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5회 포교사 시험 문제
1. 다음은 부처님 당시의 시대 배경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부족장 중심제에서 점차 도시를 중심으로 한 군주제로 바뀌어 갔다.
② 경제적 부를 축적한 자산가들이 새로운 세력층으로 부상하였다.
③ 사성계급의 확립에 따라 베다의 신성성이 부각되었다.
④ 갠지즈강 중류 지역이 인도 문화의 중심이 되었다.
2. 다음 가르침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비구들이여, 길을 떠나라. 많은 사람들의 이익과 행복을 위해서, 세상을 불쌍히 여기고 인천의 이익과 행복을 위해서 두 사람이 함께 가지 말라. 비구들여, 처음도 좋고 중간도 좋고 끝도 좋게 법을 설하라."
① 흔히 ‘전도선언’이라고 하는 가르침이다.
② 기독교의 ‘산상수훈’에 비견되는 감동적인 가르침이다.
③ ‘거문고의 비유’라고 하는 가르침의 마지막 부분이다.
④ 부처님이 열반에 드시기 직전에 하신 설법이다.
3. 다음은 부처님의 십대제자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 연결된 것은?
① 라훌라 - 밀행제일 ② 가전연 - 해공제일
③ 아나율 - 천안제일 ④ 부루나 - 설법제일
가전연은 논의 제일, 해공제일은 수보리이다.
4. 다음 중 불교교단사에 있어 사부대중이 성립하게 된 시점은?
① 5비구의 출가 ② 빔비사라왕의 귀의
③ 마하파자파티의 출가 ④ 위제희 부인의 귀의
5. 다음 중 부처님이 성도시 얻은 삼명(三明)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천안명-자타의 과거세의 상을 밝게 아는 지혜
② 숙명명-미래 중생의 사생(死生)의 상을 밝게 아는 지혜
③ 누진명-불교의 진리를 밝게 깨달아 알고 번뇌를 단멸하는 지혜
④ 천이명-모든 중생의 염원을 밝게 아는 지혜
삼명은 숙명명, 천안명, 누진명인데 보기의 천안명과 숙명명의 설명이 바뀌어 있다.
6. 여래십호(如來十號) 중 ‘미혹의 세계를 잘 뛰어 넘어서 다시 생사의 바다로 물러나지 않는 분’이라는 뜻을 갖는 것은?
① 여래 ② 정변지 ③ 무상사 ④ 선서
* 여래십호[如來十號]
여래십호란 부처님의 열 가지 이름이다. 즉 부처님이라는 말과 동의어로서 경전에서는 이들을 사용하고 있다.
① 여래(如來 : Tath gata)란 쉽게 말해서 진리의 체험자라는 말이다. 즉 그렇게 오시고, 그렇게 가신 분이란 뜻이 있으므로 여래(如來)·여거(如去)라는 말로써 설명되고 있다. 대체로 여러 부처님의 이름을 들 경우 대승의 경전에서는 ○○여래라고 하게 된다. 이것은 여래십호의 맨 처음에 나오는 것으로서 여러 이름을 대표하는 의미가 있다.
② 응공(應供)은 아라한(阿羅漢 : Arhat)의 번역이다. 또는 살적이라 하여 번뇌의 적을 죽였다는 뜻이 있으며, 이 외에도 불생(不生)·진인(眞人)·응진(應眞)등으로 번역되고 있다.
③ 정변지(SamyakSambuddha)는 불(佛)과 같은 뜻이다. 즉 올바른 깨달음을 얻은 자라는 말이다. 그러므로 정변각(正邊覺)·등정각(等正覺) 또는 정각자(正覺者)라고도 불려진다. 즉 일체법을 다 깨달아서 요달하여 주변(周邊)치 않음이 없으신 분이라는 뜻이다.
④ 명행족(明行足)이란 지(知)와 행(行)이 완전한 자란 뜻이다. 《대지도론(大智度論)》에 의하면 삼명(三明)과 삼업(三業)을 원만하게 구족했다는 뜻에저 명행족이라 한다고 한다.
⑤ 선서(善逝:Sugata)는훌륭하게 완성된 자라는 뜻인데 호거(好去), 묘왕(竗往) 또는 호설(好說)이라고 번역되기도 한다. 즉 부처님은 여실히 저 언덕에 가서 다시 생사의 바다에 빠지지 않는다는 뜻에서 이렇게 부르는 것이다.
⑥ 세간해(世間解 :Lokavit)는 세간을 완전히 아는 자라는 뜻에서 지세간(知世間)이라고도 번역한다. 세간을 완전히 안다는 것은 세간의 원인과 더불어 그것의 도리를 잘 안다는 말이 된다.
⑦ 무상사(無上士) : Anuttara)는 최상의 인간이란 뜻이다. 즉 중생 가운데서 그보다 더높은 사람은 없다는 의미이다. 세간이나 출세간을 막론하고 가장 높은 이라는 뜻이다. 부처님은 일체법을 다 통달했기에 이렇게 무상사, 즉 최상의 인간이란 칭호를 듣게 되는 것이다.
