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레아틴 수송체> |
>>크레아틴 모노하이드레이트
대다수 실험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 초기 복통, 붓기, 설사 등의 부작용이 자주 보고됐음에도 불구하고 체육관에서나 실험실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부작용은 제품 개발 초기 불안정한 가공과정에서 비롯됐으나, 그렇게 큰 문제는 아니었다. 오늘날 크레아틴 모노하이드레이트 제품 대부분 가공 문제가 개선돼 장에 관련된 부작용은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다. 파우더, 알약, 캡슐, 액상 등 다양한 형태로 가장 높은 인기를 차지하고 있다.
제품의 약 88%는 크레아틴, 12%는 수분으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크레아틴 모노하이드레이트 1g이면, 크레아틴 0.88g을 섭취할 수 있다. 제품 라벨에 크레아틴 모노하이드레이트 그램수가 표기돼 있다면, 그 값의 88%만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크레아틴 모노하이드레이트 5g이라고 쓰여있을 경우, 순수 크레아틴은 4.4g 함유된 것으로 간주하면 된다.
- 순수 크레아틴 모노하이드레이트 제품
·Simply Creatine(EAS社)
·Creatine Monohydrate Power (Labrada社)
·Creatine Monohydrate(MRM社, Nature's Best社, Prolab社)
·Creatine Powder(Optimum社)
·Creapure(Ultimate Nutriton社)
- 설탕, 글루타민, 아르기닌이 혼합된 제품
·Meta-Cel(Isatori社)
·TRAC(MHP社)
·Cell Tech(MuscleTech社)
·Vitargo CGL(Nutrex社)
·CGT-10(Optimum社)
>>크레아틴 구연산염
크레아틴 모노하이드레이트의 인기에 대적한 다른 종류의 제품. 구연산 분자에 붙은 크레아틴 분자로 구성된 형태다. 구연산은 원래 크렙스 회로(Kreb's Cycle: 유산소 에너지를 발생하는 경로)의 중간체를 발생시키는데, 에너지 신진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크레아틴과 혼합된 구연산은 훈련 중인 근육 내 에너지 생성이 더욱 활발해지도록 도울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이론을 뒷받침할만한 근거를 증명하는 실험 결과는 아직 없다. 크레아틴 구연산염은 크레아틴을 약 40% 정도밖에 함유하지 않지만, 용해성이 좋아 많이 이용된다.
- 트라이크레아틴 구연산염(크레아틴 분자 3개가 구연산 분자 1개에 연결된 형태로 1g 당 크레아틴 함량이 더 높음) 제품
·Creatine Clear(FSI社)
·5-CreaCyamine(Iron-Tek社)
·Swole(Syntrax社)
>>크레아틴 인산염
인산염 분자 1개에 크레아틴 분자 1개가 묶인 형태로 크레아틴 약 60%를 함유한다. 더욱 만족할만한 효과를 위해 크레아틴은 근육 내에서 인산염 무리와 연결될 필요가 있다. 크레아틴 인산염은 크레아틴 모노하이드레이트를 먹을 때보다 훨씬 더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인산염은 근육 세포 같은 막을 통하기 어렵기 때문에 크레아틴 인산염은 무효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현재 크레아틴 인산염에 대한 정보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다.
>>크레아틴 사과산염
사과산과 크레아틴이 연결된 형태. 구연산처럼 사과산도 크렙스 회로의 중간체 역할을 하므로 다른 종류보다 ATP를 더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인체 내에서 사용되는 크레아틴 사과산은 부족하지만, 효과는 크레아틴 모노하이드레이트와 비슷하다. 또한 구연산처럼 물에 잘 녹는 성질을 띠며 위장 장애를 일으키지 않는다.
