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ge of Smartphones
Developing the right relationship with our digital technology is a critical step on the path.
By Miles Bukiet
스마트폰시대의 불교
디지털 기술과 바른 관계를 맺는 것이 수행의 길에 결정적이다.
-마일즈 부키엣 글
These days it’s impossible to walk an authentic Buddhist path without digital sense restraint. Digital sense restraint? Let’s back up.
오늘날 디지털 감각의 제어 없이 진실된 불자의 길을 간다는 건 불가능하다. 디지털 감각의 제어라고? 백업(후원 지지)을 해보자.
In the worldly (lokika) realm of pain and pleasure and taxes, many of us increasingly recognize the harms of digital technology. Like a muddy dog splattering a trail of paw prints across the house, big tech’s grubby prints can be found on a range of disturbing social trends.
고통과 즐거움 및 세금이 있는 세간(로키타)에서 우리는 디지털 기술의 해로움을 점점 인식하고 있다. 흙 묻은 개의 발자국이 집안에 더럽히듯, 거대 기술의 지저분한 흔적이 혼란한 사회적 현상 전반에 광범위하게 발견된다.
*디지털 기술은 전자기기를 뜻한다. 본문 번역에서 디지털 기술이나 기술tech은 전자기기를 말한다.
Among them are soaring rates of depression and anxiety, and increasing political polarization. Viscerally, many of us feel a sense of lost agency as screens absorb more and more of our time, energy, and attention. Beyond the worldly realm lies arguably digital technology’s most disturbing impact of all, the deep spiritual rot that unrestrained digital tech use provokes.
그런 현상 가운데 하나는 높아지는 우울과 불안증세 및 정치적 양극화의 증가이다. 스크린이 우리의 시간과 에너지와 주의를 점점 더 많이 잡아먹음에 따라 우리는 주체성의 상실을 체감한다. 세간적 영역에서 디지털 기술이 초래한 가장 혼란스런 영향은 제어되지 않는 디지털 기술 사용이 일으키는 깊은 차원의 영적인 퇴패임에 틀림없다.
When examined through a Buddhist lens, we find unique threats posed by the onslaught of big tech; we also find powerful tools for confronting the juggernaut. On the one hand, failing to corral our use of digital technology scuttles all our best intentions and strongest efforts to practice Buddhism coherently. On the other hand, Buddhism in general, and one oft neglected concept from the Pali canon with a distinctly unsexy name—sense restraint—in particular, has much to teach us about how to navigate digital technology.
불자의 눈으로 살펴볼 때 거대 기술의 맹공격이 야기하는 독특한 위협을 발견하는 동시에 이 불가항력적 괴물에 대항하는 강력한 도구를 찾기도 한다. 한편으로는 디지털 기술을 통제하지 못함으로써 불교를 진지하게 수행하려는 최상의 의지와 최강의 노력을 허둥지둥 날려버린다. 또 다른 면으로는 일반적인 의미에서 불교에서 빨리 경전에 나오는 개념인 감각의 제어-분명히 매력적이지 않은 말이긴 하지만-을 왕왕 무시한다. 그건 특히 디지털 기술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하는 가르침과 관계가 있다.
It’s not that digital technology per se is problematic. In fact, digital technology can support Buddhist practice in powerful ways. The issue lies in unrestrained tech use. Let’s take two recent Saturday mornings as an example.
디지털 기술 그 자체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사실 디지털 기술은 강력한 방식으로 불교수행을 도와줄 수 있다. 문제는 제어되지 않은 채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다. 최근 토요일 아침에 일어난 두 가지 예를 들어본다.
On the first morning I start the day by checking my email in bed on my phone. A few to- dos that I won’t get to until Monday anyway swarm my mind. Itching to change my mood, I reflexively open WashingtonPost.com, and before I know it, I’m knee-deep in Ukraine stories and the latest Trump indictment. An hour of compulsively bouncing between the Washington Post, New York Times, and the Atlantic, and my mind is positively racing. Not that I’m any more ready to engage with the problems of the world— instead, discouraged and overwhelmed, I pull myself from bed. A sour pall has already settled over an otherwise beautiful Saturday. Flailing now, I attempt to break my worsening mood by pursuing my various social media accounts. Again, bad move. By the time I manage to drink some water, eat some food, and settle down on a meditation cushion, it’s almost noon. I feel scrambled, anxious, defeated, and testy. I’ve done nothing useful or ennobling. Most of my sit is a dreary process of slowly clearing the sludge.
