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제112호. 높이 13.4m. 동서로 건립된 두 탑의 규모와 형식은 동일하며, 현존하는 석탑 중 거탑에 속한다. 기단은 상하 이중으로 되어 있고 지대석·중석·갑석은 12장의 석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층기단에는 3개, 상층기단에는 2개의 탱주를 세웠다.
감은사지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탑신부의 1층은 우주와 면석을 다른 돌로, 2층은 각 면을 하나의 돌로, 3층은 전체를 하나의 돌로 만들었다. 옥개석은 비교적 넓고, 낙수면 부분과 받침부분이 각각 4장의 돌로 되어 있으며, 상륜은 없어졌고 그것을 끼웠던 3.5m의 철간만이 남아 있다. 상하기단과 탑신부에 우주와 탱주를 표현한 것, 낙수면이 경사를 이룬 것 등에서 목조건축양식이 보이며, 층단을 이루고 있는 받침에서는 전조탑파양식의 흔적이 보인다. 고선사지 3층석탑과 함께 통일신라 초기 3층석탑을 대표한다.
------------------------------------
현존 석탑 중 규모가 매우 큰 경주 감은사지 삼층석탑

감은사지 삼층석탑의
동탑(좌)과 서탑(우)
경북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 소재 감은사지(사적 제31호)는
통일신라시대의 절인
감은사의 터 및 초석과 쌍탑이 있는 유적으로
이곳은 경주국립공원에
속해 있습니다.

감은사지
주차장

주차장에서 올려다 본
삼층석탑
감은사는 신라 문무왕이
삼국을 통일한 뒤 왜구의 침략을 막고자
이곳에 절을 세우기
시작해 신문왕2년(682) 완성한 절입니다.
문무왕은 승려
지의(智義)에게 “내가 죽은 후 나라를 지키는
동해의 용이 되어 불법을
받들고 나라를 지킬 것”이라는 유언을 남기고 죽자
화장한 뒤 동해
앞바다(봉길해안)에 있는 대왕암(大王巖)에 안장하였습니다.

감은사지 서탑과 유적



감은사지 삼층석탑(국보
제112호)은 높이가 13.4m에 달하며
현존하는 석탑 중
거탑(巨塔)으로 통일신라시대에 건립된
동서 두 탑의 규모와
형식은 동일합니다.

감은사지의 동탑(좌)과
서탑(우)



감은사지 서탑(좌)과
동탑(우)

감은사지
동탑



1959년 감은사지 서쪽
탑을 해체 수리할 때
3층 탑신의 사리공에서
사리장엄구(보물 제366호)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청동제 사리기와
사리기를 넣었던 청동제 사리외각함을 말합니다.

감은사지 서탑


청동제 사리장업구 (자료
: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