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도(林道)란? 임도란 산림법에 의하여 산림의 효율적인 개발, 이용의 고도화. 임업의 기계화등 임업의 생산기반정비를 촉진하기 위하여 산림청장이 산림소유자의 동의를 받아 개설한 도로이기 때문에(산림법 제10조의 4) 개인의 다른 용도로는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므로 임도를 이용한 건축허가는 나지 않습니다.

➀주곡선 : -. 주로 많이 그린다고 해서 주곡선으라 칭하며 "B"를가리키며 가는 실선으로 되어있슴
-. 주곡선과 다음 주곡선의 간격은 25000:1 지도에서는 10M를, 50000:1 지도에서는 20M를 나타냄
➁계곡선 : -. B 의형태로 굵은 선으로 되어있슴
-. 계곡선과 계곡선의 간격은 25000:1 지도에서는 100M를 50000:1 지도에서는 200M 임
-. 주곡선 5개 마다 하나씩 그리는것이 계곡선임
➂능선 : "가"지점에서 "나"지점 사이가 산의 능선임
➃계곡 : C 선이 계곡으로 물이흐를것으로 예상됨
➄"가" 지점에서 "다" 방향으로는 경사가 완만하다고 볼수있슴
주곡선과 다음 주곡선의 간격이 넓으면 경사가 완만한것임
➅"가" 지점에서 "라" "마" 방향은 급경사임
주곡선과 주곡선의 간격이 좁으면 급경사를 나타냄
➆위 등고선 대로라면 "바"와 같은 산의 형태를 짐작할수 있슴
➇따라서 위 등고선을 가진 임야라면 "나" 지점에서 부터 "다" 지점은 개발의 여지가 있으나
"가" 지점부터 "라" , "마" 지점은 개발하기가 곤란할것임
➈위의 등고선도가 50000:1 지도이고 "바" 선의 끝지점에 도로가 있다면..
➉표고차는 "가" 지점이 200M 이고 "나" 지점이 140M 임을 알수있슴
▶표고차란 해발과는 상관없이 발을딛고 서있는 곳에서 부터 산의 정상까지 높이를 말함
6) 등고선(等高線 vontour)
지형도에는 고도 및 기복을 표시하기 위하여 등고선을 이용한다. 평균해수면을 기준면 0m로 하는 해발로부터의 수직거리로 나타내며 수평곡선이라고도 한다
1) 등고선의 종류
① 계곡선(지표등고선) : 고도 0m에서 시작하여 매 다섯 번째 등고선마다 굵은 실선으로 그려진다. 선 중간에 고도가 아라비아 숫자로 표시되어 이를 쉽게 알 수 있다.
② 주곡선(중간등고선) : 계곡선 사이를 5등분한 4개의 등고선으로 계속선보다 가는 선으로 그려져 있다.
③ 간곡선(보조등고선) : 경사가 완만하여 주곡선 간격으로는 나타낼 수 없는 지형의 형태나 특징을 표현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사용하는 갈색 파선으로 보통 주곡선 간격의 1/2로 표현한다.
④ 조곡선(보조등고선) : 선상지 등과 같이 지형이 완만한 곳이나 평탄지에서 작은 기복의 변화나 형상을 표현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하는 짧은 점선으로 간곡선 간격의 1/2로 표시하는 보조적인 등고선이다.
2) 등고선의 간격과 경사
지형도에서 어떤 지점의 경사가 얼마나 되는지 정확히 계산하기 위해서는 삼각함수표를 사용해야 한다. 이를 따르면 등고선 간격이 0.2mm면 경사도는 64 , 0.5mm면 39 , 1mm면 22 , 2mm면 11 , 5mm면 5 , 10mm면 2.5 가 된다. 이 수치는 2만5천이나 5만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3) 등고선의 특징
① 등고선은 지표면을 수평으로 자른 단면의 테이기 때문에 반드시 폐곡선(閉曲線)이다. 다시 말하면 어떤 등고선이든 지도상에서 돌고 돌아 다시 원점으로 오게 된다. 한 장의 지형도에서 테두리선(도곽선)에 등고선이 끊기더라도 인접한 지형도를 연결하면 등고선은 연결된다.
② 등고선은 지형이 돌출 되거나 수직절벽이 아니면 다른 등고선과 합쳐지거나 교차하지 않는다.
③ 등고선의 간격이 좁으면 경사가 급하고 넓으면 경사가 완만하다.
④ 능선이나 분수령의 등고선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볼록하게 뻗어나간 ∨자 또는 ∪자형태다.
⑤ 하천과 계곡의 등고선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볼록하게 파고 들어간 ∧자 또는 ∩자형태다.
첫댓글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