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 |
---|
삼국 고구려 백제 신라 남북국 고려 조선 현대 |
사상 |
이제합명 불국토 호국 일심 화쟁 무애 화엄 유식 정토 교관 정혜 무심 돈오점수 돈오돈수 |
인물 |
승랑 원광 자장 원효 의상 원측 제관 의천 지눌 나옹 휴정 경허 성철 숭산 |
종파 · 목록 |
5교9산 5교양종 선교양종 조계종 조동종 진각종 진언종 천태종 태고종 |
소의경전 |
금강경 법화경 화엄경 |
논서 · 주석서 |
간화결의 금강삼매 기신론소 직지심체 정혜결사 천태사교 해심밀경소 법계도 |
사찰 |
삼보사찰 오대총림 분황사 황룡사 |
v • d • e • h |
원광(圓光, 542년 ~ 640년[1])은 신라 진평왕 시대의 유명한 승려이자 학자이다. 세속에서의 성은 박씨이다. 중국에서 불경을 연구하고 강의하면서 이름이 높았던 원광은 신라로 돌아 온 후 《여래장경사기(如來藏私記)》 · 《대방등여래장경소(大方等如來藏經疏)》 등을 지어 신라에 새로운 불교 지식을 전하였다.[2] 한편, 교화활동에 힘써 국민도덕 및 사회윤리를 선양하는 일을 도모하였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세속오계(世俗五戒)의 제정이다.[3] 진평왕 30년(608년)에는 왕명으로 《걸사표(乞師表)》를 지어 수나라에 출병을 요청했다.[2]
원광의 생애에 대해서는 13세기 초에 만들어진 《해동고승전》과 삼국유사에 간략히 나와 있다.[4]
제자백가(諸子百家) · 사서삼경(四書三經) · 《춘추(春秋)》·《사기(史記)》 등을 읽고 불경을 공부하여 진흥왕 27년(566년) 승려가 되었다.[2]
진지왕 3년(578년) 진(陳)에 건너가 《열반경》, 《성실론(成實論)》을 배우고 여러 불경을 연구하고 강의하여 이름이 높았다.[2] 또한 원광은 수나라에 가서 여러 경전을 배웠다.[2] 589년에 수나라에 건너가 11년간 유학하면서 그는 소승 불교와 대승 불교 양쪽의 불경을 모두 공부하였다. 그는 수나라의 승려 담천(曇遷) · 혜원(慧遠) · 영유(靈裕) 등을 만나 《열반경(涅槃經)》·《성실론(成實論)》·《구사론(俱舍論)》·《섭대승론(攝大乘論)》을 배웠다.[3]
진평왕 22년(600년)에 신라로 돌아와 대승 불교를 정착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여래장경사기(如來藏私記)》 · 《대방등여래장경소(大方等如來藏經疏)》 등을 지어 신라에 새로운 불교 지식을 전했다.[2] 그는 자신의 사상을 일반 대중에게 전파하기 위해 복잡한 용어를 사용하기보다 평범한 말들로 표현하였다. 귀산(貴山)등에게 화랑도 세속5계(世俗五戒)를 지어준 것으로 유명하다.[3] 그 밖에 왕명을 받아 수나라에 보내는 《걸사표(乞師表)》를 지었고 황룡사 백고좌회에서 《인왕반야경(仁王般若經)》을 설법하였다.[3]
원광은 대승불교의 진호국가사상(鎭護國家思想)을 화랑도 및 근왕사상(勤王思想)[5]과 연결시켜 국가 이념으로 정립하는데 큰 공헌을 했다.[3]
불교 학자로 한국 고대 불교를 연구한 고익진은 자신의 저서 《한국 고대불교 사상사》에서 원광의 사상은 다음 인용문에 나오는 것처럼 유식 계통의 섭론학이라고 하였다.[6]