첫째 아침에 나는 침대에서 내 폰으로 들어온 이메일을 확인하면서 하루를 시작한다. 월요일이 될 때까지 하기 싫은 몇 가지가 내 마음에 자리잡고 있다. 기분을 바꾸고 싶어 근질근질 하던 차에 반사적으로 워싱턴 포스트 닷컴을 열어본다. 내가 알아차리기도 전에 이미 우크라이나 이야기와 트럼프의 최근 기소문제에 무릎 깊이까지 푹 빠진다. 워싱턴 포스트와 뉴욕 타임스, 어틀랜틱 사이를 한 시간 동안이나 마지못해 왔다 갔다 하면서 마음은 아마 틀림없이 분주하게 달렸을 것이다. 이제 나는 세상 문제를 더 이상 차분하게 다룰 수 없게 되었으며, 기운이 쳐져 압도된 기분이 된 채 침대에서 몸을 일으켰다. 그렇지 않았더라면 멋진 토요일 되었을 텐데 하는 불쾌한 분위기가 나를 덮쳤다. 지금 순간을 놓치고 다시 여러 계정을 찾아다니면서 나빠져 가는 기분을 멈추려고 하였다. 이건 또 다른 나쁜 행동이었는데. 겨우 물을 좀 마시고, 음식을 조금 먹고 나서야 명상하는 방석에 앉아 진정할 수 있게 된 것은 거의 정오 무렵이다. 나는 뒤죽박죽 된 기분이고, 불안하며, 실패한 느낌이며, 짜증이 났다. 유용한 일이나 고상한 일을 전혀 하지 못한 것이다. 좌선하는 동안 대부분의 시간은 마음 속의 흙탕물이 가라앉는 지루한 과정이었다.
Two weeks later, I find myself in the middle of a thirty-day digital detox. I’ve radically limited my tech use for the month, a self-imposed drying-out period, an attempt to find my way out of the twisting labyrinths of distraction and compulsion. I wake up. My phone is in a dusty corner of my basement, where I stowed it before bed. I open my computer and press play on an Ajahn Sucitto Talk, which I downloaded from Dharma Seed the night before. The warm, wise, chuckling, voice of one of my favorite monks streams into my bedroom. I lie there for a half hour, listening, breathing, feeling, opening. I stretch and enjoy a cup of water. At this point, meditating is not a chore, instead it’s a delight. My zafu is as inviting as an iced coffee on a hot day. By noon, I’ve already meditated for two hours, listened to an entire dharma talk, and read a chapter from Stillness Flowing (an Ajahn Chah biography), the free PDF—another remarkable gift from the internet. I feel settled, clear, grounded, alive.
두 주가 지나 난 30일 동안 디지털 해독 과정에 들어갔다. 한 달 동안 기술의 사용을 급격하게 제한하면서, 자진하여 완전히 끊는 기간이 되었는데, 그건 혼란과 강박의 꼬불꼬불한 미로에서 출구를 찾으려는 노력이었다. 나는 깨어났다. 내 폰은 지하실의 먼지 쌓인 구석에 있다. 전에는 내 침대 옆에 모셔 두었던 것이다. 컴퓨터를 열어서 전날 밤 다르마-시드에서 다운로드한 아잔 수치토의 법문을 틀었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스님 중에 한 분이신 스님의 따뜻하고 지혜로우며 껄껄 웃으시는 목소리가 내 침실로 흘러 들어온다. 나는 반 시간 동안 누워서 경청하며, 호흡하며, 느끼며, 열린다. 나는 몸을 쭉 펴서 물 한 잔을 즐긴다. 이 순간 명상은 할 일이 아니라 즐거움이다. 내 좌복은 더운 날 냉 커피 같은 기꺼이 즐기고 싶은 일이 된다. 정오가 되자 난 거의 두 시간 동안 명상했으며, 법문 전체를 다 들었고, 인터넷이 주는 놀랄만한 또 다른 선물인 무료 피디에프에서 ‘고요함의 흐름(아잔 차의 전기)’의 한 챕터를 읽었다. 나는 안정되었으며, 맑아졌고, 차분해졌으며, 생생해졌다.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mornings is stark, but such is my life with and without digital sense restraint. Of course all of us have different ways we might meaningfully spend a Saturday morning, different things that might tempt and defeat us and different things that might uplift and inspire us. But for all of us, the little decisions about how we choose to engage or not engage with our digital technology, compounded over months and years, go a long way to determining the quality of our lives and whether we mature or wither dharmically.
두 가지 아침의 차이는 분명하다. 디지털 감각의 제어가 있고 없고 가 내 삶이 된다. 물론 우리 각자는 토요일 아침을 다른 방식으로 의미 있게 즉, 우리의 관심을 끄는 일이 우리를 실패하게 하든지, 우리를 고무하고 격려하든지 하는 일들을 하면서 보낼 것이다. 어쨌든 디지털 기술을 쓰든지 안 쓰든지 하는 소소한 선택이 달이 가고 해가 가면서 쌓여 우리 삶의 질이 결정되며 우리가 법답게 성숙되든지 시들든지 할 것이다.
The siren call of our screens is so compelling and the impact of those screens so significant, that being a 21st-century Buddhist requires us to also be digital minimalists. Digital minimalists? Digital minimalism is a term coined by computer scientist and author Cal Newport to describe a philosophy whose adherents carefully consider how digital technology either supports or undermines their deeply held values. It suggests that we start by identifying our values, and then reverse engineer what digital technology we use and in what ways. Digital minimalism assumes that there are all sorts of hidden costs to cluttering up our lives with various digital tech, and that we are better off when we are strategic about how we choose to engage with it.
