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SK하이닉스의 예고된 도약, 기업 살길은 도전과 혁신뿐
조선일보
입력 2024.10.25. 00:25
https://www.chosun.com/opinion/editorial/2024/10/25/7DWVC6TM3ZHFRFS6SXMBPX73UA/
SK하이닉스가 고대역폭 메모리(HBM) 효과로 올해 3분기에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사진은 24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제 26회 반도체 대전 SEDEX 2024 SK하이닉스 부스에 전시된 HBM 모델. /연합뉴스
SK하이닉스가 3분기 중 매출 17조5731억원, 영업이익 7조300억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고 실적을 냈다. 영업이익률이 매출액의 40%에 달한다. 3분기 이익이 4조원대로 추정되는 삼성전자를 제치고 메모리 반도체 이익 1위 기업으로 올라선 것이다. 하이닉스의 역대 최고 실적은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AI 반도체 시장을 석권한 엔비디아에 고성능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사실상 독점 공급하고 있는 덕이다.
3분기 중 하이닉스의 HBM 매출은 전 분기 대비 70%, 전년 동기 대비 330% 이상 급증하며 효자 노릇을 톡톡히 했다. 삼성전자가 부진한 3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반도체 부문장이 “걱정을 끼쳐 송구하다”는 사과문을 발표한 것과 대조적이다. 하이닉스는 차세대 HBM3E 12단 제품을 4분기부터 본격 출하해 반도체 매출 중 HBM 비율이 4분기엔 40%로 올라설 것이며 HBM 시장의 우위를 계속 지켜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하이닉스의 성공은 경영진과 기술진이 합심해 미래 기술 트렌드를 읽고, 기술 혁신과 연구·개발에 과감하게 투자해 온 덕분이다. 하이닉스는 D램 반도체보다 대용량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고대역폭 메모리의 잠재력을 주목하고, 2009년 세계 최초로 HBM 반도체를 개발했다. 당시엔 HBM이 널리 쓰일 만큼 고성능 컴퓨팅 시장이 무르익지 않아 수요가 기대만큼 늘지 않았다. 하지만 하이닉스는 HBM의 성능을 더 높이는 연구·개발을 10년 이상 이어갔다. 그 과정에서 반도체 칩을 쌓아 올린 뒤 칩과 칩 사이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공간 사이에 액체 형태의 보호재를 주입하고 굳히는 MR-MUF 공법을 독자 개발, HBM의 약점인 발열 문제를 해결하고 수율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데 성공했다. 이렇게 개발된 최고 성능의 HBM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앞다퉈 구매하려는 AI 반도체에 최적의 메모리로 평가받고 있다.
하이닉스의 성공엔 제품 개발 단계에서부터 고객인 엔비디아와 소통하며 긴밀한 협업 체계를 구축한 것도 큰 몫을 했다. 이렇게 구축된 미국 엔비디아, 대만 TSMC, SK하이닉스의 ‘3각 동맹’은 AI 시대를 맞아 강력한 시너지 효과를 내며 세계 AI 반도체 시장을 석권하고 있다. 세 기업은 모두 역대급 실적을 자랑하고 있다. 하이닉스의 도약은 기업이 살 길은 끊임없는 도전과 혁신뿐이라는 걸 보여준다.
무수옹
2024.10.25 03:20:58
문가가 삼성을 해체시키려던 마스타플랜 덕 아닌가?
답글작성
31
2
풍향계
2024.10.25 05:12:58
미래를 내다보는 과감한 도전과 혁신, SK하이닉스를 격하게 응원한다.
답글작성
28
1
박근혜
2024.10.25 05:00:23
미래 트렌드를 미리 읽고 준비한 결과입니다. 이를 교훈삼아 다른 기업들도 현재 수준에 머물지말고, 지속적인 연구와 세밀한 시장 분석을 통해 세계적 기업으로 한층 더 도약해야 합니다.
