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rians.wsu.edu/2016/05/31/comprised-of/
Although “comprise” is used primarily to mean “to include,”
it is
also often stretched to mean “is made up of”—a meaning that some critics
object to.
comprise 는 기본적으로 포함한다는 의미로 쓰인다
A 가 B 를 초함한다면 A comprises B.
A 가 B 를 초함하려면 A 가 B 보다 커야 하므로
A 는 whole 전체/대가 되고 B 는 parts 부분/소/구성원이 되는데
이 타동사를 수동태로 써서 be comprised of 나 is made up of 로 쓰기에
수동태 주어로 부분이 쓰이므로
The whole comprises the parts. 대는 소를 구성한다
The parts are comprised of the whole. 소는 대로 구성되어 진다
능동태 주어가 전치사 of 의 목적으로 쓰여 이상한 수동태가 나오므로;
(수동태로 쓰면 이상한 것이 누군가가 구성하는/포함하는 동작자가 부재하는 때문이다)
차라리 자동사인 consist 를 쓰는것이 더 확실하다 하겠으나
the whole consist of parts. 대는 소로 구성된다
어쩌랴 영어인들 조차도 헛갈리기를 즐겨한다니
영어가 외국인인 우리는 두말할 나위도 없다 하겠다
The most cautious route is to avoid using “of” after any form of “comprise” and substitute “is composed of” in sentences like this: “Jimmy’s paper on Marxism was composed entirely of sentences copied off the Marx Brothers home page.”
본인의 헛갈림과 다른이 헛갈리기를 피하자고
comprise 뒤에 of 를 쓰는 것을 아예 피하자고
is composed of 를 쓰자 하는데
우리에겐 여전히 헛갈림과 헛갈리기가 반복된다
There’s a lot of disagreement about the proper use of “comprise,” but
most authorities agree that the whole comprises the parts: “Our pets
comprise one dog, two cats, and a turtle.”
The whole comes first, then
“comprise” followed by the parts.
But there’s so much confusion surrounding the usage of this word that it may be better to avoid it altogether.
헛갈림의 출처는 대가 소를 포함한다/구성한다는 의미의 comprise 를 수동태로 하면
소는 대로 구성되어 진다는 묘한 의미가 나오기에
is compose of 구조의 수동태로 쓰지 말자는 제안이 나온다
이 글을 읽고 헛갈림의 극치를 맛보지 않는다면 이상하리라 싶어
우리식 한글로 영어를 쉽게 이해하자 한다
1. 대 consist of 소 (자동사)
2. 대 comprise 소 (타동사)
3. 소 compose 대 (타동사)
1번과 2번의 공통분모는 대/소 관계이므로
이것들을 혼동해서 쓸 우려가 심각하고
불통 분모는 자동사와 타동사 관계라
자/타를 혼동할 기회는 넘친다
2 번과 3번은 타동사로 상통분모, 대소/소대는 불통분모 관계에 있기에
타동사 문제는 전무하나 대소/소대를 헛갈릴 공산은 지대하다 하겠다
이런 혼동문제를 해결하고자
작곡소대를 투입하여 소대/대소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the parts compose the whole 소 작곡 대 = 작곡소대
compose 는 구성말고도 작곡도 되기에
소/小/주어, 대/大/목적을 우리말에 익숙한 작곡소대/小隊로 불러
3번을 작곡소/대로 하면 1, 2번은 대/소로 분리되고
다시 대자소, 대타소로 이분하여
자컨, 타콤으로 외우면 그럴듯 하게 혼란이 잠재워 진다 보는데
중요한건 기억하기에 좋은 작곡소대에서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1. 소 compose 대 (작곡소대)
2. 대 consist of 소 (대소자컨)
3. 대 comprise 소 (대소타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