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3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 가 )
알룩조개에 입맞추며 자랐나
눈이 바다처럼 푸를뿐더러 까무스레한 네 얼굴
가시내야
나는 발을 얼구며
무쇠다리를 건너온 함경도 사내
바람소리도 호개도 인전 무섭지 않다만
어두운 등불 밑 안개처럼 자욱한 시름을 달게 마시련다만
어디서 흉참한 기별이 뛰어들 것만 같애
두터운 벽도 이웃도 못 미더운 ㉠ 북간도 술막
온갖 방자의 말을 품고 왔다
눈포래 를 뚫고 왔다
가시내야
너의 가슴 그늘진 숲속을 기어간 오솔길을 나는 헤매이자
술을 부어 남실남실 술을 따르어
㉡ 가난한 이야기 에 고히 잠거다오
네 두만강을 건너왔다는 석 달 전이면
단풍이 물들어 천리 천리 또 천리 산마다 불탔을 겐데
그래두 외로워서 슬퍼서 초마폭으로 얼굴을 가렸더냐
두 낮 두 밤을 ㉢ 두루미처럼 울어 울어
불술기 구름 속을 달리는 양 유리창이 흐리더냐
차알삭 부서지는 파도소리에 취한 듯
때로 ㉣ 싸늘한 웃음 이 소리 없이 새기는 보조개
가시내야
울 듯 울 듯 울지 않는 전라도 가시내야
두어 마디 너의 사투리로 때 아닌 봄을 불러줄게
손때 수줍은 분홍 댕기 휘 휘 날리며
잠깐 ㉤ 너의 나라 로 돌아가거라
이윽고 얼음길 이 밝으면
나는 눈포래 휘감아치는 벌판에 우줄우줄 나설 게다
노래도 없이 사라질 게다
자욱도 없이 사라질 게다
- 이용악 , 「 전라도 가시내 」 -
( 나 )
하늘은 날더러 구름이 되라 하고
땅은 날더러 바람이 되라 하네
청룡 흑룡 흩어져 비 개인 나루
잡초나 일깨우는 잔바람이 되라네
뱃길이라 서울 사흘 목계 나루에
아흐레 나흘 찾아 박가분 파는
가을볕도 서러운 방물장수 되라네
산은 날더러 들꽃이 되라 하고
강은 날더러 잔돌이 되라 하네
산서리 맵차거든 풀 속에 얼굴 묻고
물여울 모질거든 바위 뒤에 붙으라네
민물 새우 끓어 넘는 토방 툇마루
석삼년에 한 이레쯤 천치로 변해
짐부리고 앉아 쉬는 떠돌이가 되라네
하늘은 날더러 바람이 되라 하고
산은 날더러 잔돌이 되라 하네
- 신경림 , 「 목계장터 」 -
31. ( 가 ), ( 나 ) 의 공통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① 역설적 표현을 사용하여 주제를 부각하고 있다 .
② 시상의 반전을 통해 화자의 정서를 심화하고 있다 .
③ 동일한 시구를 반복하여 시적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
④ 구체적 청자를 설정하여 대상에 대한 친근감을 드러내고 있다 .
⑤ 음성 상징어를 통해 시적 분위기를 생동감 있게 전달하고 있다 .
32. ㉠~㉤ 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① ㉠ : 가시내가 함경도 사내와 함께 있는 공간으로 두렵고 불안한 상황임을 나타낸다 .
② ㉡ : 가시내의 고통스럽고 힘들었던 삶을 나타낸다 .
③ ㉢ : 가시내가 고국을 떠나야 했던 슬픔을 나타낸다 .
④ ㉣ : 가시내가 함경도 사내에게 느끼는 연민의 정서를 나타낸다 .
⑤ ㉤ : 가시내가 위로를 받을 수 있는 추억의 공간을 나타낸다 .
