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이란? 01. 자가투여주사하는 당뇨병 치료제 (생물의약품)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02. 자가투여주사하는 당뇨병 치료제 (생물의약품)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02. 당뇨병은 인슐린의 결핍 또는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혈당 조절에 이상이 생겨 고혈당증 및 관련 합병증이 동반되는 질환입니다. 당뇨병 치료는 식사요법, 운동요법과 더불어 혈당강하제 치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1형 당뇨병의 경우에는 반드시 인슐린 치료가 필요한 특징이 있습니다. 당뇨병 진단 후 혈당 관리를 소홀히 하면 우리 몸의 대혈관과 미세혈관, 신경에 합병증 발생위험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철저한 혈당 관리가 필요합니다. 각 제품의 약효 발현시간 및 지속시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가투여주사하는 당뇨병 치료제에는 인슐린,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 제제(GLP-1 작용제)가 있습니다. 인슐린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제1형 당뇨병 환자 - 경구혈당강하제로 목표혈당에 도달하지 못한 제2형 당뇨병 환자 - 진단 당시 고혈당이 심한 제2형 당뇨병 환자 GLP-1 작용제의 특징 - GLP-1 작용제는 혈당에 따라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음식물의 위배출 시간을 지연하는 기전으로 혈당을 조절하는 약물입니다. -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인슐린은 어떻게 구분되나요? 03. 인슐린은 약효 발현시간 및 지속시간에 따라 초속효성, 속효성, 중간형, 지속형, 혼합형으로 구분됩니다. - 초속효성, 속효성 인슐린은 식사 시 분비되는 인슐린 역할로 식후 혈당을 조절합니다. - 중간형, 지속형 인슐린은 식사와 상관없이 기본적으로 분비 되는 기저 인슐린 역할을 합니다. - 혼합형 인슐린은 속효성 인슐린과 중간형 인슐린이 일정 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인슐린입니다. 0 혈중인슐린농도 2 4 6 8 10 12 14 16 18 20 22 24 (시간) 초속효성 인슐린 속효성 인슐린 중간형 인슐린 지속형 인슐린 (디터머) 지속형 인슐린 (글라진) 지속형 인슐린 (글라진 U0300, 데글루덱) 구분 종류 성분명 제품명 약효 발현 시간(최대 발현시간) 약효 지속시간 투여 간격 인슐린 초속효성 인슐린 아스파트 노보래피드Ⓡ 피아스프Ⓡ 5~15분 (0.5~1.5시간) 글루리신 애피드라Ⓡ 4~6시간 라이스프로 휴마로그Ⓡ 룸제브Ⓡ 속효성 인슐린 레귤러 휴물린Ⓡ 알 30~60분 (2~3시간) 8~10시간 중간형 인슐린 엔피에이치 휴물린Ⓡ 엔 인슈라타드Ⓡ HM 1~3시간 (5~8시간) 12~18시간 지속형 인슐린 디터머 레버미어Ⓡ 1.5시간 (피크가 없음) 16~24시간 데글루덱 트레시바Ⓡ 42시간 글라진 란투스Ⓡ 베이사글라Ⓡ 글라지아Ⓡ 20~24시간 글라진 U-300 투제오Ⓡ 6시간 (피크가 없음) 36시간 혼합형 인슐린 - 노보믹스Ⓡ 휴마로그Ⓡ 믹스 휴물린Ⓡ 70/30 믹스타드Ⓡ 리조덱Ⓡ 혼합 정도에 따라 다름 혼합 정도에 따라 다름 GLP-1 작용제 - 리라글루티드 빅토자Ⓡ - 14-15시간 1일 1회 둘라글루티드 트루리시티Ⓡ - 7일 1주 1회 세마글루티드 오젬픽Ⓡ - 7일 1주 1회 인슐린/ GLP-1 작용제 복합제 - 글라진/ 릭시세나티드 솔리쿠아Ⓡ 20~24시간 데글루덱/ 리라글루티드 줄토피Ⓡ 1.5시간 (피크가 없음) 42시간 일반적으로 인슐린은 매일 규칙적으로 투여하게 됩니다. 환자에 따라 사용하게 되는 인슐린의 종류, 투여횟수, 용량이 다를 수 있습니다.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여 환자 상태에 적합한 제품을 처방받아 투여하여야 합니다. 혈당 패턴에 대한 이해 없이 임의로 약의 용량을 조절하거나 투여횟수를 조절하면 안 됩니다. 당뇨병 치료제는 어떻게 투여하나요? 04. 안전하게 주사하려면? 05. 의료전문가에게 주사방법에 대한 교육을 충분히 받아야 합니다. 제품마다 주사방법이 다를 수 있으니 제품별 사용설명서의 안내를 따릅니다. 감염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펜이나 주사침을 다른 사람과 절대 공유하지 말고, 주사할 때마다 항상 새 주사침을 사용합니다. 매 주사 전 용액의 성상과 라벨을 확인합니다. - 대부분의 성상은 투명한 용액이지만 중간형과 혼합형 인슐린 (리조덱Ⓡ 제외)은 뿌옇게 흐린 성상이며, 사용 전에 우윳빛깔이 균일하게 나타날 때까지 부드럽게 굴리고, 기울여가며 섞어줘야 합니다. 펜형 인슐린은 다이얼을 목표 단위에 맞춘 후 주사침을 세우고 가볍게 두드려 공기방울을 위로 보내고, 주사침 끝에 약액이 맺히도록 허공에 주사해 공기를 제거합니다. 적절한 부위를 선택하여 알콜솜으로 소독 후 주사합니다. 제품마다 주사위치 등이 다를 수 있으니 주사부위의 위치는 전문가의 지도·상담하에 주사합니다. 