원광의 이러한 수학 배경에서 그의 사상을 유식 계통의 섭론학이라고 하겠는데 그의 활동과 저술에서도 그것을 확인할 수 있다. 원광은 가서갑(嘉西岬)에 점찰보를 두어 항규로 삼았다는데, 이것은 종래의 무속적 점복행위를 《점찰선악업보경》의 점찰법에 의해 불교에 섭화코자 한 것이다. 그런데 그 《점찰경》의 권하에는 심오한 대승교리가 설해져 있다. "대승에 향하고자 하는 자는 무엇보다도 먼저 일실경계(一實境界)에 의지해서 신해(信解)를 닦아야 한다. 그 일실경계란 중생의 심체가 본래부터 불생불멸하고 자성청정하고 무장애한 것이다. 또 그 마음을 이르되 여래장(如來藏)이라 한다." 《점찰경》 권하의 이러한 일실경계(여래장)는 섭론종에서 말하는 제9아마라식(amala-vijnana)과 동일한 것이다. 원광의 저술로는 다시 《여래장경사기》와 《대방등여래장경소》가 알려져 있는데, 《대방등여래장경》은 "일체중생은 여래장(tathagata-garbha)이요, 번뇌에 싸인 중생신(衆生身) 속에 여래신(如來身)이 있다"는 것을 아홉 가지 비유를 들어 쉽게 이해시켜 준다. 이 여래장 또한 섭론종의 제9식에 통하는 것이다. 따라서 원광은 섭론가라고 할 만한다. 그러나 그가 《섭대승론》의 복잡한 심식설을 설하지 않고, 통속적인 점찰법을 행하고, 또 교리 내용이 지극히 단순한 《여래장경》을 주석한 것은 당시의 신라 교학이 그 정도의 수준에 불과했기 때문일 것이다.
원광은 진평왕 22년(600)에 귀국한 후 《여래장사(如來藏私記)》·《대방등여래장경소(大方等如來藏經疏)》를 찬술하는 한편 교화활동에 힘써 국민도덕 및 사회윤리를 선양하는 일을 도모하였다.[3] 그 대표적인 것이 세속오계(世俗五戒)의 제정이다.[3] 그는 귀산(貴山)과 추항 두 청년에게 불교정신을 바탕으로 한 윤리강령(倫理綱領)을 가르쳐 당시 신라 청소년들이 지켜야 할 실생활의 윤리를 제시하였다.[3] 세속오계는 ① 사군이충(事君以忠), ② 사친이효(事親以孝), ③ 교우유신(交友有信), ④ 임전무퇴(臨戰無退), ⑤ 살생유택(殺生有擇)으로, 이 덕목들은 후에 화랑(花郞)의 실천덕목이 되어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게 되는 정신적인 큰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3] 세속오계 중 특히 살생에 대한 조항은 불교 이념에 위배되는 조항이지만, 당시 고구려의 끊임없는 침략을 받고 백제와 항쟁을 계속하던 신라로서는 필요불가결한 행동 윤리로 요청되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원광의 현실주의적 불교관의 일단을 보여주는 것이다.[3]
원광은 진평왕 30년(608년) 왕명으로 걸사표(乞師表)를 지어 수나라에 출병을 요청했다.[2]
진평왕은 고구려 정벌을 위해 수(隋) 양제(煬帝)에게 원병을 청하는 《걸사표(乞師表)》를 원광에게 짓게 하였는데, 그는 "남을 없애며 자신이 산다는 것은 승려의 본분이 아니지만 대왕의 나라 안에서 먹고 사는 처지로서 그 명을 어길 수 없다"고 하며 《걸사표》를 지었다.[3] 이는 그가 성직자로서 분명한 태도를 지니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면서 또한 현실을 무시하지 않은 대승 윤리의 실천자임을 보여주는 것이이고 하다.[3]
[ 원광법사와 세속오계 ]
원광법사님도 진흥왕때의 승려로 중국으로 유학해
600년에 돌아와 신라에 많은 불법을 보급하였고.법사께서 청도 가실사에 주석하고 계실때
화랑 귀산과 추황이 찾아와 법사의 가르침을 청하자 바로 세속오계를 지어주었다고 합니다.
그로인해 5계는 화랑도 정신의 중심이념이 되었다고 합니다.