33. < 보기 > 를 참고하여 ( 가 ) 와 ( 나 ) 를 감상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3 점 ]
< 보기 >
( 가 ) 와 ( 나 ) 에는 평화롭고 안정적인 삶을 살 수 없어 유랑의 삶을 살아가는 민중들의 모습이 드러나 있다 .
( 가 ) 는 유랑하는 삶의 고통과 이에 대응하는 모습 , 비슷한 처지의 사람끼리 위로하는 모습 등을 그리고 있고 , ( 나 ) 는 떠돌이 삶의 비애와 갈등을 그리고 있다 .
① ( 가 ) 의 ‘ 봄을 불러줄게 ’ 에는 함경도 사내가 가시내의 삶을 위로하고자 하는 모습이 드러나 있군 .
② ( 가 ) 의 ‘ 벌판에 우줄우줄 나설 게다 ’ 에는 고통스러운 현실에 맞서려는 함경도 사내의 모습이 나타나 있군 .
③ ( 나 ) 의 ‘ 가을볕도 서러운 ’ 에는 유랑하는 민중들의 삶의 비애가 드러나 있군 .
④ ( 가 ) 의 ‘ 눈포래 ’, ‘ 얼음길 ’ 과 ( 나 ) 의 ‘ 산서리 ’, ‘ 물여울 ’ 은 유랑의 삶 속에서 겪게 되는 시련을 나타내는군 .
⑤ ( 가 ) 의 ‘ 자욱도 없이 사라질 게다 ’ 와 ( 나 ) 의 ‘ 짐부리고 앉아 쉬는 ’ 에는 현실을 극복하려는 민중들의 의지가 드러나 있군 .
** 현대시 **
□ 출전 : ( 가 ) 이용악 , < 전라도 가시내 >
( 나 ) 신경림 , < 목계장터 >
31. [ 출제의도 ] 작품의 공통점 파악하기
( 가 ) 는 ‘ 울 듯 울 듯 ’ 과 ‘ ~ 사라질 게다 ’ 의 반복을 통해 , ( 나 ) 는 ‘ ~ 되라 하고 ’ 와 ‘ ~ 되라 하네 ’ 의 반복을 통해 시적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
32. [ 출제의도 ] 구절의 의미 파악하기
‘ 싸늘한 웃음 ’ 은 가시내가 자신의 삶과 세상에 대해 짓는 웃음으로 볼 수 있다 . 함경도 사내에게 연민을 느껴 짓는 웃음이라고 이해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
① ‘ 북간도 술막 ’ 을 ‘ 흉참한 기별 ’ 이 뛰어들 것 같은 , ‘ 이웃도 못 미더운 ’ 공간으로 그리고 있으므로 ‘ 북간도 술막 ’ 이 불안하고 두려운 공간임을 알 수 있다 . ⑤ ‘ 너의 나라 ’ 는 ‘ 너의 사투리 ’, ‘ 수줍은 분홍 댕기 ’ 를 볼 때 가시내가 위로를 받을 수 있는 추억의 공간임을 알 수 있다 .
33. [ 출제의도 ] 외적 준거에 따른 작품 감상하기
( 가 ) 의 ‘ 자욱도 없이 사라질 게다 ’ 는 함경도 사내가 벌판에 나서는 비장한 정서를 드러낸 표현이지만 , ( 나 ) 의 ‘ 짐 부리고 앉아 쉬는 ’ 은 잠시나마 쉬고 싶은 정서를 표현한 것이므로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가 드러나 있다고 보기 어렵다 .
① ‘ 봄을 불러줄게 ’ 는 함경도 사내가 가시내에게 ‘ 너의 나라 ’ 를 떠올릴 수 있도록 하여 가시내를 위로하고자 하는 마음을 드러내고 있다 .
카페 게시글
[문제] 현대시
[2015 7월 9일] 3학년 수능 모의고사(B형) - 이용악, <전라도 가시내> / 신경림, <목계장터>
구렛나루
추천 1
조회 1,180
15.08.12 17:20
댓글 1
북마크
번역하기
공유하기
기능 더보기
다음검색
첫댓글 소중한 자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