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천안중앙호산나찬양대 원문보기 글쓴이: 허도사
템포/박자 |
보통으로 /♩= 80 |
선호도 |
하 |
난이도 |
중 |
분류 |
재림 |
주의할점 |
∙음정이 낮으므로 목을 누르지 않도록 주의하고, 마지막단의 리듬을 정확하게 불러햐 하며, 전제적으로 음정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
* 해설 : 영국의 웨슬리 목사가 쓴 재림에 대한 찬송시로, 1758년에 출간된 그의 찬송시집에 처음 나타났다. 현재의 형태는 메이단의 찬송집에 수정된 가사로, 세닉의 찬송시와 혼합된 것이다.
* 곡명 :“TAMWORTH”(탐워스)이며, 영국의 맹인 오르가니스트 록하트가 작곡한 곡이다. 그가 봉사하던 병원 부속교회의 찬송집에 그의 창작 찬송곡조를 수록했는데, 이 곡도 그때쯤 작곡된 것으로 간주된다.
* 수록 :『찬미가』(1905년,171장)에 첫 줄이“대속하신 구주께서”로 처음 수록되었으나,『찬숑가』(1908년,253장)에 현 가사와 곡이 함께 처음 수록되었다.
* 大意 : 주께서 재림하실 때의 희비의 광경을 읊었다. (사용분류: 그리스도의 재림)
162. 신랑 되신 예수께서
템포/박자 |
보통으로 /♩= 96 |
선호도 |
상 |
난이도 |
중 |
분류 |
재림 |
주의할점 |
∙둘째단까지 서두르지 않도록 하며, 가사와 리듬을 정확하게 불러야 한다. 특히 후렴에서 리듬을 주의한다. |
* 해설 : 혼인 잔치의 비유(마 25:1~13)를 내용으로 미국의 라타가 작사하고, 커크패트릭이 작곡한 복음찬송으로 1895년에 나타났다.
* 곡명 : 제목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다.
* 수록 :『신중 복음가』(1919년,83장)에 이장하의 번역으로 처음 수록되어 있다.
* 大意 : 슬기로운 다섯 처녀처럼 신랑을 맞을 준비를 하라는 것이다.(사용분류:재림,주님 영접 준비)
163. 언제 주님 다시 오실는지
템포/박자 |
조금빠르게 /♩= 100 |
선호도 |
중 |
난이도 |
하 |
분류 |
재림 |
주의할점 |
∙경쾌하고 부르되, 붓점과 리듬을 정확하게 표현한다. 후렴에서 2째마디와, 4째단 3째마디의 리듬을 주의하라. |
* 해설 : 미국의 크로스비 여사가 쓴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한 복음찬송으로 돈의 곡과 함께 “Watching”(깨어 있음)이란 제목으로 복음찬송집에 처음 수록되었다.
* 곡명 :“WOODSTOCK”(우드스톡)은 작곡자 돈이 십대 소년 때 다니던 학교 이름에서 왔으며 이때 그는 회심의 경험을 하였다.
* 수록 :『신중 복음가』(1919년,81장)에 이장하의 번역으로 처음 수록되었다.
* 大意 : 주님이 언제 재림하실지 모르는데 그때 우리가 깨어있는 자가 될까?(사용분류:재림의 확신, 신앙의 분투)
164. 오랫동안 고대하던
템포/박자 |
조금빠르게 /♩= 108 |
선호도 |
하 |
난이도 |
중 |
분류 |
재림 |
주의할점 |
∙가사 전달을 명확하게 하고, 서두르지 않도록 주의한다. 또한 붓점을 잘 표현해야 하고, 음정을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한다. |
* 해설 : 미국의 커크가 작사· 작곡한 복음찬송이다.
* 곡명 :“OUR LORD'S RERURN”(우리 주님의 재림)은 제목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며, 커크는 음악 전도사로서 복음 선교에 헌신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 수록 :『신중 복음가』(1919년,81장)에 이장하의 번역으로 처음 수록되었다.
* 大意 : 주께서 분명히 다시 오셔서 주의 재림을 고대하는 성도들을 하늘로 이끄신다.(사용분류:재림의 확신)
165. 저 산 너머 먼동 튼다
템포/박자 |
조금빠르게 /♩= 100 |
선호도 |
하 |
난이도 |
하 |
분류 |
재림 |
주의할점 |
∙이 곡은 ꁟꁔ♩의 리듬을 잘 표현해야 한다. 전체적으로 음정을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한다. |
* 해설 : 아일랜드 출신의 영국 국교회 목사 몬셀이 “Second Advent”(재림)이란 제목으로 쓴 이 찬송시는, 그의 찬송시집에 처음 출간되었다.
* 곡명 :“GWALLA”(그왈리아)는 중세 때 웨일스를 지칭하던 말로, 영국의 메이단의 찬송곡집에 처음 나타났다. 이 곡은 웨일스의 곡으로 추정되는데, 곡명을 웨일스라는“GWALLA”로 붙였기 때문이다. 메이단은 변호사였지만 웨슬리의 설교에 회심하여 목사가 되어, 감리교도들의 피난처인 병원의 원목으로 봉사하며 성가집을 편찬하였다.
* 수록 :『신편 찬송가』(1935년,306장)에 처음 수록되었다.
