쌈은 고기나 밥, 된장 등의 먹거리를 잎채소에 싸서 먹는 식문화 이다.
쌈 안에 들어가는 것은 주로 밥이나 고기 등이며, 겉에 싸는 잎은 상추, 배추, 쑥갓, 깻잎, 취, 케일 등이 있다. 쪄서 부드럽게 만든 다음에 싸먹는 호박잎과 양배추, 심지어 콩잎을 장아찌로 담가 싸먹기도 하고 그 외에 머위잎에 싸서 먹기도 한다. 미역이나 다시마 같은 해조류도 쌈의 종류에 들어간다.
쌈의 기원을 보면 고려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전하고 있으나 일부 기록에는 고구려의 상추가 유명해서 천금을 주고 종자를 사가 천금채라 불렸다는 것을 보면 고구려도 쌈을 먹긴 했던 모양이다. 신라시대 음식 중에서 주먹밥을 김에 싸서 먹는 복쌈이란 음식이 있었다고 한다.
옛날 염치없는 사람을 두고 눈칫밥 먹는 주제에 쌈밥까지 먹는다고 할 정도로 크게 먹는 쌈을 예의 없다고 여겼다. 이덕무가 저술한 사소절이나 조선시대 요리책에서도 쌈을 크게 먹는건 예의가 아니라 했다. 지금의 찐 깻잎쌈을 싸서 먹듯이 젓가락으로 잎을 집어서 밥을 조금 싼 다음 장을 따로 찍어먹는 조금은 갑갑한 방식이 예법이었다.
조선 중기의 문인인 류성룡은 한 손으로는 쌈을 싸 먹고 다른 한 손으로는 친구와 함께 바둑을 두면서 동시에 어려운 송사 두 개를 그대로 해결했다는 일화를 지니고 있다.
쌈은 왕실에서도 즐겨 먹을 정도였으나, 조선 후기에 와서 평민들에게도 보급되어 대중 음식이 된 후로 양반들은 잘 안 먹는 음식이 되었다. 정약용이 귀양 가서 집으로 보낸 편지를 살펴보면 '여기는 반찬이라고는 별로 없어서 상추에 그냥 밥을 싸먹는다'며 한탄하는 내용이 있다. 당시 상추는 양반들이 밥상이나 수저 등을 닦는 용도로도 쓰던 흔한 채소였다.
구한말 고종은 상추쌈을 즐겨먹었다고 한다. 생선조림, 새우볶음, 고기조림, 약고추장 등의 다양한 재료를 넣었으며 참기름을 살짝 찍어 먹었다고 한다.
취향에 따라 김치, 마늘 같은 반찬도 넣어 먹기도 하며, 쌈장, 된장, 고추장, 기름장을 찍어 먹기도 한다. 회, 과메기도 쌈으로 해서 먹기도 한다. 사실상 무엇이든지 채소잎에 넣고 싸 먹으면 되므로 셀 수 없이 많은 조합이 만들어진다. 먹다 남은 반찬도 쌈 재료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조리 안 된 생야채를 그대로 쓰고 더구나 도구가 아닌 손을 써야 한다는 점 때문에 외국인들에게는 약간의 거부감을 일으키는 식문화 중 하나이다. 다만 고기나 생선 생식과 달리 잎채소 생식은 서구권에서도 햄버거, 샌드위치나 샐러드 방식으로 이미 익숙하기 때문에 초밥이나 육회류에 비해서 인식이 무난하고, 방법의 문제이지 맛이나 건강 면에서는 호평하는 편이다. 한식의 해외 진출 속에 쌈 문화도 점차 해외 인지도를 쌓아가고 있다. 다만 아직까지 해외에 소개된 쌈은 한국처럼 먹는 사람이 즉석에서 싸먹는 형식보다는 요리사가 미리 한 입 크기로 싸서 낸 것을 먹는 형식으로 더 널리 알려져 있다.
한국의 쌈 음식이 자신이 알던 그 쌈과 다르다는 사실에 당황하는 외국인도 있긴 하다. 직접 싸먹는 한국식 쌈은 식문화가 그나마 비슷한 일본 정도를 제외하면 서구권에서는 직접 싸서 먹는다는 방식 자체가 굉장히 드물다. 또 한국에서 쌈을 처음 접한 외국인들의 경우엔 태반이 재료를 많이 넣어 크게 쌈을 만들고 베어 먹는데 아무래도 부리또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먹을 경우 부리또의 토르티야와 달리 양념과 육즙이 쌈채소에 스며들지 않기에 국물을 질질 흘리게 된다. 쌈은 한입에 먹을 수 있는 만큼의 재료를 넣고 한입에 먹는 방법이 정석이기에 미디어에서 외국인들이 쌈을 베어먹는 모습을 보면 한국인은 탄식하는 반응이 많다.
회를 쌈으로 먹는 경우도 있는데 대부분이 맛 자체가 약한 흰살생선류를 활어회로 먹는 경우다. 쌈채소와 함께 먹어도 살 자체가 탱글하기에 식감이 묻히지 않으며 부족한 맛을 쌈채소와 쌈장 같은 양념이 채워주기에 궁합이 좋다. 단 붉은살 생선이나 선어회의 경우엔 회자체의 맛을 즐기기에 쌈으로 먹는 경우는 드물다. 먹더라도 최소한의 양념과 쌈채소를 이용한다.
참고로 쌈을 쌀때 상추, 깻잎의 뒷면이 쌈의 안쪽, 앞면이 바깥쪽으로 되도록 싸서 먹으면 입에 닿는 부분이 잎채소의 매끈한 면이기 때문에 식감이 더 부드럽게 느껴진다.
보통 쌈은 들어가는 재료 보다는 쌈을 싸는 재료의 이름으로 구분짓는 경우가 많다. 고기쌈이라고 해서, 채소 대신 얇은 소고기로 음식을 싸먹는 쌈도 있다.
쌈밥은 쌈 재료 중에서도 밥이 주가 되는 음식 이다. 밥만 먹으면 심심하니 같이 싸먹기 좋으라고 자작하게 끓인 강된장, 우렁된장, 순두부찌개, 비지찌개 등을 같이 내준다. 특히 강된장은 호박잎에 싸서 먹으면 별미 이다. 우리나라 항공사에서도 기내식으로 쌈밥을 제공하고 있다.
월남쌈도 쌈의 일종이나, 한국의 쌈 기준으로 볼 때 쌀을 채소로 싸는 게 아니라 채소를 쌀로 싸는 정 반대의 스타일이며 엄밀히 보면 보쌈도 쌈 요리는 아니지만 쌈 요리 노릇을 한다.
출처: 나무위키, 한국의 요리.
우리는 왜 쌈을 먹을까? (youtube.com)
채소에 밥을 싸먹는 독특한 음식문화 [다큐_한국의맛 4부 생기활인의 식문화 ,쌈] (youtube.com)
첫댓글 집에서나 가끔씩 상추, 숙갓, 들깻잎등을 쌈으로 먹는 경우는 있으나,
식당음식에서는 절대 안 합니다.
비위생적이라는 선입견 때문에!ㅎㅎㅎ
그렇겠군요. 집에서 많이 드시면 되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