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중통(中統) 4200분
2. 진각(辰刻) 8각 28분
3. 혼명각(昏明刻) 각각 2각 42분
4. 각법(刻法) 84 [度의 분모는 각법과 같다.]
5. 북극출지(北極出地) 34도 47분 반 [大述曆法]
6. 거극도(距極度) 56도 82분 소분(小分) 5
1. 중통(中統) 4200 : 통법 8400분의 1/2값. 곧 하루의 절반 길이.
2. 진각(辰刻) 8각 28분 : 1일을 12등분한 값을 각법으로 표시한 것.
* 1 辰刻=8400분÷12
=700분=8×84+28
=8각 28분 (∵1각=84분)
3. 혼명각(昏明刻) 각각 2각 42분 : 일출입 전후 황혼의 박명이 계속되는 시간을 혼각(昏刻), 미명이 계속되는 시간 길이를 명각(明刻)이라 한다. 지금의 박명(薄明, twilight)에 해당하나 이보다는 짧다.
① 선명력 혼명각 2각 42분
=2×84분+42분=210분=0.025일 (∵1일=통법 8400분)
② 수시력 혼명분 250분=0.025일 (∵1일=日周 1,0000분)
결국 선명력과 수시력의 혼명 길이가 동일한 값을 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현재 시분제로 환산해 보면 다음과 같다.
혼명각 2각 42분=0.025일×24시간×60분=36분 (현재 시분제)
4. 각법(刻法) 84 : 선명력의 각법은 1일 통법 8400분의 1/100값이다. 곧 1일=100각이므로, 이를 분값으로 환산하면 각법 84가 도출된다.
100각 = 8400분
1각 = 84분
“度의 분모는 각법과 같다”는 말은 도 아래의 단위를 84분으로 구분한다는 뜻이다. 예컨대 도수(度數)가 10도 태(太)인 경우 태는 3/4이므로 환산하면 태 3/4×각법 84분=63분이 되어, 10도 태=10도 63분으로 계산된다.
5. 북극출지(北極出地) 34도 47분 반 : 관측지의 북극 고도를 일컬으며, 북극출지의 값은 해당 지역의 위도(緯度) 값이 된다. 수시력의 북극출지는 대도(大都 : 지금의 북경)의 위도값인 40도 83분(=40° 50')을 기준으로 삼았다. 선명력의 북극출지는 47분 50 → 47.50/84 = 0.57 이므로, 34도 47분 50 = 34.57도(=34° 34') 가 되어, 당시 관측의 중심지로 삼은 하남성 등봉현(登封縣) 양성(陽城)의 위도(34.42°)에 근사하다. 양성은 역산(曆算)의 기초를 측정하던 곳이어서 지중(地中)의 의미로 인식되었다. 위도상으로는 낙양 34.6도에 가까우며, 장안은 34.2도이다. 숙종 때 측정된 한양의 북극 고도는 37도 39분 15초(=37.65°)이다.
6. 거극도(距極度) 56도 82분 小分 5 : 북극출지의 여각으로, 북극점에서 천정(天頂)까지의 거리 각도. 『신당서』 선명력에서 “距極度, 五十六,餘八十二分 半”이라 한 것을 참고하면, 본문의 소분(小分)은 분 아래의 단위를 10등분한 것을 이른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거극도 56도 82분 5 → 56.98도 가량이 된다.