⑧ 조어장부(調御丈夫:Purusa-damya-sarathi)는 사람을 조어하는 데 있어 훌륭한 능력을 가진 자라는 뜻이다. 부처님은 대자와 대비, 대지(大智)로써 중생에게 부드러운 말, 간절한 말 또는 가지가지 말을 써서 조복제어(調伏制御)하여 정도를 잃지 않게 하는 이라는 뜻이다.
⑨ 천인사(天人師)는 인천(人天)의 대도사, 또는 신들과 인간의 스승이란 말이다. 즉 선과 악을 잘 가르쳐서 도법에 의지하여 번뇌를 끊고 해탈을 얻게 하는 분이란 뜻이다.
⑩ 세존(世尊 :Bhagavat)은 복덕을 갖춘 자, 또는 높으신 스승님의 뜻이 있다. 이를 유공덕 (有功德)·파정지(破淨地) 등으로 번역하기도 하는데 이는 여러 가지 덕을 구족하고 있으므로 인천과 세상의 공경을 받는다는 의미가 있다. 이상 십호에 불(佛 : Buddha), 즉 부처님을 넣으면 11호가 되지만 이들을 통상 10호라고 칭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이름 외에도 부처님은 불타(佛陀)·대사(大師)·도사(導師)·모니(牟尼)·대선(大仙)·일체지(一切知)·북전(福田) 등으로 불려지기도 한다
7. 다음은 12연기설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12연기설을 관찰하는 방법에는 순관과 역관이 있다.
② 순관(順觀)은 고(苦)가 소멸하는 과정을 관찰하는 방법이다.
③ 마지막 항목인 노사(老死)는 다른 말로 고(苦)라고도 할 수 있다.
④ 고(苦)가 발생하는 과정으로 살펴보는 것을 유전연기라고 한다.
8. 다음은 12처설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바른 것은?
① 삼과설(三科說)에 포함되기도 한다. ② 십이연기의 초기적 형태이다.
③ 12처설은 6근(根)과 6식(識)로 이루어진다.
④ 18계에서 6도(道)를 뺀 나머지를 말한다.
* 오온(五蘊)·12처·18계(十八界)
처(āyatana)는 영역이나 장소의 의미로 '입'(入)이라고도 번역되므로 '십이입' 또는 '십이입처'라고도 한다. 6가지의 감각기관인 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와 이들 각각의 대상인 색·성·향·미·촉·법(色聲香味觸法)을 말한다. 앞의 여섯 기관을 6근(六根)·6내처(六內處)라 하고 뒤의 여섯 대상을 6경(六境)·6외처(六外處)라 하므로, 12처는 6근과 6경을 총칭한 것이다.
따라서 주관적이고 내적인 여섯 조건(六根)과 객관적이고 외적인 여섯 조건(六境)에는 각각 서로 대응관계가 있음을 묶어 표현한 것이 12처이다. 즉 눈은 색깔·형체에, 귀는 소리에, 코는 향기에, 혀는 맛에, 피부는 접촉되는 것에, 마음은 생각되는 것에 각기 대응한다.
원시불교에서 12처는 세계의 모든 것인 일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대상세계를 인식하는 감각기관인 6근은 곧 인간이라는 존재를 가리키고, 6경은 인간을 둘러싼 자연환경을 가리킨다고 이해된다. 따라서 12처는 원시불교 이래 불교를 대표하는 존재 체계의 하나로 간주되며, 오온(五蘊)·12처·18계(十八界)를 열거하여 '3과'(三科)라 칭한다.
9. 불도 수행의 최초의 위(位)에서 5종의 허물을 그치게 하기 위하여 닦는 수행법인 오정심관(五停心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사념관(思念觀) ② 부정관(不淨觀) ③ 자비관(慈悲觀) ④ 인연관(因緣觀)
오정심관은 부정관, 자비관, 인연관, 계분별관, 수식관의 5가지 이다.
10. 다음은 경전에 나타나는 여러 부처님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아미타불은 서방정토, 극락세계의 교주이다.
② 비로자나불은 법신불로서 미래불이다.
③ 비바시불은 과거 7불 중 제1불이다.
④ 시기불은 과거 장엄겁에 출현한 일천불 가운데 제999불이다.
11. 《화엄경》좰입법계품좱에 나오는 선재동자는 53선지식을 참방하고 마침내 이 보살을 만나 불도를 이루었다. 이 보살은 누구인가?
① 미륵보살 ② 보적보살 ③ 문수보살 ④ 보현보살
12. 《반야심경》 본문에서 구체적으로 열거되는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십팔계(十八界) ②삼선근(三善根) ③ 십이연기(十二緣起) ④사성제(四聖諦)
*삼선근
불도 수행의 요체가 되는 세 근기, 무탐(無貪), 무진(無瞋), 무치(無癡). 즉 탐욕이 없고, 성냄이 없으며, 어리석음이 없는 것, 이 세 가지 근기야말로 비할 데 없는 것으로서 마침내 깨달음으로 이끌어 주는 토대가 된다. 3선근은 3독(毒)에 대응하는 것이다. 3독과 반대되는 시(施), 자(慈), 혜(慧), 셋을 꼽기도 한다.