- 제품
·5-CreaCyamin(Iron-Tek社)
·Satur8(ISS Research社)
·Juiced Creatine(Pinnacle社)
·V12(SAN社)
>>크레아틴 타르타르산염
크레아틴 분자 약 70%를 함유하며, 분자 1개와 타르타르산 약 30%가 묶인 구조다. 캡슐, 알약, 바, 츄잉 검 등의 제품이 있다.
- 제품 : 5-CreaCyamine(Iron-Tek社)
>>마그네슘 크레아틴
크레아틴과 미네랄(마그네슘)이 결합된 킬레이트 화합물 형태. 위 안에서 크레아틴을 보호하고 흡수를 돕는다. 또한 마그네슘은 크레아틴 인산염에서 ATP(에너지)로 전환되는 데 필요하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마그네슘 크레아틴 킬레이트 화합물 그리고 단순히 마그네슘과 크레아틴을 함께 이용할 경우를 비교한 결과, 전자를 이용했을 때 근육세포에 수분이 더 많이 유입되고, 레그 익스텐션에서 더욱 강한 근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제품
·5-CreaCyamine(Iron-Tek社)
·ATP Evolution(Nutrabiotics社)
·Creaject(VPX社)
>>크레아틴 무수물(無水物)
수분 분자가 크레아틴에서 제거될 때 발생하는 순수 크레아틴. 모노하이드레이트보다 약 6% 더 많이 크레아틴을 함유하지만, 제품의 질은 비슷하다.
- 제품 : Straight(Syntrax社)
>>크레아틴 HMB
크레아틴 수송체로써 출시된 신제품으로 단순히 크레아틴과 HMB가 함께 연결된 구조. 근육 회복과 성장을 돕는 류신 대사 산물이다. 위장 내 분해되는 과정에서 2가지 성분 모두 보호하며, 용해도와 흡수율이 높다. 일단 혈액으로 유입되면, 크레아틴과 HMB가 분리돼 각각 근육으로 전달된다. 효과가 입증된 연구 사례는 아직 없다.
- 제품 : Bolt(SAN社)
>>에스테르 크레아틴
또 다른 신제품으로 크레아틴 에스테르에틸 하이드로클로라이드(Creatine Ester Ethyl Hydrochloride)까지가 완전한 명칭이다. 네브라스카 대학 의학 센터 연구진은 크레아틴 생체 이용률을 증가시켜 여러 가지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되도록 제품을 개발했다. 에스테르 그룹은 장과 근육세포 같은 막에 대한 분자의 투과력을 상승시킨다. 이론상으로 다른 크레아틴 제품보다 근육 내 흡수가 더 잘 된다. 비타민 C와 프로-스테로이드 같은 보충제와 혼합되어 만들어지기도 한다. 가능성이 매우 뛰어난 제품이지만, 이론적으로 효과를 입증할만한 연구자료가 아직 없으므로 앞으로 시간이 더 필요하다.
- 제품 : CE2(MRI社)
<크레아틴 전달> |
>>마이크로 크레아틴
크레아틴 모노하이드레이트를 미세하게 가공한 파우더 형태. 크레아틴 모노하이드레이트 입자보다 약 20배 더 작은 미립자로 용해도가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음료로 이용하기에 알맞으며 장 내 흡수가 잘 된다. 만약 장 속에 흡수가 안 될 경우 설사와 복통을 유발할 수도 있다.
- 제품
·CreaForce(ABB社)
·Micronized Creatine(AST社)
·Cre(HSN社)
·Micronized Creatine(MET-Rx社)
·Creapure(Ultimate Nutrition社)
>>활기성 크레아틴
보통 크레아틴 구연산염 또는 모노하이드레이트이 중탄산염과 구연산과 함께 구성된다. 물이 더해지면, 중탄산염과 구연산 사이에 일어나는 반응이 활성 효과를 띠며 운반체로부터 분리된다. 물에 잘 녹고 장 내 흡수율이 뛰어난 반면 위산에 녹지 않도록 개발됐다. 최근 한 연구에서 활성 크레아틴이 체내에 머무는 시간이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물에 녹여 사용해 2일 후 조사한 결과, 크레아틴 약 99%가 여전히 유지돼 있었다. 크레아틴 모노하이드레이트가 위에 문제를 일으킨다면, 이 제품을 시도해볼 수도 있다.
