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이 내놓은 양도세 감면 대책에 따라 하남시와 광주시의 미분양 아파트의 매매가 활황을 띨 수 있을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2일, 당정은 과밀억제권역과 자연보전권역의 미분양 아파트 및 신규 주택을 매입 할 경우 양도세를 50%~100% 감면하는 제도를 한시적으로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과밀억제권역인 하남지역은 50%의 양도세 감면을 받고 자연보전권역인 광주지역은 100% 감면 혜택이 주어진다.
|
 |
|
경기지역 미분양 아파트 물량 |
|
| 이같은 당정의 발표는 주택 경기 진작을 위한 특단의 카드로 양도세에 대한 모든 규제를 풀었다는 분석이다.
이에따라 과밀억제권역에 포함되는 하남지역의 경우 신장동 458번지 두산위브파크의 공급면적 157~195㎡ 189세대가 양도세 감면 범위 안에 들어갔다.
또, 자연보전권역인 광주지역의 경우도 936호 정도가 미분양 상태에 있어 이번 제도 시행에 따라 거래가 있을지 주목된다.
이밖에 고양시 5천3백여호, 용인시 4천5백여호, 수원시 6백여호, 평택시 2천1백여호가 미분양 상태로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고양시의 미분양 물량은 3조9천32백억여원 규모로 집계되고 있어 과밀억제권역 미분양주택의 55%, 분양금액의 59%나 차지하고 있다.
이에앞서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미분양 주택 문제에 의지를 가지고 추진하라"고 공무조직에 지시하는 한편, 1월 2일과 23일에 행정안전부장관, 기획재정부장관, 국토해양부 장관에게 2월 3일에는 과밀억제권역 의원들에게 직접 서한문을 보내 미분양 주택에 대한 한시적 양도소득세 면제 등 미분양주택 문제의 해소를 촉구하기도 했었다.
이와관련, 부동산 시장에서는 "과거 금융공황 상태에서 미분양 아파트에 대한 양도세 감면이 어느정도 실효를 거두기는 했지만, 이번 상황은 다를 수 있다"면서 "국제적, 국내적 경기침체가 동시에 이뤄진데다 투기성 시장이 수면아래로 가라앉아 있어 실효의 크기가 적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