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도립 공원 606m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검단산 534.7m
청량산 497m
연주봉 (467.6m)
수어장대
성남시
경기도 광주시,
서쪽으로는 과천시와 의왕시,
남쪽으로는 용인시,
북쪽으로는 하남시및
서울 서초구· 강남구송파구와 접한다.
시의 동쪽 끝은 상대원동,
서쪽 끝은 석운동,
남쪽 끝은 구미동,
북쪽 끝은 창곡동이며,
동서 길이는 9.3㎞,
남북 길이는 9.5㎞이다.
면적은 141.66㎢로
경기도 전체 면적의 1.4%에 해당하여
도내 31개 시·군 가운데 18번째로 넓다.
행정구역은 3구(수정구·중원구·분당구)
50행정동 44법정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분당구(69.72㎢)가 전체 면적의 49.2%를 차지한다.
인구는 2018년을 기준하여
97만 2280명으로 경기도 전체 인구의
7.2%를 차지하여 수원시·고양시·
용인시 다음으로 많다.
시를 상징하는 꽃은 철쭉,
나무는 은행나무, 새는 까치이다.
시를 대표하는 마스코트는 성남시의 지도
형상인 타원 이미지와 미래 첨단공간,
남한산성 의 역사적 이미지 등을
모티브로 하여 남녀 한 쌍으로
형상화한 '새남이'와 '새롱이'이다.
'새남이'에게는 발전하는 마천루의 형상을,
'새롱이'에게는 성남시 발전의 젖줄인
탄천을 모티브로 적용하여 전체적으로
성남시의 미래와 자연,
과학과 전통 환경 및 행복을 표현하였다.
시청 소재지는 여수동이다
남한산성 도립공원 코스
단대 오거리역 ㅡ신구대 ㅡ황송공원 ㅡ
검단산 우회 남한산성 도립 공원 ㅡ
제1남웅성 ㅡ남한산성 오거리ㅡ
남한산성 서문 ㅡ수어장대 ㅡ
남한산성 남문 ㅡ남한산성 유원지 입구
단대 오거리역 원점 산행 ㅡ
약 18km 약 7시간 산행
황송공원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과
상대원동 일원에 있는 공원
황송공원은 면적 390,731㎡의 근린 공원으로,
각종 운동을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체육 시설을
마련하여 시민의 정서 함양은 물론
건강 증진에 도움을 주고 있다.
특히 교통 교육장은 유소년에게
이론 교육과 병행한 현장 체험 학습
기회를 부여하여 교통 법규의 중요성과
질서 의식 확립에 기여하고 있다.
검단산 534.7m
경기도 성남시와
광주시의 경계를 이루는 산.
높이 534.7m로,
청량산(淸凉山)[479.9m]과 함께
광주산맥의 지맥으로서 남한산성과
연결되는 산줄기를 이루는 산이다.
탄천이 중앙부를 북류하고
그 좌우에 지류가 발원하는 산지가
형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凹형을 띠고 있다.
성남시의 지세에서 동쪽의 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서쪽에 위치하는 청계산(淸溪山)[618m] 줄기와
함께 전체적인 성남시의 동서 방향의 경계를 이룬다.
검단산의 동쪽 너머는 경안천 유역으로,
행정구역상 광주시에 해당한다.
남한산성도립공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경기도 성남시·하남시·
광주시에 걸쳐 있는 도립공원.
남한산성 도립공원은
경기도의 대표적인 도립공원으로
서울과 성남시민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근린자연공원이다.
산의 정상부를 포함한 내부는 상대적으로
완경사의 평지 그리고 외곽은 급경사의
사면으로 이루어진 국방상 천연
요새지의 특성을 살려 산성을 쌓았다.
산의 위용도 좋지만,
역사적 관광지로 널리 알려진 곳이다.
남한산성 제 1웅성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남한산성
내에 축조된 성곽 구조물.
옹성은 성문을 보호하기 위하여
성문 밖으로 또 한 겹의 성벽을 둘러 쌓아
이중의 성벽을 만드는 성곽 구조물이다.
현재 성남시 행정구역으로는 남한산성이
위치하는 청량산에서 남쪽으로 이어지는
검단산 정상부 바로 서쪽의 봉우리
(해발고도 531m)의 남쪽 옹성 중
하나가 위치하고 있다.
성내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 옹성을 통과해야 하고,
성문에서 밖으로 돌출되어 있어
접근하는 적을 삼면에서 입체적으로
공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설이다.
명칭 유래
남한산(南漢山)은 북한산에 대칭되는
이름으로 한강 남쪽의 산,
높은 산을 의미한다.
남한산은 산의 사방이 평지여서
밤보다 낮이 길다고 하여 일장산(日長山),
주장산(晝長山)이라고도 한다.
광주산맥의 영향 아래 있으며
주봉인 청량산(497.9m)을 중심으로
북쪽으로 연주봉 (467.6m),
동쪽으로 망월봉(502m)과
벌봉(515m)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성곽 내 평균고도는 350m로
성곽외부의 가파른 경사와는
대조적으로 넓은 구릉성 분지를 이루고 있다.
남한산성은 사적 제57호로 지정되어 있고
성내의 유물·유적도 경기도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남한산은 아름다운 자연경관 이외에
삼국시대부터 있었던 남한산성과,
수어장대(守禦將臺), 북문, 남문 등과
성곽이 남아 있고,
장경사(長慶寺), 문원사 등
문화재가 많은 역사적인 곳이고
어느 도립공원보다 등산로와
내부의 전시실,
숙박시설 등이 잘 되어 있다.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축조되어
조선시대 수도 한양을 지키던 성곽. 산성. 사적.