- 제품
·Crea-Fizz(Dymatize社)
·Creatine Edge(FSI社)
·Creabolic Fizz(MHP社)
·Effervescent Creatine Plus(PBL社)
>>리퀴드 크레아틴
이론적으로 액상 크레아틴 제품은 용해도가 100%에 가까우므로 흡수율이 매우 높다. 그러나 액상 형태의 크레아틴이 보다 효과적인지에 대한 논쟁은 여전히 뜨겁다. 초기 제품은 실험에 실패했지만, 기술적인 발전이 거듭되면서 이 형태의 크레아틴 연구가 더욱 활발해졌다.
오늘날 제품은 콩기름, 콜로이드 같은 미네랄 혼합물을 이용해 12개월까지 크레아틴 수치를 안정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또 다른 액상 형태로 알로에 베라 젤과 크레아틴을 혼합한 제품이 있다.
- 제품
·Creatine Super Load Gel(Avera Sports社)
·Liquid Creatine(GNC社)
·Creatine Liquid Creatine(Optimum社)
·Kre-Alkalyn Liquid Creatine(SRA社)
·Creaject(VPX社)
>>츄잉 크레아틴
츄잉 검처럼 입 안에서 씹어 먹는 과정에서 크레아틴 성분이 나오는 보충제로 딱딱한 정제, 바 형태도 있다. 액상 형태보다 크레아틴 전달 능력이 조금 더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지만, 큰 차이는 없다. 씹는 형태의 보충제는 간편하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물과 혼합할 필요 없이 빠르게 크레아틴을 섭취할 수 있다.
- 제품
·Russian Red(Actijube社)
·Creatine Chews(Universal社)
·Lean Mass Creatine Bars(ProLab社)
<크레아틴 밸런싱> | ||
제품 |
찬성 |
반대 |
크레아틴 모노하이드레이트 |
다수의 연구 결과에서 지지를 받는다. |
입자가 큰 제품은 위장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
크레아틴 구연산염 |
액상에서 잘 녹는다. |
신맛이 나는 경향이 있다. |
크레아틴 인산염 |
젖산을 효과적으로 완화 |
크레아틴 모노하이드레이트보다 비효과적이다. |
크레아틴 사과산염 |
크레아틴보다 에너지 생성 효과가 더 좋다. |
제안된 효과를 지지하는 연구 결과가 아직 없다. |
크레아틴 타르타르산염 |
높은 안정성을 유지한다. |
현재 사용 가능한 제품이 매우 적다. |
마그네슘크레아틴 |
다수의 연구 결과에서 근육 팽창 효과가 나타났다. |
값비싸다. |
크레아틴 무수물 |
1g 당 가장 많은 양의 크레아틴을 함유한다. |
다른 형태에 비해 안정적이지 못하다. |
크레아틴 HMB |
흡수율을 높인다. |
값비싸다. |
에스테르 크레아틴 |
근육 내 흡수율을 높인다. |
값비싸다. |
마이크로 크레아틴 |
입자 크기가 미세해 용해도와 흡수율이 높다. |
다소 비싼 편이다. |
활성 크레아틴 |
물에서의 용해도가 뛰어나다. |
현재 사용 가능한 제품이 매우 적다. |
리퀴드 크레아틴 |
액상에서 완전히 녹는다. |
다른 형태보다 비효과적이다. |
츄잉 크레아틴 |
휴대가 간편하다. |
다른 형태보다 흡수율이 떨어진다. |
|
첫댓글 크레아틴도 종류가 엄청 많았군요.. 전 그냥 노샷건이나 슈퍼펌푸로 제품선택으로 해결을 했네요 생각도 안해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