하였고,
일간을 극루하는 금 수 (재 관)가 없기에 종격으로 본다. 화왕사주로 염상격^^
강력한 비겁 火氣를 자연스럽게 누출시키는 "식상 土氣"가 가장 길하다.>>>염상격 사주^^
천간의 기운은 지지의 30% 정도 영향력을 행사한다. 월지는 천간 오행의 3~4배 정도의 힘을 가진다.
종격 가종격 구분하여 잘 통변해야 한다
지지에 비록 火氣를 결성하는 삼합/방합이 성립되어 있지 않더라도 丙火/丁火 일간을 생조하는 인성/비겁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사주 丙火/丁火 일간이 지지에 巳-午-未 방합이나 寅-午-戌 삼합을 이루면서 지지 火局을 형성하고 사주 내 재성 金氣나 관성 水氣라 없던지 미약하면 성격(成格)한다. 더하여 염상격(炎上格)을 성격하면 사주주인공은 사양지심(辭讓之心)이라 했으니 예의바른 마음과 사양하고 공경하는 마음이 함께하며 행동거지가 반듯한 성품을 지니게 된다. 그러나 천간에 재성 金氣나 관성 水氣가 하나 이상 존재하고 지장간 중기/정기에 뿌리를 두고 있다면 종격으로 돌아가지 못하며 이때는 억부법/조후법 준한 용신을 설정하여야 한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