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세의 출생과 성장, 그리고 인격수련
( 출애굽기 2장 1절-22절 )
Ⅰ.들어가는 말
1.모세가 레위 지파 후손으로 태어났다(1)
2.히브리 자녀들 중, 사내아이는 강에 버리라는, 바로의 명령에 따라, 아기 모세도 왕골 상자에 넣어 강에 버려지게 되었다(3)
3.이것을, 바로의 딸이 발견하고, 데려다가 자기 아들로 삼았다(10)
4.세월이 흘러서, 모세는 어른이 되었고, 어느 날 그가 밖에 나갔을 때의 일이다(11)
Ⅱ.본론
1.살인과 도망
①모세가 동족 괴롭히는 애굽 사람을 죽이다.
ㄱ.자기 동족들이 말할 수 없이 고생하는 것을 보게 되었다(11)
ㄴ.때마침, 어떤 애굽 사람이 자기 동족을 때리는 것을 보고, 그 애굽 사람을 쳐죽여, 시체를 모래 속에 감추었다(12)
②동족의 다툼을 말리다가, 살인 비밀이 들통났음을 알게 되다.
ㄱ.이튿날 보니, 이번에는 히브리인들끼리 싸우고 있었다(13)
ㄴ.모세가 잘못한 이에게 : 왜, 동족을 때립니까?(13)
ㄷ.그 사람 : 누가 당신을 우리의 재판장으로 삼았는가? 어제는 애굽 사람을 죽이더니, 이제는 우리도 죽일 참이오?(14)
③모세가 바로를 피하여 미디안으로 도망하다.
ㄱ.바로가 이 소식을 듣고는 모세를 죽이려고 했다(15)
ㄴ.모세는 바로 손아귀에서 벗어나려 미디안 땅으로 도망했다.
2.결혼과 득남
①모세가 제사장의 딸들을 돕다가 그의 초대를 받다.
ㄱ.제사장 딸들이 양떼에게 물 먹이다가, 다른 목자들에 의하여 어려움 당할 때, 모세 도움으로 물을 먹일 수 있었다(16)
ㄴ.딸들이 집에 돌아갔을 때, 아버지 르우엘에게 그 사실을 알려드리자, 르우엘은 모세를 집으로 초청했다(20)
②모세가 제사장 딸과 결혼을 하여 아들을 낳다.
ㄱ.르우엘은 모세에게 함께 살자고 제안했다(추정)
ㄴ.모세가 기꺼이 허락을 하자, 르우엘은 그의 딸과 짝을 맺어주어, 모세를 사위로 삼았다(21)
ㄷ.십보라가 아들을 낳자, 모세는 그의 이름을 '게르솜'이라고 지어 불렀다(22)
Ⅲ.맺는 말
1.모세의 출생과 성장 과정은, 아주 판이하게 달랐다.
그는, 피압박 민족인 히브리 혈통으로 태어나, 극적으로 살아남게 되었고, 지배자의 왕궁에서 성장을 했던 것이다.
2.모세는 왕궁에서 편안하게 지낼 수 있었으련만, 그의 동족이 고통 당하는 것을 보고만 있을 수가 없었다.
드디어, 그는 동족을 돕다가 애굽 사람을 죽이고, 미디안으로 도망치게 되었다.
3.모세는, 동족애를 가지고 민족을 구원하려 했지만, 아직은 인격이 미성숙한 까닭에, 미디안에서 40년 동안 훈련을 받게 된다.
1.모세의 출생과 성장
①출생
ㄱ.레위 지파의 후손으로 태어났다(1)
ㄴ.아주 잘 생겼다(1)
ㄷ.생모가 유모가 되어, 모세를 키우게 되었다(9)
ㄹ.그의 어머니는, 애국심이 강한 사람이었다(추정)
②성장
ㄱ.애굽 공주의 양아들이 되었다(10)
ㄴ.왕실에서, 부족한 것 없이 생활할 수가 있었다(추정)
2.애굽 탈출과 미디안 정착
①애굽 탈출
ㄱ.자기 동족을 괴롭히는 애굽 사람을 보자, 그만 화가 치밀어 그를 죽인다(12)
ㄴ.이 사실이 바로에게 알려지게 되었고, 바로는 모세를 죽이려고 했다(15)
ㄷ.그래서, 모세는 죽음을 피하여 미디안으로 도망가게 된 것이다(15)
②미디안 정착
ㄱ.미디안 제사장인 르우엘의 딸들이 위기에 처했을 때, 모세가 돕게 되었다(16)
ㄴ.이것이 계기가 되어, 모세는 르우엘의 사위가 되었고, 아들까지 얻었다(21)
3.맺는 말(교훈)
①유아 교육이 중요하다
모세가 동족애를 갖게 된 것은, 그의 어머니가 유모가 되어, 어릴 때부터 민족 교육을 시켰기 때문이다.
②성숙한 인격을 가진 사람이라야, 일을 성사시킬 수 있다
모세는 지식도 있었고 용맹함도 있었다.
거기에다가, 동족애도 있었다.
그러나 혈기를 버리지 못한 까닭에, 민족 구원을 일찍 달성할 수 가 없었다.
출처: 한국강해설교연구원 원문보기 글쓴이: 옥련지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