흔히 북한산성(北漢山城)과 함께
조선의 도성인 한양의 방어를 위하여
쌓은 산성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의 발굴조사 결과,
8세기 중반에 조성된 성벽과
건물터 등이 확인되어,
신라 주장성(晝長城)의
옛터였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조선시대 남한산성은
주봉인 해발 497.9m의
청량산을 중심으로
북쪽으로는 연주봉(467.6m),
동쪽으로는 망월봉(502m)과
벌봉(515m),
남쪽으로도 여러 봉우리를
연결하여 성벽을 쌓았다.
성벽의 바깥쪽은 경사가 급한데
비해 안쪽은 경사가 완만하여,
방어에 유리하면서도
적의 접근은 어려운 편이다.
봉암성(蜂巖城), 한봉성(漢峰城),
신남성(新南城) 등 3개의 외성과
5개의 옹성도 함께 연결되어
견고한 방어망을 구축하였다.
성벽과 성 안에는
많은 시설물과 건물이 있었지만,
지금은 동·서·남문루와 장대(將臺)·
돈대(墩臺)·보(堡)·누(壘)·암문·
우물 등의 방어 시설과 관청,
군사훈련 시설 등이 남아 있다.
남한산성의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게 인정되어 2014년 6월
카타르 도하에서 개최된 유네스코
총회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신규 등재되었다
남한산성 우익문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에
있는 남한산성의 서문(西門)이다.
남한산성을 처음 쌓았을 때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정조 3년(1799)에
개축하여 우익문(右翼門)이라 부른다.
1637년 1월 30일 인조가 세자와 함께
청나라 진영으로 들어가 항복할 때
이 문을 통과했다고 한다.
서쪽 경사면이 가파르기 때문에 물자를
이송하기는 힘들지만 서울 광나루와
송파나루 방면에서 산성으로
진입하는 가장 빠른 길이었다.
성문은 반원형 홍예문이며
높이 2.5m·폭 2.1m로 작고 좁다.
문 안쪽에는 2짝의 목재 판문이 있다.
정면 3칸·측면 1칸의 문루는 겹처마의 팔작지붕 양식이다.
수어장대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에 있는
조선후기 에 건립된 팔작지붕의 건물.
장대·성곽시설. 시도유형문화재.
아래층은 정면 5칸,
측면 4칸,
위층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2층 익공계
(翼工系) 팔작지붕건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호.
면적은 1층 105.08㎡, 2층 43.29㎡이다.
아래층 평면은 내진(內陣) 3×2칸과
외진(外陣) 5×4칸으로 구분되어 있다.
외부 정면에 ‘수어장대(守禦將臺)’
라고 쓴 현판이 있으며,
무망루(無忘樓)’라고 쓴 현판은
수어장대 내부에 있었던 것을
보호각을 새로 지어 그곳에서 보호관리
하면서 일반인들에게 공개하고 있다.
1624년(인조 2) 남한산성을 축조할 때
지은 4개의 장대 중 유일하게
남아 있는 중요한 건물이다.
남한산성 지화문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에
있는 남한산성의 남문(南門)이다.
남한산성 서남쪽 해발 370m 지점에 있다.
선조 때 남문·동문 등을 수축(修築)했다는
기록이 있는 것을 보아 그 이전부터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남한산성의 사대문 중 가장 크고 웅장하며
병자호란으로 인조가 산성으로
피신할 때 이 문을 통과하였다.
정조 3년(1779년) 성곽을
개축하면서부터 지화문이라 불렀다.
성문은 홍예문으로,
높이 4.75m·폭 3.35m·길이 8.6m이며
홍예기석 위에 17개의 홍예석을 쌓아 만들었다.
홍예문 좌우 성벽은 자연석을 수평줄에
맞춰 막돌 쌓기로 축조한 것이다.
1976년 복원된 문루는 정면
3칸·측면 3칸 규모이다.
가지마ㅡ
조 항조 노래ㅡ
아름답고 걷기 좋은길ㅡ
남한산성 검단산길ㅡ
https://youtu.be/JxQH1ySTz1A
사랑아 내사랑아ㅡ
염 수연 노래ㅡ
아름답고 걷기 좋은길ㅡ
남한산성 검단산길ㅡ
https://youtu.be/LjbjgHDev_A
민망한이름의조상ㅡ
역사 이름 ㅡ
한국사 속 실제로 있었던ㅡ
'민망' 이름 8명을 소개합니다 ㅡ
https://m.cafe.daum.net/rnqdmsekfl/VemV/189?svc=cafeapp
퇴행성관절이기는방법 ㅡ
무릎 염증 물빼기ㅡ
헬스하기ㅡ
아름답고 걷기좋은길 ㅡ
남한산성 검단산 자락ㅡ
산행하기
http://m.cafe.daum.net/rnqdmsekfl/VQoX/746?svc=cafeapp
가지마ㅡ
조항조 노래ㅡ
아름답고 걷기좋은길ㅡ
남한산성 검단산길ㅡ
http://m.cafe.daum.net/rnqdmsekfl/VeFx/688?svc=cafeapp
남한산성도립공원ㅡ
남문 수어장대 ㅡ
서문 연주봉 웅성 ㅡ
북문 행궁 유네스코
https://m.cafe.daum.net/rnqdmsekfl/VROU/68?svc=cafeapp
남한산성 도립공원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ㅡ
청량산 497m
검단산 연계산행
https://m.cafe.daum.net/rnqdmsekfl/VROU/45?svc=cafea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