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결혼과 출생 반등 분위기, 희망의 불씨 살려 나가자
조선일보
입력 2024.10.25. 00:30
https://www.chosun.com/opinion/editorial/2024/10/25/QVJBYCGKBZH35JQRUMSSTZRQKY/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2024년 5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5월 출생아는 1만 9549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514명(2.7%) 증가했다. 이날 인천 미추홀구 아인병원에서 간호사들이 신생아들을 돌보고 있다. 2024.7.24 /뉴스1
출생아 수가 올 2분기에 이어 7~8월에도 두 달 연속 증가하면서 연 0.7명대까지 추락한 합계출산율이 바닥을 찍고 반등하는 것 아니냐는 예측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통계청 인구동향 자료에 따르면 8월 출생아 수는 2만98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1124명(6%) 늘었다. 지난 7월 2만601명(8% 증가)에 이어 두 달 연속 비교적 큰 폭 증가하면서 월 출생아 수가 2만명을 웃돌았다. 오랜만에 들려오는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출생아 수 증감을 예측할 수 있는 혼인도 증가하고 미혼 남녀의 결혼과 출산 의향도 조금씩 늘어나는 것도 긍정적인 신호다. 8월 혼인 건수는 1만7527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2917건(20%) 늘었고 지난 7월엔 1만8811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33% 증가했다. 7~8월 같은 혼인·출산아 수 증가 추세가 이어지면 올해 연간 출생아 수가 9년 만에 증가세로 들어설 수 있다는 희망적인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번 결혼과 출생아 수 반등 분위기가 일시적인지 일정한 추세를 탄 것인지 아직 예단하긴 어렵다. 코로나 때 미룬 결혼이 늘면서 출생으로 이어졌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연간 출생아 수가 30만명 수준은 돼야 저출생 반등이라 할 수 있다는 견해도 적지 않다. 지금은 23만명 정도다. 그렇더라도 저출생은 백약이 무효라며 비관적인 분위기가 우리 사회에 팽배했던 때와는 분위기가 달라진 것이 분명하다.
아직 출생과 결혼이 늘어난 정확한 원인은 모른다. 신혼·출산 가구 대상 주택 공급을 확대하고 육아휴직 급여 상한을 내년부터 월 최대 250만원으로 인상하는 등 각종 지원책이 어느 정도 효과를 냈을 수 있다. 정부와 지자체, 기업은 이번 결혼·출산 반등이 일시적인지 아니면 추세적인지, 그 원인은 무엇인지 잘 분석해야 한다. 어떤 정책이 어떤 계층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파악해야 더 효율적인 저출생 극복 대책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젊은이들에게 결혼하고 아이를 낳는 것이 좋은 선택이고, 거기에 사회가 함께 하겠다는 메시지를 분명하고 일관되게 주면서 실질적인 정책을 지속하는 것만이 저출생을 극복하는 방법이다.
박근혜
2024.10.25 04:54:29
육아휴직 수당 확대,신혼부부 주택공급, 육아비 지원 등으로 저출산 극복합시다. 대한민국은 이 위기를 반드시 극복할 것입니다.
답글작성
16
1
무수옹
2024.10.25 03:13:19
듣던 중 반가운 소식이다. 난 솔직하게 고백하자면 '둘만 낳아 잘 기르자'라는 국책에 순순히 응한 것이 후회된다. 그렇지 않았다면 7형제, 아니 1 다스 자식을 두었으면 지금 얼마나 좋을까 란 이따금 뚱딴지 같은 생각도 해본다. 국가 다산 기획을 획기적으로 전환시키고, 다자녀 가정을 물심 양면으로 전폭 지지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답글1
16
1
심연식
2024.10.25 04:55:29
인구 소멸국 된 한국의 미래가 걱정된 상태였는데 다시 신생아 출생율이 반등하여 늘어나는 현상이 보이고 있다니 이제 희망을 가저 보는 미래가 엿보인다 국토방위한 군의 병력수가 눈에 뛰게 달라지는 우리의 현실이 안타갑고 걱정되였데 정말 대한민국을 하늘님 보살피 것을 포기 하지 않아다
답글1
12
1
새벽닭
2024.10.25 08:40:42
자식을 가진다는것은 크나 큰 축복이다 낳아 보기 전엔 절대모른다
답글작성
1
0
duvent
2024.10.25 07:32:16
사회적 가치관 바뀌면 저절로 해결된다. 대통령 부부와 국무총리 부부도 애 안 낳는데... 사회풍조를 개선하지 않으면 애 안 낳는다. 한국에선 ‘개모차’가 유모차보다 더 팔린다. 결혼해도 사랑과 희생과 헌신이 전제되지 않는다. 포퓰리즘으로 인하여 나라 전체가 빚덩이가 되어 무슨 희망이 있다고 애를 낳겠는가? 이런 사회적 풍조가 만연해 있는데... “아이를 기르는 것이 돈을 많이 버는 것 못지않게 행복한 일이다"라는 사회풍조가 조성돼야 한다
답글작성
1
0
상사화 1
2024.10.25 07:10:29
초저출산 현상으로 인구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줄어 드는 인구절벽을 맞이 하기 전에 정부의 초적극적인 지원과 대책마련으로 반드시 극복해야 할 중요한 국가적 사명이자 해결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국가 존망과도 직결되며 무엇보다 인구가 줄어 들게 되면 정말 수많은 사회적 문제가 야기됨을 굳이 설명치 않아도 잘 알지 않을까요?
