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곳에 있던 글을 그대로 옮겨온 글이니 말투에 대하여는 다시 한 번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글로 하자니 길게 썼지만, 실제 해보시면 아주 간단한 과정입니다.
요약하자면,
지적도 복사(스크린 프린트) - 그림판에 복사 - 필요한 부분만 따다가 - 엑셀에 붙여넣고
- (위에 과정을 반복해서) 또 따다가 붙이고..
- 엑셀에서 지적도그림을 이어 붙이고(그룹화)
- 그룹화된 그림을 완전한 하나의 그림으로 만들기 위하여 그룹화된 그림을 다시 그림판에 붙여넣기 했다가 다시 복사
- 엑셀 빈 쉬트에 다시 복사
- 지적도그림 바탕을 투명화
.
이게 답니다.
------------------ o ----------------------
*(2010.6.9 수정)
1. 인천시의 경우는 홈페이지에서 GIS영상을 직접 제공함.
강화,옹진군을 제외한 지역의 위성영상 및 연속지적도 제공.
- 인천시청 홈> 인사이드인천> 지도서비스> 개발사업,항공사진,지적도
http://211.253.98.134/website/incheon/viewer.asp
2. 지적도는, KLIS(한국토지정보시스템), LURiS(토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 온나라부동산정보통합포탈 에서
제공되고 있다. 다만 내가 원하는 번지 주변의 국한된 지적도가 제공 가능하다.
이 중, KLIS에서 개별공시지가 화면에서 제공하는 지적도는 바탕색이 없이 제공되므로
아래 설명에서 나오는 것처럼 엑셀에 붙여넣기하여 바탕색을 투명하게 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다른 서비스들에서는 지적도에 용도지역 등 규제에 따른 바탕색이 있어,
여기서 설명하고자 하는 지적도를 사용하기에는 불편하다.
----------------------------------------------------------------------------------
1. 토지이용 규제정보 시스템에 접속한다.
http://luris.moct.go.kr/web/index.jsp
* 지적도를 보려면,
토지이용규제정보 시스템(LURiS) 외에도
한국토지이용정보 시스템(KLIS) http://klis.gg.go.kr/sis/info/landuse/landuse.do
온나라 부동산정보 종합 포탈 http://www.onnara.go.kr/
등이 있다.
* 특히, KLIS 의 "부동산정보 통합 열람" 기능은 아주 쓸만한 정보를 한꺼번에 제공해 주고 있다.
그 번지에 건물이 있으면 그 건물이 무허가건물이 아니라면 건축물대장정보도 제공이 되고 있다.
* 한국 토지이용정보 시스템 중 경기도 것은 위 주소로 연결이 되고,
타 지방의 경우는 각 도청 홈페이지마다 KLIS 정보를 링크하고 있으므로 참고하시길.
2. 찾고자 하는 토지의 소재지, 지번을 입력한 후 "열람" 단추 클릭.
그러면 아래 그림처럼 그 토지의 지적도가 1/1,200 축척으로 나타난다.

3. "Prt Scr" (프린트 스크린) 단추를 한 번 눌러 화면을 캡쳐한 후
그림판에 붙여넣기한다.