13. 다음 신라 불교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진흥왕 때 신라에서는 처음으로 백고좌법회와 팔관회를 실시하였다.
② 법흥왕 때 처음으로 불교가 고구려로부터 신라에 전래되었다.
③ 신라의 불교는 국왕을 교화하고 민중들을 선도하는 역할을 하였다.
④ 신라에 있어서 불교가 국가로부터 공인된 때는 6세기 경이다.
14. 신라의 왕손으로 15세에 중국으로 건너갔으며, 여러 나라 말에 능통하고 특히 유식에 정통하여 《해심밀경소》 10권을 남긴 스님은?
① 원측 ② 혜초 ③ 의상 ④ 자장
15. 다음 고려 시대 불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고려의 문벌귀족은 대체로 유교를 멀리하고 불교를 가까이 하였다.
② 대각국사 의천은 선종을 중심으로 교종의 융화를 이루었다.
③ 고려 후기에는 화엄종과 천태종이 크게 떨치고 대표적인 종파가 되었다.
④ 조계종은 심성의 도야를 강조함으로써 장차 성리학을 받아들일 수 있는 터전을 닦았다.
16. 다음은 대각국사 의천(義天)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바른 것은?
① 불교의 교리를 널리 연구하고자 인도에 유학하였다.
② 오월(吳越)에 건너가 중국 천태종을 부흥시키고 그 교조가 되었다.
③ 송, 거란, 일본 등지에서 불경을 수집하여 집성 간행하였다.
④ 《천태사교의》를 저술하여 천태종을 개창하였다.
17. 다음은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타당한 것은?
① 《삼국사기》보다 100년 앞서 편찬되었다.
② 고대의 전설과 불교관계의 기사를 많이 담은 역사서적이다.
③ 《삼국사기》에 비해 사대주의 경향이 강하다.
④ 고려의 대표적인 서적으로 현재 팔만대장경에 수록되어 있다.
18. 다음은 사문(沙門)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노력하는 사람이란 뜻이다.
② 정통바라문과 구별되는 새로운 사상가들을 말한다.
③ 외도였다가 삼보에 귀의한 자를 지칭하는 말이다.
④ 명상이나 혹독한 고행을 실천했다.
19. 다음은 연각(緣覺)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가까운 것은?
① 독각이라고도 하며 12연기에 의해 스스로 도를 깨달은 자이다.
② ‘소리를 듣는 자’라는 뜻으로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깨달은 자이다.
③ 사향사과(四向四果) 가운데 수다원향을 일컫는 말이다.
④ 깨달음을 구하면서 중생을 제도하는 대승불교의 이상적인 인간상이다.
20. 다음 중 중국불교의 특징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중국 고유의 사상과 서로 접촉하면서 끊임없이 발전하였다.
② 경전번역의 강습을 통하여 성립되었다.
③ 천태종이나 화엄종, 선종이 형성되었다.
④ 소승경전이 전래된 후 약 100년 뒤에 대승경전이 전래되었다.
21. 다음은 중국의 4대 역경가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불공 - 《섭대승론》《섭대승론석》 유식논서를 중심으로 번역하였다.
② 진제 - 전쟁 등 여러 고난 속에 어렵게 역경과 강습에 전력하였다.
③ 현장 - 불전 번역 사상 새 시기를 이룩한 신역의 대가이다.
④ 구마라집 - 구자국출신으로 중국에 삼론 중관 불교를 널리 포교하였다.
22. 다음은 최초의 불교사원인 죽림정사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타당한 것은?
① 이 절은 부처님과 인연이 많은 파사익왕이 건립하였다.
② 부처님이 가장 오랜 머무신 곳으로 24회 우안거를 나셨다.
③ 부처님이 열반에 드시기 직전 가란타장자가 보시하였다.
④ 마가다국의 수도였던 왕사성에 위치하였다.
23. 현존하는 삼국시대 탑으로 목조형식의 탑에서 석조탑으로 넘어가는 양식을 나타내는 백제의 탑은?
① 미륵사지 석탑 ② 감은사지 석탑③ 정림사지 석탑 ④ 불국사 삼층석탑
24. 다음 중 우리나라 3대 해상관음도량을 바르게 열거한 것은?
① 낙산사 향일암 보경사 ② 낙산사 보리암 낙가사
③ 낙산사 보리암 보경사 ④ 낙산사 보문사 보리암
25. 다음 중 경주 남산에 위치한 절터로 김시습의 《금오신화》와 관련된 곳은?
① 감은사지 ② 용장사지 ③ 고선사지 ④ 정림사지
26. 신라 법흥왕 때 보은 조사가 세운 사찰로서, 남북분단 이후 올해(1999년) 처음으로 금강산 순례단이 참배한, 현재 3층석탑과 석주만 남아있는 곳은?
① 신계사 ② 유점사 ③ 보경사 ④ 성주사
27. 《법화경》법사품에 나오는 법사의 자세와 거리가 먼 것은?