답글1
1
1
북한산 산신령
2024.10.25 06:42:14
인구증가는 국가의 생존에 중요하다 전국민이 적극적으로 대처해서 캠페인 벌리자
답글작성
1
0
프라우다
2024.10.25 08:09:45
한국 저출산의 가장 큰 요인 중의 하나가 늦은 결혼이다.지금 한국 여성의 평균 초혼 연령은 32세 수준이다.이런 늦은 결혼으론 많아야 1~2명의 출산만 가능하다.여성 평균 초혼 연령이 5년 낮아져 27세만 되더라도 합계 출산율 1.5명 수준은 어려운게 아니다.50,60년대엔 여자가 25세를 넘기도록 시집을 못가면 노처녀라고 불렸다.늦은 결혼은 일종의 한국의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지금 한국 젊은이들은 결혼을 속박,구속으로 여긴다.그래서 젊음을 엔조이 하고 난 다음,사회 기반을 확실히 잡은 다음 결혼하겠다는 생각으로 가득하다.결혼이 즐거운 속박이고 자기 인생을 만들어 가는 중요한 과정이다는 것을 인식 못하고 있다.모든 일엔 때가 있다.인생 선배들은 한결같이 말할 거다.결혼은 가능하다면 빨리하는 게 좋다고.
답글작성
0
0
솔바람 88
2024.10.25 07:59:19
저출산......반려견이 문제다. 아이키우는대신 개를......
답글작성
0
0
youme
2024.10.25 07:32:31
[안전하게 먹고 살 수 있는 사회] 이런 사회를 만들면, 인구 감소의 가장 큰 원인이 사라질 것이다. 잔혹한 현실 때문에 자녀를 가지지 않기로 생각했었다는 노벨상 수상자 한강이다. 보다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포기하고, 자녀를 갖지 않는다면 인류는 멸망할 것이다. 이런 생각에 국민들이 물들지 말아야 한다. 사람은 모든 것에 앞서 먹고 살 수 있어야 한다. 우리 역사상 이 문제를 처음으로 해결했던 사람이 박정희다. 그는 뼈저리게 배고픔의 고통을 이해했고, 그것을 우리 국민의 숙명으로 받아들인 것이 아니다. 그는 세상을 바꾸기 위해 5.16을 한 것이다. 예로부터 위정자가 국가경영을 잘못해서, 사람들이 먹고 살 수가 없으면, 법과 제도, 윤리가 무너지는 난세가 되는 것이다. 난세가 되면 범죄 집단이나 이상한 사상 집단이 득세하게 되고, 우리의 삶은 더욱 어려워진다. 사람 사는 사회, 정의로운 사회 이전에 먹고 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
답글작성
0
0
uni1119
2024.10.25 06:25:26
좌파들이 돈풀리즘 하여 매표하는 돈은 있는데, 인구증가 유도 자금이 없다는게 말이 되나?! 출산장려 포상금을 획기적으로 주어야 멸절되는 나라를 구할 수 있다고 봅니다.
답글작성
0
1
CS06
2024.10.25 05:51:36
좋은 소식인데 코로나때문에 미뤄졌던 현상 으로 보인다. 힘들더라도 두명의 자녀는 키워야 하는데 무자녀 부부들 50줄 되면 후회한다고 하더라.
답글작성
0
1
anak
2024.10.25 05:47:49
중소기업도 대기업임금의 70% 수준은 돼야 애를 낳지
답글작성
0
0
산천어
2024.10.25 05:10:47
우리 젊은이들 고맙다. 계속 생식하고 번성하라!
답글작성
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