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Packet Tracer로 구성한겁니다.
일단 라우터에 있는 각 인터페이스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알고 계셔야 할거 같네요^^;
브로드캐스트를 나눌수 있는 방법으론 라우터 및 vlan을 통해서 나눠지며 각 브로드캐스트 지역의 갯수는 라우터의 인터페이스 및 vlan갯수가 됩니다.
즉 라우터에 이더넷 구간과 시리얼 구간이 같은 IP대역이라 할지라도 서로 다른 네트워크가 되는겁니다
그리고 Router0의 라우팅 테이블을 보시면 Rotuer1의 192.168.20.0/24네트워크가 등록이 안된걸 확인할 수있습니다. 그래서 Router0에선 192.168.20.0/24 네트워크로 통신을 할수가 없고요.
Router1에서는 같은 이유로 192.168.10.1/24 네트워크와 통신이 불가능합니다.
대신 Router0와 Router1 사이의 구간인 192.168.1.0/24 네트워크는 라우터에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여서 라우팅테이블에 올라오기때문에 통신이 가능합니다.
첫댓글 아. 그래요? 말씀 감사합니다. 서버, PC랑 틀리네요. 제 사수는 라우터의 이더넷 ip와 서버 ip가 같은 대역이면 라우터에 그 서버 ip가 라우팅 안되어도, 통신이 된다고 하더라구요. 근데 라우터끼리는 아닌가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