정기 (定氣) | 굴신수 (屈申數)2) | 황도거극도 (黃道去極度)3) [度分의 母法은 84] | 야반정루 (夜半定4)漏)5) [刻分의 모법은 84] | 거중성도 (距中星度) [度分의 모법은 84] | 양성일구 (陽城日晷)6) |
---|---|---|---|---|---|
동지 | 굴 65 | 115도 0분 | 27각 40분 | 82도 22분 | 1장 2척 7촌 0분 32
|
소한 | 굴 225 | 114도 46분 | 27각 29분 | 82도 64분 | 1장 2척 3촌 11분 9
|
대한 | 굴 365 | 112도 25분 | 26각 74분 | 84도 39분 | 1장 1척 3촌 0분 30
|
입춘 | 굴 485 | 108도 55분 | 26각 10분 | 87도 21분 | 9척 9촌 4분 78
|
우수 | 굴 585 | 103도 67분 | 25각 09분 | 90도 79분 | 8척 3촌 7분 81
|
경칩 | 굴 665 | 97도 80분 | 23각 74분 | 95도 33분 | 6척 8촌 8분 74
|
춘분 | 굴 665 | 91도 25분 | 22각 42분 | 100도 38분 | 5척 4촌 4분 70
|
청명 | 굴 585 | 84도 55분 | 21각 10분 | 105도 43분 | 4척 1촌 9분 59
|
곡우 | 굴 485 | 78도 67분 | 19각 75분 | 109도 81분 | 3척 2촌 0분 69
|
입하 | 굴 365 | 73도 80분 | 18각 74분 | 113도 54분 | 2척 5촌 4분 51
|
소만 | 굴 225 | 70도 25분 | 18각 10분 | 116도 36분 | 1척 8촌 9분 19
|
망종 | 굴 65 | 68도 04분 | 17각 55분 | 118도 12분 | 1척 5촌 7분 14
|
하지 | 신 65 | 67도 34분 | 17각 44분 | 118도 54분 | 1척 4촌 7분 80
|
소서 | 신 225 | 68도 04분 | 17각 55분 | 118도 12분 | 1척 5촌 7분 14
|
대서 | 신 365 | 70도 25분 | 18각 10분 | 116도 36분 | 1척 8촌 9분 89
|
입추 | 신 485 | 73도 80분 | 18각 74분 | 113도 55분 | 2척 4촌 8분 51
|
처서 | 신 585 | 78도 67분 | 19각 75분 | 109도 81분 | 3척 2촌 0분 69
|
백로 | 신 665 | 84도 55분 | 21각 10분 | 105도 43분 | 4척 1촌 9분 59
|
추분 | 신 665 | 91도 25분 | 22각 42분 | 100도 38분 | 5척 4촌 4분 70
|
한로 | 신 585 | 97도 80분 | 23각 74분 | 95도 33분 | 6척 8촌 8분 74
|
상강 | 신 485 | 103도 67분 | 25각 09분 | 90도 79분 | 8척 3촌 7분 81
|
입동 | 신 365 | 108도 55분 | 26각 10분 | 87도 21분 | 9척 9촌 4분 78
|
소설 | 신 225 | 112도 25분 | 26각 74분 | 84도 39분 | 1장 1척 3촌 8분 20
|
대설 | 신 65 | 114도 46분 | 27각 29분 | 82도 64분 | 1장 2척 3촌 9분 12
|
매일의 영축분(盈縮分)7)을 구하는 방법과 같이 하면 각각 구하려는 매일의 굴신 정수를 얻는다.
각 정기 간의 황도 거극도 차이를 100으로 곱하여 굴신에 대한 상대 도수를 정한 값이 굴신정수이다.
황도거극도 우수—경칩=103도 67분—97도 80분=5도 71=5.85도 →굴신수 585
경칩—춘분=97도 80분—91도 25분=6도 55분=6.65도 →굴신수 665
굴신의 도수가 동지~경칩, 춘분~망종, 하지~백로, 추분~대설의 4구간이 동일한 비율로 굴신하는 것으로 추산하였다.
동지 | 소한 | 대한 | 입춘 | 우수 | 경칩 | 춘분 | 청명 | 곡우 | 입하 | 소만 | 망종 | |
---|---|---|---|---|---|---|---|---|---|---|---|---|
굴 | 65 | 225 | 365 | 485 | 585 | 665 | 665 | 585 | 485 | 365 | 225 | 65 |
| 하지 | 소서 | 대서 | 입추 | 처서 | 백로 | 추분 | 한로 | 상강 | 입동 | 소설 | 대설 |
신 | 65 | 225 | 365 | 485 | 585 | 665 | 665 | 585 | 485 | 365 | 225 | 65 |
남방의 대일(戴日)8) 직하 지점(태양이 머리 위 천정에 오는 지점)에서는 정오에 해그림자가 없다. 이 대일 지점에서 북으로 1도 가면 초수(初數)는 1379가 되며, 여기에서부터 매 1도에 대하여 1분씩 증가하여 25도에까지 이르러 26분으로 증가한다.
26도에서부터 매 1도에 2분씩 증가하고 40도에 이르러서 56분으로 증가한다.
41도에서부터 매 1도에 6분씩 증가하고 44도에 이르러서 80분으로 증가한다.
또 45도에서 148분으로 증가하며 다음 매 1도에 2분씩 증가하여 50도에서 158분 증가한다.
51도에서부터 매 1도에 7분씩 증가하고 55도에 이르러서 193분으로 증가한다.
56도에서부터 매 1도에 19분씩 증가하여 60도에서 288분으로 증가한다.
또 61도에서는 448분으로 증가하고, 그 다음에 1도에 33분씩 증가하여 65도에 이르러서 580분으로 증가한다.
