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Biostatistics
 
 
 
 

친구 카페

 
 
카페 게시글
묻고 답하기 무작위배정 오류(IP 배정 오류)로 탈락하는 것에 대한 윤리적 의견?
박성훈 추천 0 조회 433 21.01.22 11:25 댓글 5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1.01.22 20:10

    첫댓글 제가 통계에 대해 무식한 관계로 일반인 입장에서 얘기드리면 임상시험 이전에 윤리적 목적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케이스에 대해 손실이 나는 경우도 감안하고 임상시험을 설계해야 하지 않을까요?

  • 21.01.23 05:56

    아주 중요하고 좋은 질문이십니다. 결론적으로 제 의견은 한번 입력된 임상시험 데이타는 "delete"이란 없습니다. 하다못해 중요한 파일에 잘못쓴것도 한줄로 긋고 다시 쓸수는 있지만 지우개로 지우면 안됩니다. 한번 enrolled된 환자는 결과가 어떻게 되던 할수없이라도 임상시험 final report를 쓰고 closing할때까지 따라다닙니다. 잘못된 경우에 따라서 물론 report를 쓸때 생략을 할수는 있지만 확실한 방법을 제시해야 합니다. ITT라도 enrolled, safety, efficacy, measurable flag 등등 여러 flag변수를 써서 특정의 환자를 생략을 할수는 있지만 summary table header나 footnoter에 population을 설명을 해야 합니다.

    또 처음에 assign했던 treatment하고 실지로 다른경우에는 planned treatment group 과 actual treatment group변수를 만들고 필요에 따라서 다른 변수로 population을 콘트롤해야 합니다. 물론 report에 언급을 해야 하고요.

  • 21.01.23 06:10

    다시 말하지만 마음대로 지울수있는 데이타는 절대로 없습니다. 윤리적이요? 아니죠, SOP를 따라서 해야 해서 그렇죠. 그래서 제약회사에서 제일 미움받는 부서가 QA입니다. 이부서에는 "예외" 라는 단어가 없고, 있다면 따로 예외에 관한 SOP를 만들어야 합니다. 이모든것이 수백만불 또는 수천만불을 투자하고 혹시라도 아직 작은것 하나로 FDA에서 reject 를 받으면 너무나도 큰 손해라 그렇죠. 그래서 Biostat의 도움이 이럴때 많이 필요하고 Biostat이 rule을 만들고 다들 따라해야하는거죠.

    이런것들은 그야말로 통계지식과 SAS skill하고는 전혀 관련이 없는것들이죠.

    윤리적인것을 언급하는경우가 있기는 합니다. 예를 들어서 암치료제를 개발하는데 Phase II 나 III를 할때 벌써 명백하게 결과가 아주 좋을때 placebo group의 환자들을 위해서 윤리적인 목적으로 study를 멈추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론 반대인 경우도 있죠, Phase III 인데도 response가 전혀없을때는 윤리적으로 그만 뒤야 하겠죠.

    제가 질문하신것에 제대로 대답을 했는지 모르겠네요.

  • 작성자 21.01.26 10:32

    답변 감사드립니다.
    통계입장에서는 데이터가 없다는 것이 가장 않좋은 것 같습니다.
    무작위배정이라는 큰 틀이 점점 무의미해져가는 듯 합니다.
    분석은 Sensitivity Analysis 로 하면 되겠지만 데이터 자체가 없다면 어떻게 될지... 무작위배정을 하는 의미가 없어지는 듯 합니다.
    정밀의학 형태로 바뀌면서 임상시험도 변해야 하겠지만, RCT라는 표현을 언젠가는 버려야 하겠죠.

  • 21.01.27 08:29

    @박성훈 Rule이 아주 없으면 그야말로 모든것이 엉망진창이 되겠죠. Rule이 바뀔수는 있지만 적절한 절차를 따라서 바꾸지 않으면 있으나 마나 한 Rule이 되겠죠. 개인의 의견으로 데이타를 마음대로 바꾸고 빼고 하면 공평성을 잃게되고 그 결과를 누가 신임하겠나요? 제가 다닌 회사들중에는 감히 그럴생각을 하는 회사는 없었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