* 大意 : 그리스도 예수의 재림의 징조가 점점 더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사용분류:재림의 확신, 영접 준비)
166. 주 예수 믿는 자여
템포/박자 |
조금빠르게 /♩= 104 |
선호도 |
하 |
난이도 |
하 |
분류 |
재림 |
주의할점 |
∙음정이 선율적이지 않으므로 쉽게 익숙해지기 어려우므로 음정을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 |
* 해설 : 독일의 경건주의파 찬송 작가 라우렌티가 쓴 찬송(믿는 자여 깨어라)을 핀드레이터 여사가 영어로 번역한 것으로, 마태복음 25장 1절~13절에 근거한 재림 찬송이다. 삼위일체주일 후 제27주일을 위한 찬송으로 라우렌티의 찬송집에 처음 수록되었다.
* 곡명 :“LANCASHIRE”(랭커셔)는 축제가 열렸던 지명을 따서 붙인 것이다. 영국의 스마트가 1835년 10월 4일 영국 종교 개혁 300주년을 기념하는 선교 축제를 위하여 히버의 선교 찬송“저 북방얼음산과”(통일 273장)의 곡으로 작곡하였다.
* 수록 :『신정 찬송가』(1931년,79장)에 처음 수록되었다.
* 大意 : 우리의 신랑 예수께서 재림하실 때 영접할 준비를 하라는 권고다.(사용분류:신랑예수, 재림, 갈망)
167. 주 예수의 강림이
템포/박자 |
조금빠르게 /♩= 104 |
선호도 |
중 |
난이도 |
하 |
분류 |
재림 |
주의할점 |
∙선율적인 곡이므로 너무 느려지지 않도록 주의 하고 생각보다 템포를 앞서서 부르는 것이 좋다. |
* 해설 : 미국 회중 홉킨스 목사가 작사· 작곡한 이 찬송은, 1830년에 출간된 그의 찬송집에 처음 수록되었다. 후에 생키가 편찬한 복음찬송집에도 수록되어 부흥집회에서 많이 불리게 되었다.
* 곡명 :“EXPOSTULATION”(권고)는 이 찬송 제목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다.
* 수록 :『찬숑가』(1908년,116장)에 처음 수록되었다.
* 大意 : 통회하고 말씀을 받아들여 구원을 받으라는 메시지가 담긴 복음성가다.(사용분류:재림, 회개의 권면)
168. 하나님의 나팔 소리
템포/박자 |
조금빠르게 /♩= 104 |
선호도 |
상 |
난이도 |
중 |
분류 |
재림 |
주의할점 |
∙이 곡은 리듬적인 곡이므로 붓점을 매우 잘 표현해야 한다. 또한 가사도 서두르지 않고 정확하게 불러야 한다. |
* 해설 : 미국의 블랙이 1893년 작사· 작곡한 복음찬송으로, 베리와 공편한 복음찬송집에 처음 출간되었다.
* 곡명 :“ROLL CALL”(호명)은 가사의 내용에서 딴 것으로, 미국『침례교 찬송가』(1956년) 위원회에서 붙인 것이다.
* 수록 :『신중 복음가』(1919년,79장)에 이장하의 번역으로 처음 수록되었다.
* 大意 : 최후의 순간 주의 나팔 울리고 호명되었을 때 대답할 수 있게 되기를 간구하고 있다.(사용분류:강림,재림,부활)
169. 강물같이 흐르는 기쁨
템포/박자 |
보통으로 /♩= 96 |
선호도 |
상 |
난이도 |
하 |
분류 |
성령 |
주의할점 |
∙붓점을 정확하게 불러야 하며, 매단 마지막소절에는 붓점이 없음을 인식해야 한다.(서두르지 말것) |
* 해설 : 아일랜드의 퍼거슨 여사가 1900년경에‘성령 충만을 통한 완전한 성결 체험’이라는 웨슬리적 경험 후에 쓴 간증적인 찬송시다. 그녀는 남편과 같이 선교단을 만들어 활동하였다.
* 곡명 :“BLESSED QUINTNESS”(축복된 고요함)은 제목에서 온 것이며, 미국에서 1902년에 출간된 복음찬송집에 처음 나타났다. 여기에 편곡자가 이 찬송의 편집 위원하 하나인 오케인으로 되어 있다.
* 수록 :『새 찬송가』(1962년,202장)에 처음 수록되었다.
* 大意 : 성령받은 자들의 기쁨을 노래했다.(사용분류:성령강림, 기쁨, 영적평화)
170. 구주여 크신 인애를
템포/박자 |
보통으로 /ꁝ= 88 |
선호도 |
중 |
난이도 |
하 |
분류 |
성령 |
주의할점 |
∙in3로 부르되 레가토로 부른다. 3째마디의‘내’음정을 주의하고 아랫단의 고음에서는 충분한 호흡을 필요로 한다. |
* 해설 : 영국의 웨슬리가 그의 찬송시집에“소망 안에서 소망에 이르기까지”란 제목으로 수록한 4행 12절시에서 4절만 채택한 것이다.
* 곡명 :“AZMON”(아즈몬)이며, 23장 같은 곡이다.
* 수록 :『찬송가』(1908년,170장)에 처음 수록되었다.
* 大意 : 그리스도의 사랑이 미친 곳은 변화의 역사가 생긴다.(사용분류:성령강림, 헌신의 다짐, 성화의 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