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콩의 활용법
1) 고혈압에 좋은 검은콩, 솔잎
솔잎을 깨끗이 씻어 말려 빻아 가루로 만든 뒤 콩을 갈아 1:1 의 비율로 섞은 다음, 냉장고에 보관해 밥 먹기 전에 미숫가루 먹듯이 물을 타서 마신다.
솔잎의 분량이 많으면 변비가, 콩의 분량이 많으면 설사가 생기므로 체질에 맞춰 잘 조절한다.
원효대사와 요석공주 상이의 사랑의 전설이 전해지는 소요산 자재암에서는 옛날에 솔잎과 검정콩을 물에 불려서 생식했다고 하는데, 그 때문인지 지금껏 당뇨병과 고혈압을 앓는 스님이 드물었다고 한다.
검정콩은 맛은 달고 성질은 서늘하다. 간장과 신장을 보호하고 풍을 없애며 독을 풀어준다
2) 식초검은콩
검은콩 1컵을 10분쯤 볶은 다음 식초 2컵에 담근다. 이것을 하룻밤 그대로 두었다가 먹는데 적어도 1개월 이내에 모두 먹도록 한다.
날콩 또는 볶은 콩을 천연 식초에 담가 초콩을 만들어 꾸준히 먹으면 고혈압과 신경통, 통풍 개선에 효과가 있다.
3) 검은콩차
재료 : 검정콩 1컵, 물 2컵
만들기 :
(1)검은콩을 골라 씻은 뒤 잘 말려둔다.
(2)말린 콩을 달달 볶는다.
(3)콩이 잠길 정도의 물을 붓고 10분간 끓인다.
(4)까만 콩물이 우러나면 체에 맡쳐 수시로 마신다.
마실 때 꿀이나 설탕을 타서 마시면 되는데, 다이어트까지 원한다면 콩 차만 마시는 것이 좋다.
치매 예방에 좋고, 해독작용이 있어서 만들어 두고 보리차처럼 마시면 좋다. 다이어트 효과도 누릴 수 있다.
4) 검은콩 벌꿀차
검은콩 80g을 10분쯤 볶은 다음 끓인 물 2컵과 벌꿀 3큰술과 함께 유리병에 넣어 하룻밤 담가둔다.
이것을 냉장고에 보관하면 1주일 동안은 먹을 수 있다. 이 차는 임산부의 산후 체력 회복에 도움이 된다.
5) 검은콩술
검은콩 30g을 볶은 다음 청주나 소주 1컵에 하룻밤 담가두었다가 하루에 2~3회 1큰술씩 먹는다.
1개월 이내에 모두 먹도록 하는데, 이것은 관절통 개선에 효과가 있다.
6) 콩물 만들기
콩은 몸에 쌓은 독성을 없애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검은콩을 삶은 농축액을 마시면 뼛속까지 밴 독을 없애는 효과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콩을 삶아서 우려낸 물은 마시고, 콩 건더기는 조림 등 반찬으로 만들어 먹는다.
재료: 5~6시간 물에 담가두었던 검은콩 50g과 물 5백㎖.
1) 깨끗이 씻은 콩을 냄비에 넣고 물을 붓는다.
2) 한소끔 끓인 뒤 불을 약하게 해서 물의 양이 반으로 줄어 들 때까지 은근히 달인다.
3) 다 끓인 콩물을 체로 걸러 그릇에 담는다.
4) 콩은 요리 등에 사용하고 콩물은 하루 2~3차례 나눠 마신다. 꿀을 약간 넣으면 마시기 쉽다.
7) 검은콩두유
재료 : 검은콩 ½컵, 두유 2컵, 꿀·소금 약간씩
만드는 법
(1) 검은콩을 하룻밤 정도 충분히 불려 삶는다. 덜 삶으면 비린 맛이 나고, 오래 삶으면 색이 칙칙하고 단내가 나므로 주의한다.
(2) 삶은 검은콩을 체에 밭쳐 물기를 빼준다.
(3) 블렌더에 삶은 검은콩과 두유, 소금을 넣고 곱게 갈아준다.
(4) 체에 한번 거른 다음 꿀을 섞어 그릇에 담아낸다.
8) 검은콩 스프
검은콩을 하룻밤 물에 담가 놓는다.
양파와 마늘을 잔잔하게 썰어 기름에 잘 볶아 검정콩을 담갔던 물과 따뜻한 물을 적당히 섞어 약한 불로 끓인다.
검은 콩이 부드러워지면 1cm네모로 자른 당근을 넣는다.
당근이 익으면 소금으로 간을 한다.
9) 녹차성분와의 상성이 좋다.
콩에 결핍돼 있는 비타민A를 녹차가 보충하며 녹차에 풍부한 비타민C는 콩에 들어있는 철성분의 흡수율을 높여준다.
녹차 잎을 그대로 섭취함으로써 물에 용해되지 않는 녹차의 카로틴과 비타민E를 섭취할 수 있게 되며 녹차 카테킨의 강력한 탈취작용이 콩의 독특한 냄새를 제거해 준다.
또한 녹차카테킨엔 장염비브리오나 보툴리누스균 0-157등 무서운 중독균에 대한 항균작용이 있기 때문에 콩의 세균번식을 억제, 오래 보관할 수 있게 해준다.
10) 검은콩즙
(1) 먼저 검은콩 한주먹을 깨끗이 씻는다
(2) 유리컵(300ml)에 검은콩을 넣고 6시간동안 불린다.
(3) 냄비에 삶아서 콩을 녹즙기에 간다
(4) 잘 갈은 콩을 기호에 따라 소금이나 우유등과 함께 먹는다
(5) 하루에 2번 아침 저녁으로 먹는다.
(6) 콩을 불린물은 버리지 말고 그대로 녹즙기에 간다. 콩의 색소 성분에 유효성분이 많기 때문이다.
첫댓글 꼭 검은콩만 약호가 있나요> 노란콩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검은콩 껍질부분에서 검은 색소가 약효가 많답니다,노란콩에도 약효가 없는것은 아닌데 검은콩에 비해 많이 떨어진답니다.
콩과 우유는 함께 먹지 말아야할 음식이라 하던데요. 마트에 보면 검은콩 우유가 있는 걸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