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4/1/18 창원시립상복공원>
창원시 성산구 공단로474번길 160에 위치한 「창원시립상복공원」에 설치한 안전시설 및 편의시설은 예산만 낭 비한 엉터리 공사다. 창원시립상복공원에서부터 아래 입구에 이르기까지 엉터리 시설들을 지적해 보자. 이런 엉터리 시설을 설치하여 혈세를 낭비한 창원시 공무원은 뭐하는 사람인지 알아봐야 할 것 같다. 그리고 창원시장은 이런 시설을 하고도 뭐가 잘못인지 모르는 공무원에게 구상권을 청구하여 그 돈으로 수정해야 할 것이다.
위 사진은 휠체어, 유모차 등이 다닐 수 있도록 설치한 편의시설이다. 이곳에는 점형블록을 설치하지 않는 것이 올바른 시설이 된다. 시각장애인과 휠체어를 탄 장애인은 이동을 할 때 서로 접근 하지 않는 것이 안전하고 시각장애인의 특징상 계단으로 유도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경사로에 설치한 점자블록은 철거를 하여야 한다.

창원시립상복공원 계단으로 가기 직전의 보도에 설치한 점자블록은 진행 방향은 맞다. 그러나 붉은 체크를 한, 두 장의 점형블록은 중 좌측은 제거하고 선형블록과 연결 된 곳의 점형블록은 선형블록으로 교환을 해야 올바른 설치이다. 또한 보도가 끝난 우수관에도 선형블록을 설치했는데 파란 네모부분에 점형블록을 설치하는 것이 맞다.


주차장 쪽의 횡단보도에 설치한 안전시설인 점자블록은 너무 잘하려다 망친 경우로 붉은 동그라미 부분은 T자형이 되도록 다시 수정해야 한다.

주차장이 있는 횡단보도 맞은편에 설치한 점자블록은 횡단보도의 턱 낮춤을 너무 많이 했다. 파란선을 경계로 횡단보도를 벗어난 점자블록 6장은 제거하는 것이 올바른 설치방법이다. 그리고 횡단보도로 유도하는 선형블록이 끝나고 점형블록 2장으로 마감을 하는 곳은 보도의 4/5지점인데 이도 맞지 않지만 점형블록을 4장으로 마감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체크한 점형블록 두 장은 선형블록으로 바꾸어야 한다.

밑으로 내려와 삼거리가 나오는 곳의 안전시설 모양이다. 체크한 두 장은 선형으로 바꾸어야 하고 파란 동그라미 부분은 직각으로 유도를 하게 만들어야 한다. 또한 반대쪽으로도 보도가 연결 되어 있어 장례식장 방향으로만 유도하도록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삼거리 교통섬에 설치한 점자블록은 한마디로 안전시설이 아니라 위험한 시설물로 둔갑을 했다. 경계석을 모두 평면으로 한 것은 안전한 교통섬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이처럼 좁은 지역은 선형블록은 설치하지 않고 점형블록만 설치하는 것이 맞다.

교통섬과 횡단보도의 위치가 일치하지 못하고 있어 교통섬의 역할이 무색하다.

교통섬의 또 다른 진입 횡단보도의 모습이다. 체크한 두 장의 점형블록은 선형블록으로 교체를 해야 한다.

교통섬으로 가는 또 다른 진입 횡단보도의 모습이다. 체크한 두 장의 점형블록은 선형블록으로 교체를 해야 한다.

창원시립상복공원 아래쪽 주차장 입구에 설치한 점자블록 중 파란선 우측의 체크부분은 모두 보도의 턱 낮춤이 없는 곳이라 철거해야 한다. 또한 파란선 좌측의 점자블록 중 체크 된 점형블록 5개는 선형블록으로 수정해야 한다.

창원시립상복공원 아래쪽 주차장 맞은편 입구 역시 파란선 좌측의 점형블록은 턱 낮줌이 없는 곳이라 철거를 해야 한다. 그리고 파란선 우측의 체크된 점형블록 역시 선형블록으로 교체해야 한다.


주차장에 설치한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은 안내판만 세웠고 바닥엔 로고를 설치하지 않았는데 이는 “창원시 주차장 설치 및 관리 조례” 및 “편의시설의 구조·재질 등에 관한 세부기준(제2조제1항관련)”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유도 및 표시’의 규정을 어겼다.

창원시립상복공원 입구의 첫 삼거리에 설치된 점자블록 역시 파란선의 좌측 부분은 턱 낮춤을 하지 않은 곳이라 점형블록을 설하면 안되는 곳이다. 그리고 우측의 붉은 체크가 된 5장의 점형블록은 선형블록으로 교체를 해야 한다.

이곳 역시 파란선의 좌측 점형블록은 턱 낮춤이 없는 곳이라 철거를 해야 하고 파란선 우측의 체크된 9장의 점형블록은 철거를 하고 파란선 쪽의 5장은 선형블록으로 교체를 해야 한다. 또한 붉은 가로선 부분까지는 턱 낮춤을 하지 말아야 하는 부분인데 너무 많이 경계석 턱 낮춤을 하여 안전하지 못한 보도를 만들었다.
다시 반복해서 말하지만 창원시립상복공원의 편의시설 및 안전시설은 법규를 위반했음은 물론이요 시민의 혈세를 마구잡이로 내버린 공사를 한곳이다. 창원시장이 이 공사를 봐주는 것이 아니라면 엉터리 공사를 한 공무원에게 구상권을 청구하여 혈세의 낭비를 막아야할 것이다.
경상남도의 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