4. 붙여 넣은 그림중 지적도 부분만 따내기를 한다.
그림판 좌측 상단에 점선으로 된 네모를 클릭하면 커서가 십자 형태로 바꾸는데,
그 상태에서 마우스 좌측을 누른 후 원하는 범위를 설정해서 따내면 된다.
* 아래 그림에서는 지적도의 테두리선 약간 안쪽으로 따내도록 범위를 설정했다.
- 왜냐?
필요할 때는 옆으로 계속 그림을 이어 붙여야 하니까
지적도의 테두리선이 있으면 보기에 혼란이 오니까.
* Tip(1) : 연속 지적도를 만드는 법
위 지적도에서, 내가 찾는 필지는 지적도의 중앙에 위치한다.
옆으로 확장하여 연속지적도를 만들고자 하면, 지적도중 테두리 쪽에 있는 지번을 다시 찾아보기를 하면 된다.
혹시 지적약도 책자를 가지고 있다면
(내지는 인터넷으로 연속지적도가 나오는 곳을 찾아냈다면
- 전에는 인천시청에서는 지적약도 책자를 인터넷으로 제공했었다. 지금은 아예 GIS영상을 제공한다.
따라서 인천 관내 토지는 시청 홈피를 찾아보면 된다.)
적당히 거리를 두고 지적도를 몇 번 검색해서 연속 지적도를 좀 더 쉽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 아래 그림은, 405-5 번지를 번저 찾은 후 테두리 쪽에 있던 405-22를 다시 찾은 사진이다.
* Tip(2) : 지적도의 축척
아래 그림중 "축척"에 내가 원하는 숫자를 넣으면, 지적도의 크기를 늘리고 줄일수 있다.

5. 따낸 그림을 엑셀에 붙여넣기를 한다.
아래 그림은, 두 개의 따낸 그림을 이어 붙인 것이다.
* 여기서, 아래그림의 "투명한 색 설정" 단추를 유의하자.
그림을 마우스 왼쪽으로 클릭한 후
이 단추를 클릭하고
그림(여기서는 지적도)중 원하는 색에 포인터를 옮겨 클릭해보자.
- 아래 그림중 아래의 지적도는 그림판에서 따온 지적도를 그대로 이어붙이기를 한 것이고,
위의 지적도는 지금 설명한 것 처럼 바탕색을 투명하게 한 후 이어 붙인 것이다.
- 그림을 다 이어 붙인 후, 엑셀의 바탕을 '하얀색'으로 설정해 보라.
보기 좋게, 아주 깨끗한 지적도가 나타난다.
- 그림을 다 이어 붙인 후,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그림을 그룹화한다.
(내지는 그룹화하기 전이라도, 그림을 다 선택한 후 Ctrl+C(콘트롤 키와 C를 동시에 누름)로 복사해서)
6. 그룹화한 그림을 그림판에 다시 붙여넣기했다가 다시 복사해서 엑셀에 붙여넣기를 한다.
(이 과정은, 엑셀에서 조각난 그림을 단지 "하나로 묶은" 정도인 그림을 완전히 "하나"의 그림으로 하는 과정이다)
- 엑셀에서 그룹화한 지적도그림을 복사해서 그림판에 다시 붙여넣기를 한다.
아래 그림에서 보이는 그림은
연속지적도를 만들기 위해 붙여넣은 두 개의 그림을 동시에 선택한 모양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 그림판에 다시 붙여넣은 그림을 Ctrl+A (전체선택) - Ctrl+C (복사)로 다시 복사해서
엑셀의 빈 쉬트에 다시 붙여넣기한 후 바탕을 다시 투명하게 한다.
** 그림판에서 새로운 그림을 붙여넣기하려면
'파일(F)' - '새로 만들기(N)' 순으로 눌러야 하는데,
(왼쪽) Alt - F - N 순으로 누르면 빨리 새로운 그림을 붙여넣을 준비화면이 된다.
*** 엑셀 2007에서는 그림을 클릭한 후 화면 위 메뉴중 "서식" - (맨 왼쪽에 있는) "다시 칠하기" - "투명한색 설정"을
순서대로 클리하면 된다.

그림이 들어가다 보니 긴 글이 되었는데,
실제 해보면 아주 간단한 절차이다.
오늘은 GIS를 실생활에 이용하기 위한 절차로서
엑셀에 지적도 그림을 붙여넣고 바탕을 투명하게 만드는 법을 소개했다.
다음에는 이 지적도를 위성영상/항공사진에 얹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DAUM은 항공사진, Naver는 위성사진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우리가 사용하는데야 뭐든 어떻습니까?
필요하면 구글 영상을 써도 그만이지요 뭐..
첫댓글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4번 설명관련인데요. 토지이용계획 도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후 배경화면 복사해서
엑셀화면에 붙여넣기해도 되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