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광주일보 신춘문예당선작
나방의 긍정
오후랑
나의 낮은 열두 시간 더하기 열두 시간 꺼지지 않는 낮은 좀 우울 했어요 내 표정을 보고 웃는 것을 본 적이 없어요 꽃은 누구
에게나 공평하므로 그건 예외이고요
그래요 꽃 말고도 내게 향해줄 것을 찾다가 지난밤을 밤이 아닌 것처럼 꼴딱 샌 거죠 불어터진 라면발 같이 풀어진 졸음과 갓
삶은 계란처럼 뜨거운 열정이 마구 섞여 골라낼 이유 없는 은밀한 밤의 계단을 지나면
요란한 풀밭이 나와요 나는 투명 수채화처럼 색칠됐고요 겨드랑이가 부서질 듯이 날아봤어요 거친 붓칠 같은 숨결들이 빙빙
돌며 나의 길을 더 어지러이 파닥이게 하는 그런 일탈
조명발 좀 받아 보자고요 하룻밤쯤 멋진 이름으로 개명하고 싶어요 가령 별이라든가 주머니라든가 물론 작명소에 들러야죠
아핫 아버지 아시면
날갯죽지 확 꺾어 버리고 호적 파버린다 하실 텐데
괜찮아요 이미 얼굴을 다 잊어버린 이름들과 꽃 같은 조명 밑에 납작 엎드려 본 것이나 나선으로 머리를 흔들어대며 다 드러난
나를 외워댔던 일이나 또 너무 멀어 다시 올 리 없는 환각의 벽에 아주 시원하게 박치기를 해봐서
무서운 게 없어요
오후랑
1980년 완도 출생 .목포 가톨릭대학 졸업
심사평
“참신한 발상 안정적으로 끌어가는 솜씨 일품”
본심에 올라온 일곱 분의 작품에서 먼저 네 분의 작품을 가려 뽑았다. 김태춘의 시는 빛나는 문장이 있었다. “자고나면 아이들
이 사라지는 거야/바보 같은 바나나가 범인이라니” 같은 구절은 낯설고 참신하다. 오후랑의 시는 참신한 발상을 끌어가는 솜씨
가 일품이었으며 언어유희나 은유와 상징 사용에도 능했다.
이은정은 어떤 것이 시가 되는지는 알고 있다. 특히 ‘낙하’에서 화자의 불안한 심리를 “한꺼번에 실려 온 걸음 같아/난간에 부딪
히는 발소리”로 표현한 대목이 좋았다. 김혜윰의 시는 특히 “수술실로 들어가는 사람의 마지막 손을 놓친 듯/나의 목소리는 끝
까지 잠기고 있습니다” 같은 구절엔 눈길이 오래 머물렀다.
이 중 두 사람으로 선택지를 줄이는 데는 오래 걸리지 않았다. 이은정은 어떤 발견과 인식이 자기만의 개성에 이르지 못했다. 반전이나 재해석 없는 나열은 독자에게 감동을 줄 수 없다. 김혜윰의 시는 이미지나 진술들이 파편화 되었다는 점이 약점이었고,
시상을 끝까지 전개해 가는 힘이 약했다.
김태춘은 시적인 문장을 구사할 줄 알았고, 시적 감수성이 좋았다. 다만 “대상 없는 저주가 술병에 쌓이고 우리는 불판 위에서
자폭 한다” 같은 문장은 독자가 공감하기 어려웠고, “먼지 자욱한 광고가 끌고 가는 늘어진 시간” 같은 경우에도 관념을 사물화
한 점은 좋았으나, ‘광고가 끌고’에서 ‘끌고’에 의문표를 붙일 수밖에 없었다. 자기 문장의 옥석을 가려 더 밀도 높은 시를 써낸다면, 빛나는 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오후랑의 ‘나방의 긍정’을 당선작으로 뽑는다. 어떤 작품을 뽑아도 좋을 만큼 수준이 골랐다는 점에 신뢰가 갔다. 특히 “조명발
좀 받아 보자고요 하룻밤쯤 멋진 이름으로 개명하고 싶어요” 같은 엉뚱해 보이는 진술이 시적 일관성 속에서 살아있다는 게 돋
보였다.
심사위원 - 이대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