답글작성
26
0
uni1119
2024.10.25 06:30:24
문재인을 뽑아준 국민들은 삼성의 위축을 보면서 뭐 느끼는게 없나요? 당신들은 현재의 국민뿐만아니라 미래의 후손들에게도 큰 죄를 지었음을 깨달아야 합니다.
답글작성
6
0
상사화 1
2024.10.25 07:17:07
먼저, 진심으로 축하하며 어찌 비단 하이닉스만의 일이겠는가? 국가,지자체,또한 대한민국을 지탱하는 모든 분야에 적용돼야 하고 무엇보다 대외 무역으로 성장하는 우리 기업들의 분발을 촉구하며 더욱 발전하길 바라는 마음이다.화이팅 ^~^
답글1
5
1
CS06
2024.10.25 06:01:08
문재인 시절 회양연화였다고 하는 사람의 대권욕심이 이루어지면 어떻게 될까.
답글작성
5
1
duvent
2024.10.25 07:21:50
양산골개버린 고정간첩 뭉가가 세계제1의 삼성을 해체시키려던 의도 때문 아닌가? 삼성 박살, SK 띄우기의 결과물이다.
답글작성
4
1
산천어
2024.10.25 05:25:50
모든 일이 그렇다. 도전과 혁신이 없으면 必滅 뿐이다. 생물의 세계도 똑같다. 진화하지 않는 생물은 거의 멸종했다. 한 개인도 마찬가지이다. 자신의 향상을 위하여 계속 노력하지 않으면 반드시 실패한다. 끊임없는 도전과 혁신만이 모든 생명체와 인간이 만든 조직의 번성의 원천이다.
답글작성
4
0
동네머슴
2024.10.25 07:13:55
어떤기업이던지 미래를 생각해야 앞날이밝다.
답글작성
3
1
북한산 산신령
2024.10.25 06:43:38
옳은말이다 국가도 마찬가지다 전국민들이 도전과 혁신으로 국가발전에 기여합시다
답글작성
3
0
anak
2024.10.25 05:48:57
문가때 삼성 박살 SK 띄우기 결과가 이제
답글작성
3
1
more4more
2024.10.25 08:44:02
운이 좋았을 뿐! 내일은 몰라.
답글작성
2
0
프라우다
2024.10.25 08:12:34
태만,자만은 기업을 망하게 한다.일본 전자 업체들,코닥,노키아,인텔,삼성전자가 그랬다.
답글작성
2
0
새벽닭
2024.10.25 08:43:53
정치인과 공무원은 경제의 운동장에서 빠져라 그냥 뒤에서 주전자로 물이나 열심히 날라라
답글작성
1
0
youme
2024.10.25 07:04:06
[국가 경영과 기업 경영의 차이] 먹기 위해 사는 것이 아니고, 살기 위해 먹는 것이다. 기업 경영의 목적은 고객 만족에 있지만 아니지만, 기업의 유지, 발전을 위해서 이윤을 필요로 한다. 국가 경영의 목적은 국민 만족에 있으며, 국가의 존속에 필요한 자금을 세금을 통해 조달한다. 기업은 변화하는 환경 및 치열한 경쟁 때문에, 끊임없는 개선과 혁신을 필요로 한다. 이에 맞추어서 학자들이 새로운 이론과 관행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그러나 국가 경영의 영역에 있어서는 정치가들이 새로운 이론과 관행의 연구에 관심을 가지기 보다, 경쟁자를 비난하고 약화시키는 일에 골몰하는 경향이 있다. 국민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 권력자 및 경쟁자에게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국가 경영에도 끊임 없는 개선과 혁신이 필요하기는 마찬가지이다.그리고, 혁신이란 어렵고도 위험한 일이다. 혁신에도 존속적 혁신과 파괴적 혁신의 2가지 유형이 있는데, 혁신의 방향을 잘못 잡으면 기업이 위험해질 수 있는 것이다.
답글작성
1
1
淺學菲才
2024.10.25 05:34:18
삼성은 돈 자랑하다가 낙오 ..
답글작성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