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포커스 김은희 기자] = 지난해 전국 초등학교에 다니는 장애아동 수는 4만8천448명, 이 중 63.9%인 3만964명은 일반 학교 특수학급 학생이다. 통합교육 일환으로 비장애인과 같은 수업 과정을 소화한다.
하지만 이들은 ‘생존수영’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 생존수영은 지난 2014년 세월호 사고 이후 예상치 못한 수상 사고에 대비해 물에서 버티는 능력을 기르는 목적으로 시작된 것으로, 교육부 지침 등에 따라 초등학교 교육 과정에 포함됐다. 수영장 운영이 중단됐던 코로나19 사태에서 잠시 주춤했으나, 지난해부터 전국 시·도 교육청은 최소 3~4학년을 대상으로 교육하고 있다.
장애아동 대부분은 수업을 듣지 못한다. 생존수영 의무 수업이 갑자기 이뤄지면서 안착하지 못하고 있다. 전국적으로도 수업 인프라가 열악하다 보니 장애아동에게 생존수영은 먼 얘기다. 내년이면 생존수영 의무화 10년 차다. 장애아동도 배제되지 않는 생존수영 교육을 위해선 어떤 것들이 필요할까. 이에 본지는 학교 현장 목소리를 시작으로 생존수영 교육 보완책을 고심하는 각계 전문가 의견을 차례로 다룬다. 싣는 순서는 ①장애아동 빠진 반쪽 생존수영 ②장애아동 생존수영 외면 이유는 ③생존수영 시설, 교사 태부족 ④생존수영 의무수업 헛구호 ⑤생존수영 차별에 맞서는 사람들 등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중략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공동으로 만든 지침에 따라 생존수영 교육을 전국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나, 여기엔 장애아동 관련 내용은 전혀 포함돼 있지 않다“며 ”언론을 통해서는 생존수영이 의무화됐다고들 한다. 당연히 수업받을 권리가 있는 장애아동에겐 최소한의 선택권조차 주어지지 않는다는 건 아무도 말하지 않는다“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