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발효 혹은 부패성 축분(분뇨)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The following example reveals how little humus is produced when manure is used: if a dose of 400
quintals (roughly 88,000 pounds) of stable manure is applied to each hectare of soil (on light soils),
after half a year, half of the amount of the manure can be found; after one year, only a fifth; and
after two years, practically nothing of the manure is left.
다음 사례는 퇴비을 사용할 때 부식물이 얼마나 적게 생성되는지를 보여줍니다: 만약 40,000kg (약 88,000 파운드)
의 축사 걸름이 각 토양 1 헥타르 (심토층이 낮은 토양)에 넣었다고 하면, 반년 후에 걸름의 절반이 남게 될것입니
다; 1년 후에는 5분의 1만 남고, 2년 후에는 실제로 분뇨가 남지 않습니다.
The organic matter in the soil is quickly consumed and assimilated; it is then mineralized without
the production of humus. Typical manure cultivation has been practiced in Germany for the last 200
years. If manure cultivation were effective, German soils would be very rich in humus. But this isn’t
the case. Manure is only the remains of the substances that served the animal as nutrition. All the
highly nutritive proteins, carbohydrates, fats, and so on that were produced by the plant have been
taken away from the soil, and what remains is poor in nutrients.
토양의 유기물은 빠르게 소비되고 동화됩니다. 그것은 부식질의 생산없이 광물화됩니다. 일반적인 분뇨 재배법이
지난 200년 동안 독일에서 시행되었습니다. 만약 분뇨 재배법이 효과적이라면, 독일 토양은 부식물로 매우 풍부
할 것입니다. 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분뇨는 동물에게 영양분을 공급한 물질의 잔해일 뿐입니다.
식물에 의해서 생산된 고영양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등은 모두 토양에서 빼앗겼고, 남은 것은 영양분이 부실합
니다.
In spite of these shortcomings, the custom of manure spreading is still widely practiced. Here is an
example: several years ago a renowned child specialist wanted to find out whether the quality of
vegetables grown for babies and young children was influenced by fertilization. How did he go about
it? He tested the influence of: a) only manure; and b) manure plus mineral fertilizer. The result:
the vegetables fertilized exclusively with manure proved not only inferior, but actually dangerous
for human health — many of the children in this group were diagnosed with hypochromic anemia.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분뇨의 사용 관행은 여전히 널리 행해지고 있습니다. 여기[ 몇가지 사례가 있습니다:
몇 년 전에 유명한 아동 전문가가 아기와 어린 아이들을 위해 재배된 채소의 품질이 비옥도에 의해 영향을 받았는지
여부를 알고 싶어했습니다. 어떻게 했을까요?
He tested the influence of: a) only manure; and b) manure plus mineral fertilizer. The result:
the vegetables fertilized exclusively with manure proved not only inferior, but actually dangerous
for human health — many of the children in this group were diagnosed with hypochromic anemia.
그는 다음과 같은 영향을 테스트했습니다 :
a) 단지 분뇨로만 사용해서 재배한 채소 식사 그룹
b) 분뇨와 미네랄 사용해서 재배한 채소 식사 그룹
그 결과: 거름으로만 재배된 채소는 열등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 인간의 건강에 위험한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이 그룹의 많은 어린이들이 저크롬성 빈혈로 진단되었습니다.
The report about the influence of stable manure on the quality of vegetables even referred to humus-
fertilized soils. Such misinformed ideas about humus are still common. Researchers apparently
failed to notice that manure is a rot product that contains poisonous substances like indole, skatole,
putrescine, and toxic phenols, and that the quality of manured soil is bound to be toxic.
채소의 품질에 축사 거름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고서는 풍부한 부식질 토양이라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부식질
에 대한 잘못된 정보는 여전히 일반적입니다. 연구원들은 거름이 인돌, 스카톨, 푸트레신, 페놀 독성과 같은 독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썩은 원료로, 퇴비(분뇨)가 투입된 토양의 질은 독성이 있을 수밖에 없다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해결방안
1. 부패성 혹은 미발효 퇴비(분뇨)로 농사짓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으며, 잘 발효한 유기물과 천연미네랄을
같이 토양에 투입해야 한다.
2. 부패성 혹은 미발효 퇴비(분뇨)를 넣은 경우는 막걸리 같이 발효한 미네랄액비로 독소를 제거하고
식물을 건강하게 키우야 한다. 미생물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식물은 흙( 돌가루 )에 뿌리를 뻗고, 매일 주로 수용성 돌가루(미네랄)을 흡수하며 산다. 식물의 주식(主食)은 돌가루이다.
천연미네랄을 킬레이트화 하고, 발효하면 수용성 저분자 액비로 독소제거, 뿌리발근 촉진, 건강한 생육을 도모한다.
수용성 미네랄을 막걸리 같이 발효해서 공급하는 것은 건강한 식물을 재배하는 기본이 되어야 한다.
이것은 의약같은, 보약같은 먹거리 생산의 기본이며, 저비용 고효율( efficiency )농법의 기본이다.
번역문 출처: https://www.ecofarmingdaily.com/ 번역: 한국발효농업연구소 김현남
기술 & 교육 문의: 한국발효농업연구소 055)331-6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