66도에서부터는 매 1도에 36분씩 증가하여 70도에 이르러서 760분으로 증가한다.
71도에서부터 매 1도에 39분씩 증가하여 72도까지에는 838분으로 증가한다.
또 73도에서는 1098분으로 증가하고 74도에서는 1538분으로 증가하며, 75도에서는 2598분으로 증가하고, 76도에서는 4458분으로 증가하고 77도에서는 7298분으로 증가하고, 78도에서는 1만 4398분으로 증가하고, 79도에서는 1만 6638분으로 증가해서 80도에 이른다.
이상의 매개 수들은 매 1도에 대한 차이며, 그 차를 누적하여 초수(初數)에 가하되 100에 차면 분으로 하고, 분이 10에 차면 촌(寸)으로 해서 매 1도의 구차(晷差 : 해시계 그림자의 차)가 된다. 구차를 누적하면 대일 지점에서부터 북으로 간 도수에 대한 값이 된다.
거대일북도수 (去戴日北度數) | 구차(晷差) 증가값 | 매 1도에 대한 증가분 |
---|---|---|
0 | 0 |
|
1도 | 초기값 1379분 |
|
25도 | 26분으로 증가 | 1도~25도 사이 매 1분씩 증가 |
40도 | 56분으로 증가 | 26도~40도 사이 매 2분씩 증가 |
44도 | 80분으로 증가 | 41도~44도 사이 매 6분씩 증가 |
45도 | 148분으로 증가 | · |
50도 | 158분으로 증가 | 46도~50도 사이 매 2분씩 증가 |
55도 | 193분으로 증가 | 51도~55도 사이 매 7분씩 증가 |
60도 | 288분으로 증가 | 56도~60도 사이 매 19분씩 증가 |
61도 | 448분으로 증가 | · |
65도 | 580분으로 증가 | 62도~65도 사이 매 33분씩 증가 |
70도 | 760분으로 증가 | 66도~70도 사이 매 36분씩 증가 |
72도 | 838분으로 증가 | 71도~72도 사이 매 39분씩 증가 |
73도 | 1098분으로 증가 | · |
74도 | 1538분으로 증가 | · |
75도 | 2598분으로 증가 | · |
76도 | 4458분으로 증가 | · |
77도 | 7298분으로 증가 | · |
78도 | 1만 1298분으로 증가 | · |
79도 | 1만 6638분으로 증가 | · |
그 기(氣)의 거극도(去極度 : 태양의 극거리)에서 먼저 그 소분(小分)에는 100을 곱하고 각법으로 제한 후 거극도(距極度 : 북극의 천정 거리)와 분을 감하면 각각 태양 직하의 대일(戴日) 지점에서 북으로 간 도수와 분값인 태양의 천정 거리값을 얻는다. 이 도수와 분에 대응하는 구차(晷差 : 해시계 그림자의 차수)에 각각 굴신정수(屈申定數)를 곱하고, 이 값이 100에 차면 분으로 하고, 분이 10에 차면 촌(寸)으로 해서 매일의 구차로 삼는다. 그 기의 첫 구수(晷數)에 매일의 구차를 가감하되 굴(屈)은 감하고 신(申)은 가하면 각각 매일 정오 일구(日晷)의 상수(常數)를 얻는다.
① 대일지북 도수(태양의 천정거리값)
=(각 기의 태양 거극도 소분×100)÷각법—북극 거극도분
② 매일 구차=대일지북 도수×굴신정수÷100
③ 매일 정오 일구의 상수=각 기의 첫 구수±매일 구차 (단 굴은 —, 신은 +)
해당한 정기(定氣)의 소여에서 중통(中統)9)을 감한 것을 중후분(中後分)이라 한다. 소여가 부족한 경우에는 반대로 중통에서 소여를 감한 것을 중전분(中前分)이라 한다.10) 중전분과 중후분에 그 날의 해그림자의 차를 곱하고 선명통법으로 제한 것을 변차(變差)라 한다. 변차를 그 날 정오의 해그림자의 상수에 가감하면 구하는 일구 정수가 된다. 동지 하루 사이는 감하기만 있고 가하기는 없으며, 하지 하루 사이는 가하기만 있고 감하기는 없다.