매 주사 시 이전 주사부위에서 2~3cm 떨어져 주사하며, 같은 부위에 주사하지 않도록 합니다 피하지방층 두께, 주사침 길이에 따라 피부 집어올리기 여부와 투여 각도가 달라질 수 있으니 전문가와 상의합니다. 펜형 및 오토인젝터의 경우 주사침을 찌른 후 약이 주입될 때까지 기다립니다. 제품마다 주입시간 등이 다를 수 있으니 약사 또는 의사나 간호사의 안내사항에 따라야 합니다. 안전하게 보관하려면? 06. 제품마다 보관조건이 다를 수 있으니, 제품별 용기나 포장 또는 첨부문서의 보관방법을 확인해야 합니다. 개봉 전에는 원래 포장 상태로 차광 냉장보관(2~8℃)하며, 얼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개봉 후 보관방법은 제품마다 상이하므로 제품별 보관법을 확인하도록 합니다. 여러 번 사용할 수 있는 펜형 주사제는 사용 후 주사침을 분리하여 보관합니다. 안전하게 폐기하려면? 07. 한번 사용한 주사침과 일회용 주사제는 재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사용한 주사제는 약사 또는 의사나 간호사의 안내사항에 따라 버려야 합니다. 부작용 보고는 어떻게 하나요? 08.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의약품부작용 보고 및 피해구제상담센터 1644-6223 또는 14-3330 의약품안전나라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nedrug.mfds.go.kr) 로그인 > 전자민원/보고 > 국내이상사례보고(일반인) 주의사항 및 이상사례 (부작용) 09. 저혈당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중증의 공복감, 식은땀, 어지러움, 두통, 시력저하, 불안함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중간에 치료를 중단하거나 적게 투여할 경우 고혈당 및 당뇨병성 케톤산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인슐린을 사용하는 경우 자가 혈당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GLP-1 작용제는 치료 초기에 구역, 구토, 설사 등 위장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지속되거나 심할 경우, 의사와 상의 합니다. 일반적으로 한 곳에 반복적으로 주사하면 지방이영양증 (지방비대증 포함) 및 피부 아밀로이드증이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지방조직이 단단해져 약물의 흡수가 방해될 수 있습니다. 주사부위반응(통증, 가려움증, 발적, 멍, 부기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며칠간 관찰한 뒤, 호전되지 않거나 악화될 경우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드물게 주사 직후 알레르기 반응(전신 두드러기, 입과 목의 부종, 가슴조임, 호흡곤란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반응이 의심될 경우 신속히 응급실을 방문합니다 식사, 운동, 약물치료 간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식사량이 부족하거나 시간이 늦어지면 저혈당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식사를 건너뛰거나 갑자기 줄이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전에 운동을 하면 저혈당증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으므로 일반적으로 식후 운동이 권장됩니다. 예외적으로 심한 운동을 한 경우에는 이에 맞추어 식사량을 늘리거나 인슐린 투여량을 조절해야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사전에 충분한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검사 등으로 식사가 늦거나 거를 경우, 당뇨약을 일시적으로 중단해야 할 수 있습니다. 투약 계획을 의사에게 문의하여 지시에 따르도록 합니다. 저혈당증의 증상과 대처법에 대해 문의하여 교육을 받도록 합니다. 자가 혈당 모니터링 교육을 받고 자주 모니터링하여 본인의 혈당 패턴을 익히도록 합니다. 저혈당증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 저혈당 증상이 나타났을 때 저혈당 증상이 나타나거나 확인되면 단순 당질을 함유한 음식(사탕 3~4개, 주스 1/2컵, 청량음료 1/2캔)을 섭취합니다. 환자가 의식이 혼미할 경우 음식물을 억지로 먹이지 말고 응급실로 이송하여 포도당 주사를 맞도록 해야 합니다. 저혈당증의 빈도 및 정도를 기록하여 다음 외래 방문 때 의사에게 알립니다. 임산부, 수유부,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은 의사에게 미리 알립니다. 인슐린 제제 - 발열·설사 등으로 아픈 날이나 식사를 섭취할 수 없는 경우의 용량조절 방법을 의사와 미리 상의하고, 발생 시 이에 따라서 대처합니다. GLP-1 작용제 - 갑상선 수질암에 대한 개인 또는 가족력이 있거나 2형 다발성 내분비선종증 환자는 투여해서는 안 됩니다. - 췌장염, 중증의 위장관 질병 병력이 있는 환자는 투여 전 의사와 상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