① 대분심(大憤心) ② 대자비심(大慈悲心)
③ 일체법공(一切法空) ④ 유화인욕(柔和忍辱)
28.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는 설법은 어떤 상황에서 하는 게 가장 적합할까? ·이론에 근거를 둔 설법·내용전달의 꾸준함과 지속성
① 화혼식 설법 ② 경전 강해 설법 ③ 시사 설법 ④ 영결식 설법
29. 이것은 어떤 사물이나 인물, 또는 행위를 금지하는 것이다. 금지를 하는 이유는 그 대상이 성스럽거나 위험하거나 또는 사회적으로 허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을 나타내는 알맞는 용어는 무엇인가?
① 타부 ② 애니마 ③ 마나 ④ 토템
30. 다음은 사찰구조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일주문은 사찰의 제일 첫문이며 기둥이 양쪽에 하나 씩만 세워져 있다.
② 삼성각은 산신, 독성, 칠성 등을 모시고 있다.
③ 교종이 강조된 곳에서는 금당을 대신하여 법당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④ 사찰 경내에 들어서면 불이문 근처에 범종각이 자리잡고 있기 마련이다.
31. 다음 중 《천수경》을 독경할 때 나오는 진언이 아닌 것은?
① 광명진언 ② 호신진언 ③ 참회진언 ④ 준제진언
천수경을 독송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출제된 문제이다.
32. 다음은 발우공양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발우공양이란 수행의 한 과정으로 행하기 때문에 법공양이라고도 한다.
② 밥을 받는 사람은 배식할 때 발우를 흔들어 밥의 양이 적당함을 알린다.
③ 가반과 감반은 배식이 끝난 뒤 순서에 준하여 한다.
④ 발우공양시 식사를 돌리는 것을 진지라고 한다.
33. 매달 있는 재일을 열거한 것이다. 맞지 않는 것은?
① 약사재일-음력8일 ② 지장재일-음력14일
③ 관음재일-음력24일 ④ 석가재일-음력30일
34. 다음은 한국 불교가 우리 사회에서 지도력을 도전받고 있는 원인을 설명한 것이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사회활동을 통한 각종 중생 구제 활동의 미약
② 계속되는 분규 가운데 승풍을 올바르게 세우지 못함
③ 신도의 교육과 조직화에 대한 방치
④ 불교보다 기독교 등 타종교에 대한 무종교인들의 호감
35. 다음은 현 우리 나라 포교전반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타당한 것은?
① 신도 조직화를 위해 기복 등 개인신앙을 인정해야 한다.
② 현 우리 나라 해외포교는 사회적, 경제적으로 낙후된 국가에 집중되어 있다.
③ 현재 사찰 수와 비슷하게 어린이 법회가 개설되고 있다.
④ 최소한의 공동선에 관심을 갖는 계층에게 불교의 사회적 정당성을 심어준다.
36. 다음 중 1988년 제정·공포되어 현재 시행되고 있는 불교관계법은?
① 불교재산관리법 ② 전통사찰보존법 ③ 사찰령 ④ 문화재보호법
37. 포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포교법에 제시된 포교방침이 아닌 것은?
① 삼보에 대한 불퇴전의 신심으로 깨달음의 성취와 불국토 건설에 나아가게 한다.
② 계정혜 삼학을 두루 갖추고 보살도를 실천하도록 한다.
③ 신도의 종단 참여 기회를 제공한다.
④ 교단과 불법을 호지해갈 호법정신과 대승원력을 함양하게 한다.
38. 사찰 운영위원회구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운영위원회는 소임을 맡은 승려와 신도로 구성한다.
② 사찰 신도회의 회장, 부회장은 당연직 운영위원이 된다.
③ 주지의 친 인척도 운영위원이 될 수 있다.
④ 운영위원회 위원은 주지가 위촉한다.
39. 종헌에 명시된 조계종의 종조는 누구인가?
① 신라 도선 국사 ② 신라 원효 국사 ③ 신라 도의 국사 ④ 신라 의상 국사
40. 불멸 후 약 100년 뒤 계율에 대한 다른 해석이 나타남으로, 야사를 중심으로 장로들에 의해 제2결집이 이루어졌다. 제 2 결집은 어디에서 행하여 졌는가?
① 왕사성 ② 베살리 ③ 화씨성 ④ 환림사
결집과 부파불교
제 1 결집(또는 왕사성 결집, 五百集法)
1) 불멸 직후 왕사성 교외 칠엽굴(七葉屈)에서 마하 가섭을 비롯한 5백 아라 한이 참석하여 경장과 율장을 수집, 편찬하였다.
2) 경장(經藏;敎法) : 아난존자 율장(律藏) - 우바리존자
3) 아함경과 율장이 결집
아함경(阿含經)은 전승된 가르침이란 뜻으로 교단의 규칙을 정하는 율에 대한 부처님의 말씀과 행적을 담은 각 경을 집대성한 경전, 부처님의 시 자로서 가장 가까이 오래 동안 모시었던 아난이 "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 (如是我聞)"라는 말을 서두로 부처님 말씀을 암송하면, 참가자 일동은 교 법을 정정하고 확인한 후 모두 함께 합송(合誦)하였다.