① 중후분=각 정기의 소여—중통(中統)
② 중전분=중통—각 정기의 소여
③ 변차(變差)=중전분 혹은 중후분×그 날의 일구차÷선명통법
④ 매일 정오 일구 정수=그날 정오 일구 상수±변차
매일 황도의 굴신 차수(差數)에 5를 곱하고 24로 제하여서 얻은 값을 그 기의 첫날 야반밤 길이의 절반에 가감하면 그 날 밤 길이에 대한 물시계의 정수(定數)가 된다.
매일 야반 누각 정수
=각 기 첫날 야반 누각 정수±(매일 황도 굴신 차수×5÷24)
야반정루(夜半定漏)를 각법으로 환산하고 대분(大分)과 소분(小分)을 이에 따르게 하면 구하려는 값이 된다.
야반 정루(밤의 절반에 대한 물시계의 정수)의 2배에 오각(五刻)을 가한 것을 야각(夜刻)으로 한다. 100각에서 이것을 감하면 주각(晝刻)으로 된다. 야반 정루에 명각(明刻 : 미명에서 일출까지의 각)을 가하고 자정에서부터 세어 가면 일출의 시각으로 된다. 여기다 주각(晝刻)을 가하면 일입의 시각으로 된다.
야반정루의 2배를 25로 제한 것이 매 주(籌)의 차각(差刻)으로 된다. 여기다 5를 곱하면 매 경(更)의 차각(差刻)으로 된다. 혼각(昏刻)11)에 일입(日入) 시각을 가하면 밤의 첫 시작의 시각인 갑야(甲夜) 진각(辰刻)으로 된다. 여기다 경(更)과 주(籌)12)의 차각을 순차적으로 누가하여 가되 진각으로 나누어 버리면 각각 오야(五夜)13) 진각 및 분을 얻는다.
① 매 주차각=야반정루×2÷25
② 매 경차각=매 주의차각×5
③ 갑야 진각=혼각+일입 시각
④ 오야의 진각=(갑야 진각+∑경주(更籌)의 차각)÷진각
굴신 정수에 21을 곱하고 25로 제한 것을 황도 굴신차(屈申差)라 한다. 그 기의 첫 정수에다 굴신차를 가감하되 굴은 감하고 신은 가하며, 각법으로 나누어 도법으로 환산하면 각각 매일의 거극 도수가 된다.
① 황도 굴신차=굴신정수×21÷25
② 매일의 황도 거극도수=(각 기의 첫 정수±굴신차)÷각법 (단, 굴은 —, 신은 +)
황도의 굴신차(屈申差)에 2386을 곱하고 이것을 각법으로 나누어 도(度)로 삼되 차지 못한 것은 분(分)으로 한다. 그 기의 첫날 거중도에다 이것을 가감하되 굴은 가하고 신은 감하면 매일 거중도(距中度)의 정수(定數)를 얻는다. 거중도를 2배하고 이것을 주천도(周天度)에서 감한 나머지를 5등분한 것이 매 경차도(更差度)15)로 된다.
① 매일 거중도 정수=각 기의 첫날 거중도±(황도 굴신차×2386÷각법)
② 매 경의 차도=(주천도—거중도×2)÷5
그 날 혼(昏)이 되는 시각의 가시 적도 수도(赤道宿度)에 거중도(距中度)를 가하고 수차(宿次)를 세어 가면 곧 각기 그 날 혼에 남중하는 혼중(昏中) 수도를 얻는다. 여기다 경차도(更差度)를 가하고 앞에서와 같이 하면, 그 날 밤 2경 초에 남중하는 수도를 얻는다. 경차도를 순차로 가하여 가면 각각 매 5경에서 남중하는 수도를 얻는다.
① 혼중(昏中) 수도(宿度)=(그 날의 태양 가시적도수도+거중도)—Σ수차(宿次)
=초경 남중 수도
② 오경 남중 수도=(혼중수도+Σ경차도)—Σ수차
구하려는 기의 거극도수(去極度數)와 다음 기의 거극도수를 서로 상감(相減)하여 그 기의 굴신정수(屈申定數)로 삼는다. 동지 후는 굴로 되고 하지 후는 신으로 된다. 해당한 지점에서 동지 혹은 하지에 해시계의 그림자의 길이를 측정한다. 단, 측정은 동지나 하지의 어느 한 쪽에서만 하면 충분하며 두 쪽에서 다 할 필요가 없다. 그 해시계 그림자의 길이를 비교하여 같은 것에 해당하는 지점을 찾아 그 지점의 대일 천정거리의 도분으로 한다.