1.사군이충(事君以忠)
2.사친이효(事親以孝)
3.교우이신(交友以信)
4.임전무퇴(臨戰無退)
5.살생유택(殺生有擇)
<SCRIPT type=text/xxxxxxjavascript>// </SCRIPT>
원광법사(圓光法師) (555~638) 신라의 고승. 성은 박씨 또는 설(薛)씨. 경주출신. 13세에 출가하여 승려가 되 었고, 30세에 경주 안강의 삼기산(三岐山)에 금곡사(金谷寺)를 창건하고 수도 하였다. 34세에 주술을 좋아하는 한 승려가 와서 가까운 곳에 암자를 짓고 2년을 살았는데, 원광이 그 승려의 잘못을 타일렀으나 듣지 않다가 화를 입어 죽었다. 이에 불교공부를 더 깊게 하여 사람들을 제도하겠다고 발심하고 589년(진평왕 11)에 진(陳)나라로 들어갔다. 처음에 중국의 금릉(金陵) 장엄사(莊嚴寺)에 머무르면서 민공(閔公)의 제자로부터 강의를 들었으며, 그 뒤 여러 강석에 다니면서 <성실론(成實論)>․<열반경> 등을 공부한 뒤, 오(吳)나라의 호구산(虎丘山)에 들어가서 선정에 힘을 기울였다. 남북조(南北朝)로 갈라져 있던 중국이 수나라에 의하여 통일 된 후, 장안의 흥선사(興善寺)로 갔다. 그곳에서는 <섭대승론(攝大乘論)>에 대한 연구가 크게 일어나고 있었는데, 그는 거기에서 섭론종(攝論宗)의 논서들을 연구하였다. 이때 그는 이미 중국 불교계에 이름이 널리 알려져 있었고, 설법은 항상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신라에서는 이 소식을 듣고 귀국을 자주 청하였다. 600년에 조빙사(朝聘使) 나마제문(奈麻諸文)과 대 英씹념大舍橫川)을 따라 귀국하여 유학 전에 머물렀던 삼기산에 머무르면서 임금과 신하들의 두터운 존경을 받으며 대승경전을 강의하였다. 그 뒤 가실사(加悉寺)에 머물렀는데, 이때 귀산(貴山)과 추항( 項)이 찾아와서 종신토록 지닐 계명(誡銘)을 구하자 당부한 것이 세속오계였다. 세속오계는 뒤에 화랑의 실천덕목이 되어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게 되는데 정신적인 큰 계기를 마련하여 주었다. 특히, 살생은 불교이념에 위배되는 조항이지만, 당시 고구려의 끊임없는 침략을 받고 백제와 항쟁을 계속하던 신라사회로서는 필요불가결한 행동윤리가 요청되었으며, 이에 따른 그의 현실주의적 불교관의 일단면을 나타내는 것이 되고 있다. 613년에 수나라의 사신 왕세의(王世儀)가 왔을 때 황룡사(皇龍寺)에서 인왕백고좌(仁王百高座) 법회가 개최되었는데, 이때 최상석에서 법회를 주관하였다. 또한, 왕이 병이 들어 의약으로 고칠 수 없을 때에는 법을 설하고 계를 주어 참회하게 함으로써 병을 치유하였다. 그리고 불교를 깊이 이해하지 못한 사람들을 수계(授戒) 참회의 법으로써 깨우치고자 가서사(嘉栖寺)에서 점찰법회(占察法會)를 정기적으로 베풀 기금(寶)을 마련하였다. 원광의 역사적 위치는 시대를 배경하여 살펴볼 때 크게 3가지 점으로 요약된다. 첫째, 그는 신라의 승려로서 대승불교를 깊이 연구하고 그것을 신라에서 강의한 최초의 학승이었다. 저술로서 <여래장경사기 (如來藏經私記)> 3권과 <여래장경소(如來藏經疏)> 1권 등이 있었다는 것으로 보아 여래장 사상에 대한 조예가 깊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우리나라 최초의 여래장 사상가로 평가되고 있다. 둘째, 불교의 토착화에 크게 노력하였다. 재앙을 쫓고 병을 고치는 주술이 커다란 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던 당시의 주술을 불교의 수계와 멸참(滅懺)의 법으로 대치시킴으로써 불교의 토착화를 꾀하였다. 가서사에 점찰보(占察寶)를 두고, 임금의 병을 수계․멸참으로 치료한 것 등이 그 일례이다. 셋째, 불교뿐만 아니라 유교에도 깊은 소양을 쌓아 국가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귀산․추항 두 사람에게 세속오계를 주고, 진평왕의 명을 받아 <걸사표>를 쓴 것 등이 그러한 면을 입증하고 있다. <삼국유사>에는 그의 부도가 명활성의 서쪽에 있는 삼기산 금곡사에 있다고 하였는데, 현재 금곡사지에 있는 폐탑이 그의 부도라는 설도 있다. 三綱 五倫(삼강 오륜).