2. 제2결집(베살리결집, 七百集法)
1) 불멸 후 100년경 계율의 해석 문제로 승단 내부에 논쟁이 일어났는데 이에 대한 정리를 위하여 야사를 중심으로한 정통 보수적인 상좌승 700명이 베살리(Vesal)에서 결집
2) 경장과 율장의 수정, 보완과 논장(論藏)의 집성이 이루어 진 것으로 보인 다.
3) 보수적인 上座部와 진보적인 大衆部의 根本 2부로 분열됨, 상좌부는 불멸 후 100년경 학승인 大天이 5가지의 새로운 학설을 주장하여 전통적 불교 를 반대하자 이를 시인하는 일파인 대중부와 부인하는 상좌부가 생겼으 며 후에 300년동안 대중부에서는 8파로 분열되고 상좌부에서는 11파가 분파 되는 등 기원 전 1세기 경까지 총 20부파의 성립을 보게 된다.
* 대중부는 전통적 보수주의에 반대하는 자유주의파를 말한다.
4) 불멸후 100여년을 근본불교(根本佛敎)라 하며 초기의 경, 율, 론을 말하 며 원시불교, 초기불교라고 부른다.
5) 불멸후 100여년부터 기원 전 1세기경 까지를 부파시대(部派時代)라 하며 이 시대의 각 부파는 교법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를 시작하였는데, 이것을 법에 대한 연구라는 뜻이며 경·율·논 삼장 중 논부(論部)의 총칭을 아비 달마(阿毘達磨;abhidharma)교학이라 한다.각 부파는 독자적인 아비달마를 갖고 있으며 경, 율에 논을 추가하여 삼 장이 성립되기에 이른다.
3. 제3결집
기원전 3세기 마우리야 왕조 제3대인 아쇼카왕은 전 인도를 통일했으며, 인도의 주변은 물론 그리스까지 전도사를 파견한 독실한 불자였다.
아쇼카왕 시대에 수도인 파탈리푸드라에서 왕사(王師)인 묵갈리풋타 팃사 (Moggaliputta Tissa)의 주재로 경, 율, 논, 삼장을 집성하였다.
제 1, 2 결집본은 납방과 북방에 전래 된 반면 제 3 결집본은 남방불교에만 전래되었다.
4. 제 4결집
2세기전반 쿠산제3대 카니쉬카(Kanisuka)왕 시대에 바수미트라(Vasumitra) 의 주재로 캐시미르에 5백명의 비구들이 모여 결집사업을 행하게 하여 경, 율, 논 3장을 편찬하고, 이때에 논장으로 정리된 것이 대비바사론(大毘婆沙論)이다.
카니쉬카왕도 불교를 보호하고, 서역이나 중국, 한국 등에 널리 전도를 하는데 발판을 만들었다.
* 아비달마 교학-부파불교(部派佛敎)
부처님이 열반하신 후 계율이나 교리 해석 등으로 인하여 20여 부파로 분열되었는데 이 시기를 부파불교(部派佛敎)시대라 한다.
부파시대의 아비달마 교학은 아함(阿含)의 교설을 체계화하는데 기여를 하였지만 부처님의 교설을 아함에 한정하고, 훈고학(訓古學)적 해석으로 난해하고 번잡한 그리고 종교로서 활력이 아닌 무미건조한 불교가 이루어졌다.
일반 대중들로부터 소외를 당하기 시작하면서 대승불교가 발생되는 원인이 되었다.
아비달마 교학의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궁극적인 목적 : 열반은 불생불멸(不生不滅)하여 모든 유위상(有爲相)을 여 읜 무위열반(無爲涅槃)
*이상적 인간상 : 성문(聲聞) 4과의 가장 윗자리인 아라한(阿羅漢)
*특징 : 자리(自利) 위주의 불교, 출가자 위주의 볼교, 학문적인 불교 등
*문제점 : 자리(自利), 출가위주 그리고 문헌에 얽매인 해석과 이해의 어려 움 등으로 대중과 멀어지다.
<주관식> 15문항
1. 오분향 예불문에 나오는 말 가운데 제망찰해(帝網刹海)의 제망(帝網)’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설명하시오.
인드라망 또는 제석천의 보석 그물
오분향예불문을 알고 예불에 임하는 사람들이 답할 수 있는 문제. 제망이란 인드라신(제석천)의 보석그물을 말하는데 중중무진, 연기 등의 의미로까지 광의로 해석될 수 있다.
2. 과거의 부처님으로부터 현재 석가모니 부처님에 이르기까지 일곱 부처님이 모두 공통으로 전승하여 온 함축된 계목인 칠불통계게(七佛通戒偈)를 쓰시오.
모든 나쁜 짓을 하지 말고 온갖 착한 일들을 받들어 행하여 스스로 그 마음을 깨끗이 하라. 이것이 모든 부처님의 가르침이다. (諸惡莫作 衆善奉行 自淨其意 是諸佛敎)
3. 중국 오대산에서 문수보살의 영험을 받았으며, 다시 태화지(太和池) 부근을 지나쳤을 때, 신인(神人)으로부터 신라국을 수호하기 위하여 돌아가면 황룡사에 구층탑을 세우라는 말을 들은 스님은?
