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이모(34) 씨는 최근 집으로 가던 중 황당한 광경을 목격했다. 편도 4차선 사거리에서 신호 대기를 받고 있던 중 3시 방향에 있던 오토바이가 역주행으로 자신의 차선 한가운데로 쓱 들어온 것이다. 이 씨는 “신호 위반으로 좌회전을 하려던 오토바이가12시 방향 도로에서 차들이 직좌회전 신호를 받고 움직이자 급히 핸들을 틀며 역주행을 했다”며 “내 차와 뒷차 사이로 빠져 원래 차선으로 가는 걸 보고 식은 땀이 다 나더라”고 회상했다.
오토바이 관련 사건 사고가 최근 들어 더욱 기승을 부리고 있다. 코로나19로 배달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다. 신호위반은 기본, 역주행까지 서슴지 않는 일부 배달원들의 위험천만한 질주에 시민들은 간담을 쓸어내리기 일쑤.
배달의민족, 요기요 등 배달 플랫폼 업체들이 나서 사고 예방에 힘쓰고 있지만, ‘더 빠른 배송’이 수익으로 이어지는 상황에서 ‘체감 안전’은 나아지지 않고 있다. 라이더들의 안전도 위협받고 있다.특히 코로나19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올해 들어 배달 라이더 수가 크게 늘었다.
요기요 익스프레스의 경우 지난 8월 출시 당시 라이더 수가450여명에 불과했지만 최근800명까지 2배 가량 증가했고, 근거리 물류IT플랫폼을 운영하는 스타트업 바로고도 코로나19직후인 2월(1만3200명)과 비교해 9월 라이더 수가53% 늘어난 2만200명을 기록했다.
라이더가 많아지며 이륜차 등록대수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2018년218만1510대였던 자가용 이륜차 신고 건수는2019년220만9812대로 2만8000대 늘었고, 올해 들어선 최근까지221만1174대가 사용 신고를 한 것으로 집계됐다.문제는 오토바이 사고도 함께 늘고 있다는 점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민의힘 송석준 의원이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를 통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2015년 1만2654건이었던 이륜차 사고는 5년만에46% 급증했다. 지난해 기준 1만8467건의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선 배달 건수가 곧 수익으로 연결되는 상황과 더불어 각 배달 플랫폼간 배달 시간 제한 단축 경쟁이 이같은 상황을 야기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한다. 한 달 기름값이 평균10만원. 오토바이 렌트료도35만원 가량이다. 하루에30~40건을 뛰어야 평균250만원의 소득을 쥘 수 있는 상황에서 보다 많은 콜을 뛰기 위해 라이더들이 위험천만한 질주를 감행한단 것이다.
배달 플랫폼 운영 업체들이 인공지능(AI) 배차 기술 도입, 라이더 안전 교육 강화 등에 힘쓰고 있지만, 근본적인 시스템이 개선되지 않는 한 유의미한 성과를 내기 어렵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의견: '배달강국', '우리가 어떤 민족입니까? 배달의 민족' 이라는 말이 있을정도로 우리나라의 배달문화는 굉장한 수준입니다. 늘 빠르고 신속하고 안전한 배달은 곧 바로, 수익과 직결되는 배달업계에서 시간 단축과 라이더들의 안전을 둔 문제는 항상 고민거리로 자리잡고 있었습니다. 코로나 19로 특히나 배달의 수요가 늘어난 지금, 도로에서는 위험한 질주를 하는 배달 오토바이를 쉽게 볼 수 있었습니다. 실제로, 빠르게 달려나온 배달 오토바이와 사고가 나본 적이 있어 더욱 그 아찔한 상황을 잘 알고 있습니다. 물론, 업계에서도 라이더 안전 교육과 다양한 안전 예방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나, 아무래도 신속한 배달이 생명인 업계에서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한 이러한 대책으로는 힘들어 보입니다. 또한, 기사에서 나온 배달 플랫폼 운영 업체들이 인공지능 배차 기술을 도입했으나, 실제로 라이더들은 네비게이션으로 15분 나오는 거리를 AI는 도로 상황이나 지형을 고려하지 않고 직선 거리 기준으로 산출하여 더 짧은 시간에 배달을 완료 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라이더들의 압박감 커지고 악순화 반복되고 있습니다. 사실 앞서 말했듯 근본적인 문제를 개선되지 않는 이상 이러한 문제들을 확실하게 해결할 방법은 아직 보이지 않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배달 플랫폼들이 이익만큼 라이더들이 배달을 함에 있어서 보다 안전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해 더욱 고려해봐야하는 시점이 아닌가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