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가오리目 Torpediniformes
전기가오리科 Torpedinidae
◇ 점박이전기가오리 : Torpedo marmorata (Risso)
► 외국명 : (영) Marbled electric ray, Spotted torpedo, Marbled torpedo
► 형 태 : 크기는 최대 전장 100㎝, 체중 3kg까지 자라지만 대개는 전장 60㎝ 정도이다. 디스크의 폭과 전장의 비율은 1.5:1.7 정도이다. 몸은 부드럽고 흐느적거리며 체표에는 피부치아가 없다. 가슴지느러미 디스크(체반)는 거의 원형이며, 전장의 약 59-67%를 차지한다. 쌍을 이룬 신장(콩팥) 모양의 전기 기관은 작은 눈 밖의 피부 아래에 있다. 눈 바로 뒤에는 타원형의 분수공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거의 중앙에서 만나는 6~8개의 손가락 모양 돌출부가 있다. 분수공 뒤쪽에는 5~7개의 눈에 띄는 점액 구멍이 있다. 비공 사이에는 길이보다 훨씬 넓은 사각형의 피부 커튼이 있으며, 이는 거의 작은 아치형 입까지 도달한다. 이빨은 하나의 뾰족한 끝이 있는 작고 양쪽 턱에 띠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다섯 쌍의 새열(아가미 슬릿)은 작고 체반 아래에 위치한다. 두 개의 등지느러미는 끝이 둥글고 서로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각 지느러미의 밑부분은 높이의 약 2/3정도이다. 제1등지느러미 밑부분의 뒤쪽은 뒷지느러미 밑부분의 뒤쪽에 위치해 있다. 제2등지느러미는 제1등지느러미보다 약간 작다. 짧고 튼튼한 꼬리는 양쪽을 따라 피부 주름이 있으며, 모서리가 뭉툭한 삼각형 모양의 큰 꼬리지느러미에서 끝난다. 윗면은 밝은 갈색에서 어두운 얼룩무늬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일부 개체는 균일한 갈색을 띤다. 아랫면은 단순한 회백색이다.
► 설 명 : 수심 2~370m 범위의 해초 지대, 바위 지대 또는 그 주변의 모래 개펄 바닥에 서식한다. 수온 20℃ 이상의 해역은 피한다. 대개는 단독으로 생활하며, 느리게 움직이고 며칠 동안 움직이지 않을 수도 있다. 밤에 더 활동적이며, 하루의 대부분을 눈만 내어놓고 퇴적물에 묻혀 보낸다. 근육 조직에서 유래한 두 개의 전기 기관에 의해 생성되는 공격과 방어를 위한 강한 전기 충격을 일으킬 수 있다. 각 전기 기관은 400~600개의 수직 기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기둥은 약 400개의 젤리로 채워진 전도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본질적으로 배터리처럼 작용한다. 최대 70~80볼트의 전압을 생성하는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방전의 최대 전위는 최대 200볼트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피로해질수록 전기 충격의 강도는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전기를 이용해 먹이를 잡으며, 사냥에서 시력은 별로 중요성이 없다. 이는 바닥에 묻혀 있기 때문에 종종 눈이 가려지기 때문이다. 움직이는 먹이만 공격하기 때문에 측면 라인의 기계 수용체에 의존할 가능성이 높다. 로렌지니의 전기수용성 팽대부도 먹이 탐지에 기여할 수 있다. 주로 저서성인 소형 어류를 잡아먹으며, 망둥어, 농어, 숭어, 고등어, 도미, 붕장어, 광어 매우 다양하다. 오징어와 같은 두족류나 새우와 같은 갑각류도 먹는다.
난태생으로 한 배에 5~32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새끼의 크기는 전장 10~14㎝ 정도이다. 200볼트의 전기쇼크를 발산한다. 어미의 뱃속에서부터 발전 능력을 가지며, 출산 즉시 전기를 발산하여 사냥할 수 있다. 전장 40~50㎝ 정도에서 성적으로 성숙한다.
► 분 포 : 영국 북부에서부터 지중해, 남아프리카 희망봉까지 동부대서양 연안에 널리 분포한다.
► 비 고 : 사람의 생명을 위협할 정도로 위험하지는 않지만 충격을 받은 다이버가 물속에서 방향을 잃을 위험은 있다. 전기적 특성은 고대부터 알려져 왔으며, 이로 인해 전기 물고기와 기타 전기 물고기가 의학에 사용되었다. 트롤이나 주낚에 우연히 잡히지만 경제적 가치가 거의 없기 때문에 포획 시 대부분 바다에서 버려진다.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이를 취약종으로 평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