자장율사(慈裝律師)
4. 조선 세조 때 설치된 국역역경기관의 명칭은?
간경도감(刊經都監)
5. 설일체유부에서는 제법을 5위75법으로 분류하고 있다. 5위 다섯 가지를 쓰시오.
색법, 심법, 심소유법, 심불상응행법, 무위법
6. 중국에 불교가 전래되면서 불교사상을 유사한 중국사상과 연관시켜서 이해하였다. 그러므로 한역불전을 이해하는데 노장사상을 매개로 하기도 하고 노장사상을 습합시켜서 설명하는 풍조가 생겼다. 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격의불교(格義佛敎)
7. 힌두교의 신들 중에서 흔히 삼신일체로 불리며 각각 우주의 창조, 유지, 파괴를 담당하는 이들 3신의 이름은 무엇인가?
브라흐마, 비슈누, 쉬바
8. 다음은 설법교화의 방법 중 문답법에 대한 내용이다. (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순서대로 쓰시오.·
( ①일향기 ) - 상대방의 질문이 적절한 때에 그대로 긍정하는 방법·분별기 - 질문이 이치에 맞는지를 먼저 분별하고 그에 알맞게 대답하는 것·
( ②반힐기 ) - 질문을 받고 곧바로 대답하지 않고, 오히려 반문하여 잘못된 관념을 깨닫도록 하는 방법·사치기 - 질문이 이치에 합당하지 않거나 쓸모가 없을 때 침묵하는 방법
9. 새벽예불과 중송을 하기 전에 도량을 돌면서 아침 송주를 낭송하는 의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도량석
10.‘많은 사람들이 구름같이 모여서 일을 한다’, ‘함께 힘을 기울인다’, ‘여러 사람이 힘을 합하여 하는 일’이라는 의미로 사찰에서 진행되는 수행의 한 부분에 해당되는 것은?
울력 또는 운력(運力, 雲力)
11. 과거부터 꾸준히 제기되어 왔던 대한불교조계종의 3대사업은?
포교, 역경, 도제양성
12. 불기 2540년 ‘불교청소년의 해’를 맞이하여 결성된 전국 규모의 청소년 단체로 불교청소년 뿐만 아니라 일반청소년에게까지 문호를 개방한 초 종파적 청소년 법인체는?
사단법인 파라미타 청소년 협회
13. 우리나라 근대 최초의 의식 염불집으로 전 불교의식을 총망라, 현재까지 한국 불교의식을 위한 교과서 역할을 해온 안진호 스님의 저서는?
석문의범(釋門儀範)
14. 밀교의 성립에 있어 4세기에서 7세기의 기간은 밀교적 의례구조가 정확하게 정리되지 않은 시기이므로 잡부밀교(雜部密敎; 雜密)시대라고 일컬어지고 이 경전이 성립한 7세기 이후를 순수밀교(純粹密敎; 純密)시대라고 구분한다. 밀교의 시기적 구분을 삼는 이 경전의 이름은?
대일경(大日經)
15. 고대 인도에서 정통 출가 수행자는 네 가지에 의지하여 수행하였다. 그 가운데 비상약에 해당되는 것은?
부란약(腐爛藥)
<주관식> 15문항(문항당 2점)
1. 대승불교의 성립 배경이 되는 불탑신앙과 보살사상의 변천 과정을 연관지어 논술하시오.
부처님의 입멸후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불탑이 건립되고 아쇼카 왕에 의해 이 불탑은 광범위하게 건립되게 된다. 이 불탑은 그 유지와 관리를 출가 대중이 맡지 못하게 되어 있었다. 그런데 불자들 사이에서 이들 불탑을 순례하며 부처님의 덕을 찬양하는 것은 당시 매우 큰 흐름을 타게 되었고 이들 불탑의 예배와 호지를 맞는 재가신자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대체로 불탑에 공양 물건은 불물(佛物), 불탑이 위치한 곳은 불지(佛地)로 승가에 공양되는 승물(僧物), 숭가람이 위치한 승지(僧地)와는 구별되었으며 이 불물과 불지를 출가대중은 관리할 수 없게 되었다. 이것은 불탑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공양과 예배행위가 재가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불탑을 관리하는 비승비속의 전문가들이 등장하고 이들은 예배자들에게 불전을 설해주고, 부처님의 위대성, 전생의 보살행을 찬탄하며 그 대자대비함을 설명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이들은 보살의 자각에 눈뜨게 되고 이러한 보살의 자각과 보살사상의 확대가 대승불교를 일으키는 근원의 하나라고 하는 것이 불탑신앙과 대승불교의 성립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보살은 범어 bodhisattva의 번역인 보리살타(菩提薩?)를 줄인 말로서 깨달음을 의미하는 bodhi와 유정(有情), 중생(衆生)을 의미하는 sattva의 합성어이다. 따라서 보살은 보리(菩提:깨달음)를 추구하는 중생, 보리를 얻게될 유정을 의미한다.