여기다 매 기의 굴신정수를 가감하되, 동지 후는 감하고 하지 후는 가하면, 매 기에 태양의 천정 거리의 도분으로 된다. 매 기의 태양 천정 거리에 상응하는 해시계의 일구 길이가 곧 해당 지점에서 매 정기 첫날 오정에 해시계 그림자의 상수로 된다. 그 관측에서 해그림자가 해시계 막대기의 남쪽에 생기는 경우에도 역시 그 해시계 그림자의 척촌의 길이는 북쪽에 그림자가 생기는 경우와 같이 취급한다. 그 천정 거리를 대일 북도(戴日北度)로 하는 대신에 반대로 대일 남도(戴日南度)로 하고 굴신정수를 가감한다.
① 그 기의 굴신정수=(구하려는 정기의 거극도수—다음 기의 거극도수)
(단, 동지후는 굴, 하지후는 신)
② 해당한 지점의 동하지 해시계 그림자 길이 → 해당한 지점의 대일 천정거리 도분
③ 매 기의 대일 천정거리=해당한 지점 대일 천정거리 ± 굴신정수
(단, 동지후는 —, 하지후는 +)
→ 매 정기 첫날 오정 해시계 그림자 상수
동지와 하지에는 각기 해당한 지방에서 물시계(水漏)로써 낮과 밤의 길이의 각수(刻數)를 결정한다. 두 값을 서로 감한 것이 동지와 하지의 차각(差刻)이 되고, 이 값을 절반한 것을 동지와 하지의 낮과 밤의 각수에 가감하되, 하지에는 가하고 동지에는 감하면 춘분과 추분 정일(定日)에 낮과 밤의 각수로 된다.
매 기의 굴신 누차(屈申漏差)에 해당한 지방에서의 동지와 하지의 각차(刻差)를 곱한다. 이것을 동지와 하지의 거극차도(去極差度) 47도 80분으로 나누어서 얻은 값을 춘분 추분 첫날의 낮과 밤의 각 누각에 가감하되, 이분(二分)의 전인가 후인가에 따라 가감을 결정한다. 춘분 전과 추분 후에 밤은 가하고 낮은 감하며, 춘분 후와 추분 전에 낮은 가하고 밤은 감하면, 각기 해당한 지방에서 정기 첫날의 주야 누각수(낮과 밤의 길이)를 얻는다.
① 해당지역 물시계 동하지의 차각
=|동지의 물시계 주야 각수—하지의 물시계 주야 각수|
② 춘추분 정일의 주야 각수=동하지의 주야 각수±(동하지의 차각÷2)
단, 하지는 +, 동지는 —
③ 각 지방 정기 초일의 주야 누각수
=춘추분 초일의 주야 누각±{(매 기의 굴신누차×동하지의 각차)÷(동하지의 거극차도47도 80분)}
(단, 춘분전, 추분후 밤은 +, 낮은 —, 춘분후, 추분전 낮은 +, 밤은 —)
매일 굴신차에다 역시 차각(差刻)을 곱하고 차도(差度)로 나누어서 얻은 값을 그 기의 첫날 누각(漏刻)에다 가감하되 굴은 감하고 신은 가하면 각각 얻어진다.
다음날의 주야 누각수=각 기의 초일 누각±(매일 굴신차×차각÷차도)
(단, 굴은 —, 신은 +)
모두 양성(陽城)에서 구한 방법과 같이 구하며 지금의 차도(差度)로 제하면 얻어진다. 또 다른 계산법은, 해당한 지역의 춘분 정기일 정오의 일구 상수(常數)와 양성(陽城)의 매일 구수(晷數)를 비교하여 같은 것을 찾아 취하고, 그 날의 야반정루에 따르면, 해당한 지역에서 정기 춘분 첫날의 야반정루를 얻는다.
매 굴신 누차(屈申漏差)를 각분(刻分)으로 가감하되 춘분 추분의 전후에 따라 가감을 결정한다. 춘분 전과 추분 후는 가하고 추분 전과 추분 후는 감한다. 이 값이 각법(刻法)에 차면 각으로 하고 차지 못하는 것은 분으로 하면 각각 해당한 지역의 정기 첫날 야반정루를 얻는다.
굴신 누차(漏差)를 가지고 양성(陽城)에서 구한 방법과 같이 하면 된다. 이상의 계산 방법들은 대체로는 맞는다. 그러나 높은 산에서와 평야의 하천에서 보는 태양은 같지 않으나 해그림자의 장단 길이는 같다. 그 날 물시계의 다소 차이를 그 해그림자의 전후 길이를 잘 참작하여 교정하여야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선명력 구루(晷漏)1) 추보술 (국역 고려사: 지, 2011.10.20, 경인문화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