스크린에서 나오는 매혹적인 부름은 저항하기 힘들며, 스크린의 영향력은 의미심장하기에 21세기 불자들은 디지털 미니멀리스트(디지털 기기를 최소한도 사용하려는 사람들)가 될 것을 요청받는다. 디지털 미니멀리스트라고? 디지털 미니멀리스트라는 말은 컴퓨터 과학자이자 저자인 칼 뉴포트가 디지털 기술이 보유한 가치가 어떻게 지지되고 망가지는지를 주의 깊게 사유하는 사람들의 철학을 묘사하기 위해 만들어 낸 개념이다. 그건 우리의 가치관을 확인하는 데서 시작하여 우리가 어떤 디지털 기술을 어떻게 사용하는가를 역으로 감독할 것을 제시한다. 디지털 미니멀리즘은 여러 가지 디지털 기술로 우리의 삶을 어질러 놓으면서 지불한 온갖 종류의 비용이 숨겨져 있다는 것과, 그런 기술과 어떻게 관계 맺을지를 전략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잘 살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A strong current of urgency runs through Buddhism. It is suffused with pressing reminders to consider how we use our time and attention, reminders to transform our “precious human birth” into a continuous cultivation (or, in the Mahayana tradition, uncovering) of wisdom, concentration, and virtue. In the Anguttara Nikaya, the Buddha exhorts his followers to “put forth extraordinary desire, effort, zeal,” and “enthusiasm” just “as one whose clothes or head had caught fire.” Indeed, the famous adage to “practice like your hair’s on fire” cuts across the various schools of Buddhism.
불교에는 긴급하고도 강력한 흐름이 관통한다. 그건 우리가 시간과 주의를 어떻게 쓰고 있는지 되돌아보는 시급한 알아차림과 고귀한 인간으로 태어났으면 지혜와 집중과 공덕을 지속적으로 계발하여(대승불교에서는 재발견 혹은 회복이라 한다) 변화시켜야 한다는 각성이다. 앙굿따라 니카야에서 부처님이 제자들에게 가르치길 “입은 옷과 머리에 불이 붙은 사람 처럼 비범한 원력과 정진과 열정을 발휘할 것”을 요구하였다. 그래서 그 유명한 구절 “머리에 붙은 불 끄듯이 정진하라”는 격언이 불교의 모든 종파에 퍼져 있다.
Tellingly, the Buddha’s final words to his followers before he dies are “appamadena sampadetha”—strive diligently. His rousing calls to diligence and heedfulness, his persistent reminders of the impossible rarity and preciousness of human life, are hardly compatible with scrolling mindlessly through an Instagram feed, the distracted perusal of political blogs, or stumbling down YouTube rabbit holes. At its most benign, thoughtless digital tech use serves as an entertaining distraction that crowds out a wholehearted pursuit of wisdom, concentration, and virtue, a proposition already quite troubling from a Buddhist perspective.
부처님이 돌아가시기 전 제자들에게 준 마지막 말씀인 “불방일 정정진-게으르지 말고 마음을 알아차려 정진하라”는 현저하게 효과적이다. 부지런함과 주의 깊음을 일깨우는 그분의 부르심과 인간의 삶은 희귀하고 가치가 있다는 걸 끈질기게 알려주심은 인스타그램에서 피드백을 보려고 마음 없이 마우스를 굴리거나, 정치문제 블로그를 빠르게 훑어보거나, 유투브의 토끼 굴에 빠져들거나 하는 것과는 전혀 함께 갈 수 없는 일이다. 아무리 장점이 있다 하더라도 그 산란한 걸 즐기려고 생각없이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는 건 지혜와 집중 및 공덕을 전심으로 추구하는 걸 밀어낼 것이다. 그건 불교적 관점으로 보아 벌써 문제를 어렵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But digital technology often goes further than simply distracting us from what really matters. Frequently, it pulls u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Buddhist values. Consider for yourself whether or not engagement with social media and other new digital technologies encourages fragmentation of attention or samadhi, agitation or serenity, outrage and vengeance or patience and tolerance, jealousy or empathetic joy, a reified sense of self and identity or the dissolution of a separate sense of self, blunt attention or refined attention, craving for constant stimulation or contentment.
그러나 디지털 기술은 진짜로 중요한 것으로부터 우리의 관심을 종종 멀어지게 할 뿐 아니라, 불교적 가치의 반대 방향으로 우리를 끌고가는 일이 더 자주 발생한다. 소셜 미디어과 새로 나온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든 안 하든 그런 것들이 당신의 주의력 혹은 삼매를 조각내서 산란하게 하거나 고요하게 하거나, 격노하게 하거나 앙갚음을 하게 하거나, 인내와 관용, 질투와 따라서-기뻐함(隨喜), 자아 정체성이 강화되거나, 분리된 개체라는 느낌이 해체되거나, 둔해진 주의 아니면 강화된 주의, 계속적으로 자극이나 만족을 갈망하게 만드는지 스스로 곰곰이 생각해보라.
-<다음 번으로 계속됩니다>
첫댓글 저는 집에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만 사용하는데 심심하면 마음의 호숫가에 와서 예전 글 읽거나 법문영상 봐요.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