이 보살이라는 말은 소승불교에서는 석가모니불의 성도하기 이전, 전생에 연등불로부터 성불하리라는 수기(授記)를 받고 여러 생동안 수행하던 전신을 보살이라고 부른다. 즉, 수기를 받은 수행자를 이러한 기별을 받지 못한 다른 수행자와 구별하는 말이 바로 이 보살이라는 말이었다. 이와 같이 소승불교의 보살은 성불의 수기를 받고 수행하는 수행자에게만 해당하는 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세존의 입멸 후 부처님의 위대한 생애와 전생담이 이야기되어지고 불전 문학이 성립되면서 보살의 의미는 확대되기 시작한다. 즉, 불전문학에서도 보살은 단 한사람, 석가모니불의 전생을 일컫는 말이지만 이러한 불전문학의 발달은 보살의 개념에 대한 자각과 확대를 가져 왔다.
대승불교에 접어들면서 일불(一佛)에서 다불(多佛)로 불신관(佛身觀)이 확대되고, 경전을 독송하고 불탑을 예배함으로써 대비(大悲)의 구세불인 부처님으로부터 수기를 받는 것이 가능하다는 생각에 이르게 되고, 또한 누구라도 전생의 부처님처럼 중생의 구제를 위해 헌신하는 사람은 모두가 보살이라는 자각이 생겨나게 된 것이다. 또한 본생경의 보살은 동물이나 재가자의 모습으로 등장하기도 하였으므로 보살이 궂이 출가자이어야 할 이유가 없었기에 출재가의 구분이 없었다.
비록 범부라 하더라도 보리심과 대비심을 일으켜 깨달음과 중생 구제를 추구하면 누구나 스스로 ‘보살’이라 칭할 수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보살에게는 먼저 중생 구제의 실천이 강조되었고, 자연히 ‘위로는 깨달음을 추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교화하는 사람’(上求菩提 下化衆生)으로 설명되고 자리와 이타를 완성하고자 용맹정진하는 자이므로 마하살타(摩訶薩 mahasattva ; 大士)라고도 불렸다. 이에 따라 대승불교에서는 큰 위신력을 가진 수많은 불보살이 출현하고 그 수도 무량무수로 많아지는 것이다. 문수보살, 보현보살, 관음보살, 지장 보살과 같은 큰 위신력을 가진 보살이 출현하게 되는 것은 바로 이와 같은 보살사상의 성립에 기반한 것이다.
이와 같은 대승보살의 특징은 바로 중생구제와 보리 성취의 서원(誓願)과 실천행이다. 이 원(願)과 행(行)이 보살의 보편적 실천 덕목으로 제시된 것이 바로 사홍서원(四弘誓願)이다.
2. 연기법의 의미와 4종 연기설에 대하여 약술하시오.
해설) 불교인이라면 누구나 알아야 할 연기법의 내용과 이 연기설이 후대에 업감연기, 아라야식 연기, 진여 연기, 법계 연기로 전환되는 과정을 알고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연기법은 많이 알고 있지만 4종 연기의 내용을 물으면서 난이도가 약간 높은 문제가 되었다.
① 업감연기(業感緣起)
소승의 연기론으로 세계의 삼라만상 일체현상이 변화해 마지않는 모습은 중생의 業因에 따라서 生起하는 것이란 세계관, 인생관, 곧 惑은 心의 병이고 業은 身의 惡이며 苦는 生死의 果報다.
마음의 병이 緣이 되어 몸으로 악을 짓고 이 身惡이 因이 되어 生死의 果를 받게 되므로 이것을 업감연기라 한다. 예컨대 사람의 경우로 말하면 몸과 가정, 국가, 사회, 세계가 다 感, 業, 苦의 三道의 展開며 이 모두가 業因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고 나타남이라는 것이다.
② 아뢰야식연기(阿賴耶識緣起)
업감연기설인 소승의 연기설 다음에 일어난 것이 아뢰야식 연기설이다.
이 연기설이 발생하게 된 이유는 업력에 의하여 생명과 세계(器世界)와의 과정이 설명되었으나, 좀더 깊이 생각하면 우리의 身, 口, 意 삼업에 의하여 조작된 소위 업이라는 것이 어디에 보존되는 것인가 하는 문제가 등장한다.
죽은 후는 나중이라도 살아 있을 때 업이 4蘊인 정신에 보존되는가, 色蘊육체에 존재하는가 하는 문제다. 그런데 이러한 문제에 관하여 설일체유부에서는 명확한 답을 내리지 못하였다. 이것의 해답이 아뢰야식연기로서, 우리가 행한 모든 업력은 이것을 종자라고 하고 설하여 그 모든 선악의 종자가 모두 아뢰야식 중에 보존되어 있다가 그것이 나타날 인연을 만날때에는 그로부터 다시 연기되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즉 我의 주체는 아뢰야식이 그것으로서 이 識으로부터 일체유정 각자의 자체와 밖의 세계인 器世間을 나타나게 한다는 것이 아뢰야식 연기설이다.