삼 강(三 綱). 君爲臣綱(군위신강);-임금은 신하의 벼리되고, 父爲子綱(부위자강);-아비는 자식의 벼리되거, 夫爲婦綱(부위부강);-남편은 아내의 벼리가 된다.
오 륜(五 倫). 君臣有義(군신유의);-임금과 신하 사이에 의가 있어야 하고, 父子有親(부자유친);-아버지와 자식 사이에 친함이 있어야 하고, 夫婦有別(부부유별);-부부 사이에 분별이 있어야 하고, 長幼有序(장유유서);-어른과 아이 사이에 차례가 있어야 하고, 朋友有信(붕우유신);-벗과 친구 사이에 믿음이 있어야 한다.
세속오계(世俗五戒). 事君以忠(사군이충);-충성으로 임김을 섬기고, 事親以孝(사친이효);-효도로써 어버이를 섬기고, 交友以信(교유이신);-믿음으로 벗을 사귀고, 臨戰無退(임전무퇴);-싸움에서 물러섬이 없고, 殺生有擇(살생유택);-산것을 죽임에 가림이있다.
三;-석 삼,綱;-벼리 강,五;-다섯 오,倫;-인륜 륜. 君;-임금 군,爲;-할 위,臣;-신하 신. 父;-아비 부,子;-아들 자,夫;-사내 부,婦;-아내 부. 有;-있을 유,義;-옳을 의,親;-친할 친,別;-다를 별,長;-긴 장,幼;-어릴 유, 序;-차례 서,朋;-벗 붕,友;-벗 우,信;-믿 을 신.
世;-대 세,俗;-풍속 속.戒;-경계할 계. 事;-일 사.以;-써 이,忠;-충성 충,親;-친할 친,孝;-효도 효,交;-사귈 교, 臨;-임할 임,戰;-싸울 전,無;-없을 무,退;-물러날 퇴. 殺;-죽일 살,生;-날 생,擇;-가릴 택. |
첫댓글 저학년은 설화와 퀴즈등 으로 진행 합니다. 많은관심과 법회에 조언등 함께 더불어 하는 어린이법회가 되었으면하는 바램입니다. 나무아미타불!!!
요즘 세태가 자녀를 너무 나약하고 버릇없이 훈육을해서 국가의 미래가 걱정입니다 75사단 7년전법회때장병들 과 요즘을 비교하면 확연히 드러나지요 지휘관이 뭐라한다고 눈물을 짜는 장병이있고, 군기가 전방은 좀괜찮지만 후방은 느슨합니다 요즘어린이 법회 친구들을 보면 더 한심하지요 학교교육이 체벌없이 진행되고 부모들이 귀한자식 너무싸고돌아 가정교육의 중요함을 인식해야합니다 엄부 자모가 완전 옛말이니... 선생님을 폭행하는 뉴스가 충격이 아닌 현실로 받아 들여야하니 고학년이 문제입니다 부모님들 수업 참관 하시어 상태점검 부탁드립니다. 지식도중요 하지만 예의와 범절, 더불어 잘사는 법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자모님들이 함께 모이는 회의날에 이런 세태를 잘 설명해주시고 부모로써 자식에게 해줄수 있는 방향을 잘 이야기해주고 어린이 법회에서의 진행방향을 , 법사님의 생각을 잘 전달해 주시면 저희 자모들도 도움이 될거예요... 자모, 아이들, 선생님들이 삼위일체가 되어야 아이들이 참다운 불교인이 되겠지요.. 저희도 여러가지 부족함이 많습니다. 언제나 수고해주셔 감사합니다.
언제나 관심 협조 감사드립니다. 초파일 행사 끝나고 순례법회 자모님들과 함께했으면 합니다. 어제 절도 차량 무면허 청소년 5명의 사망등 우리나라 교육현장의 문제점들이 보도외에도 엄청납니다 우리기쁨정사 어린이 법우들은 모두가 한사람의 낙오없이 훌륭한 인격형성 될수있길 부처님께 발원 드리며, 행복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