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명을 점치는 스님 / 삼중스님
어떻게 살아야 하나, 어떻게 살아야 잘 사는 것일까, 사람이면 누구나 한번쯤 이런 생각을 하게 마련이다.
인생이란 긴 여정을 살다보면 다양한 형태의 고민을 하고 크든 작든 어려움과 고통을 겪는다.
아무리 학식이 높고 가진 것이 많은 사람이라 해도 한 가지 고민쯤은 안고 살아가게 마련인 것이다.
고민이란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의 표현이다.
그러나 애써 고민만 한다고 일이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자신의 힘만으론 어쩔 수 없는 일이 세상에는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은 때로 불가사의한 힘에 의존하고 싶어한다.
자신이 감당하기 어려운 문제일수록 누군가의 힘에 기대어 미리 해결책을 구하고 싶어한다.
무속인을 찾게 되는 것도 실은 작게나마 위안을 삼고 싶은 마음에서이고 또 다가올 불확실한 미래를 미리 알아 대처하고 싶어하기 때문이다.
인간이란 이처럼 가장 위대한 존재이면서 동시에 가장 나약한 존재이기도 하다.
스님이라 해서 세상사 어려운 문제들과 고민을 피해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 생각은 스님이라면 남의 운명을 미리 짚어낼 수 있고 또 불가항력의 힘을 지닌 사람쯤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그리고 당연히 그래야 한다고 믿고 있기도 하다.
"저분은 퍽 영험한 스님이래!"
"그래? 그렇다면 큰스님이시겠네?"
이렇게 말하는 신도들이 더러 있다.
'영험한 스님'을 '큰스님'으로 동일시하는 것은 스님을 일종의 '점쟁이'로 취급하는 일면이 있는 위험천만한 종교관이라 아니 할 수 없다.
간혹 스님을 따라다니며 공부하는 신도들 중에는 불법에 어긋나게 무속인이나 진배 없이 점도 봐주고 육갑을 잘 짚어 돈을 버는 이들이 더러 있다.
또 절에서 신도들을 많이 끌어들이기 위한 방편으로 인간의 미래를 화두로 삼기도 하는 모양이다.
안타까운 현실은 스님들 중에도 간혹 이같이 점술을 해서 대중에게 그릇된 인식을 심어 주는 이들이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불교는 미래를 점치거나 앞날을 미리 예견하는 종교가 결코 아니며 스님 또한 점술가와 동일시되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불교란 부처님의 대자대비의 사랑을 깨달아 이 땅을 정토로 가꾸고자 하는 믿음을 실천하는 종교이다.
마음이 곧 부처이며 법이므로 이 마음만 깨달으면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는 진리를 깨닫는 것이 불교이며 신앙인의 올바른 마음가짐이다.
#삼중스님

카페 게시글
◆ 우리들의 이야기 ◆
스크랩
운명을 점치는 스님 / 삼중스님
송희
추천 0
조회 140
17.09.28 08:46
댓글 2
다음검색
첫댓글 좋은 말씀이십니다.
옳은 말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