◎ 아뢰야식(阿賴耶識)=알라야식=윤회와 업의 주체
아뢰야는 범어 alaya의 음역으로서 八識(眼, 耳, 鼻, 舌, 身, 意, 末識, 阿賴耶) 혹은 九識(아마라식을 더함)의 하나, 무몰식(無沒識), 장식(藏識) 이라고도 하며 무몰식이라 함은 諸法을 執持하여 잃어 버리지 않는다는 뜻이며, 장식(藏識)이라 함은 諸法展開의 의지할 바탕이 되는 근본 마음 이라고 하는 것이다. 제법의 근본이기 때문에 本識이라고도 한다. 본성이 번뇌로 덮여 있지 않음.
◎ 아마라식(阿摩羅識)=아말식
아마라는 범어 amala의 음역으로서 미혹을 버리고 깨달음의 모습으로 전 환한 청정한 자리에 이른 것을 말한다. 곧, 우리들의 마음은 본연의 모습 에 있어서는 미망을 여읜 청정한 것으로 그것을 아마라식이라 부른다.
◎ 말나식(末那識)=마나식
말나는 범어 manas의 음역으로서 사량(思量)을 본질로 하는 識이다.
번뇌로 덮여있으며 我見, 我慢, 我愛, 我癡의 4번뇌를 늘 수반하여 알라 야식을 자애로 망상해 그것에 집착하는 작용을 말한다.
③ 진여연기(眞如緣起)=여래장 연기
아뢰야식 연기설 다음에 일어난 연기설로서 우주의 만상은 모두 일심진여의 理體로부터 일어 난다고 설함. 아뢰야식 연기설에서는 주관과 객관의 일체가 모두 아뢰야식의 변화로 나타난 바 아닌 것이 없다고 주장함은 곧 唯心論이다. 그러나 이러한 유심론으로서는 아직 철저한 절대유심론이 되지 못하고 상대적인 유심론이다. 그 이유는 각 개인의 아뢰야식으로부터 외계의 만법이 발생(轉變)한다는 점으로서는 물론 唯心說이지만 원래 유식가에서는 有情 각자가 수용하지 않을 물건은 이를 아뢰야식이 轉變하지 않는다는 것이 일종의 규범이 되어 있으므로, 자기의 아뢰야식이 전변한 것에 대하여서는 唯心, 唯識의 뜻이 성립된다고 할지라도 만약 자기가 전변하지 않는 타인의 아뢰야식이 변하는 바의 제법에 대하여서는 唯識無境義가 성립되지 않는 것이다.
즉 A는 A의 自識이 변한 諸法에 대하여 B는 B 自識이 변한 제법에 대하여만 唯識無境義가 성립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보편적인 유심체를 설정하여 그로부터 주관계 객관계의 모든 제법이 전개하는 것이라고 설하는 것이 소위 진여 연기설이다. 이 진여연기설은 기신론에서 구체적으로 이론을 전개하였다. 즉 진여가 움직여 眞과 妄이 화합한 아뢰야식 중에는 覺 , 不覺의 二義가 있으며 일체법을 能生할 不覺(無名)으로부터 우주와 인생이 연기하게 되는 것이다.
④ 법계연기(法界緣起): 법계 곧 우주 만유를 一大緣起로 보는 학설
법계무진연기(法界無盡緣起) 무진연기(無盡緣起)라고도 한다. 화엄철학의 중심이 된다. 만물이 서로 인연이 되고 있으며 상호 의존하고 있다고 하여 전 우주의 조화와 통일을 말한다. 중생과 부처님, 번뇌와 깨달음, 생사와 열반 등이 서로 대립되는 것이 아니라, 그대로 전우주(一卽一切, 一切卽一)라는 뜻에서 이러한 세계를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라고 한다. 따라서 이것은 우주의 기원에 관한 철학적이기보다는 우주의 통일성에 관한 철학이라고 하겠다. 법계연기는 업감연기(業感緣起), 아뢰야식연기(阿賴耶識緣起), 진여연기(眞如緣起)와 유기적인 관련을 갖고 있다.
즉 세계와 인생이 모두 업의 결과라는 업감연기에 대하여 그 업의 기원을 밝히는 것이 유식연기이다. 즉 인간의 아뢰야식에 일체법의 종자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아뢰야식은 개인의 본성에 의해 결정되며 이 본성은 진여에 근거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진여연기로서의 설명이 요청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현상세계와 진리의 세계와의 조화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으며 따라서 법계연기가 설해진 것이다.
3. 기독교인과의 대화 중에 여호와 신이 만물을 창조했다고 말한다. 이 주장에 대하여 불자님은 어떤 부처님의 가르침을 말하겠는가?
해설) 이 문제는 불교신문 포교사 고시 논술풀이 10월 15일자를 일부 변형하여 제출된 문제로서 점수를 주기 위해 낸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당시 풀이에 나와 있는 중아함의 도경을 인용하여도 좋고 자신의 생각을 성심껏 서술하면 되는 문제이다.
포교사 대비반 수업 모습
|
첫댓글 관세음보살 ()()()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찬탄합니다 관세음보살 고맙습니다
덕분입니다 덕분입니다
고마우신 부처님 대박 으샤으샤
관세음보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