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림프종 환우 Cafe 『림사랑』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자유게시판 킴리아 카티 주입후 ICANS
나무그늘 추천 0 조회 1,471 24.04.22 10:09 댓글 25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4.04.22 14:44

    첫댓글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448406/ 이 논문의 도표 3입니다. 51명 환우에게 카티셀을 투여하고 한 달간 다양한 마커들의 수치 변화를 기록하며 중위값을 낸 것입니다. 사이토카인방출증후군(CRS)과 신경독성 증후군(ICANS)은 일관되지는 않지만 1) 투여 전 암의 볼륨이 크고 2) 여러 바이오 마커들의 수치가 양호하지 않고 3) 중추신경계 침윤 등이 위험 요소 중에 있습니다. 아래 도표에서 그레이드 1~3에 해당하는 성인 9명의 한달 간 페리틴 최고치 중위값은 35,246 (2,191–220,657)이었습니다. 그레이드 4~5에 해당하는 3분은 각각 100,000, 266,190, 234,811 으로 높았고요. 지금 그레이드가 어느 정도인지는 모르지만 4000이면 걱정하실 수치는 아닌 것 같습니다. 한 달 동안 카티셀이 잘 반응하여 최고의 결과 있으시길 기원합니다.

  • 작성자 24.04.22 17:36

    CRS도표기는 하지만 큰 도움 되었습니다. 더 안다고 보호자가 할 수 있는게 있는것은 아니지만.. 덕분에 수치가 올라가는 것에 대한 막연하고 큰 공포감은 좀 가라앉았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24.04.22 18:15

    @나무그늘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2473952921003657
    ICANS와 페리틴의 연관은 이 논문이 더 자세하긴 합니다. 킴리아가 아닌 예스카타 투여 환자들입니다. ICNAS에 관련해서 이 논문에서는 1583 이상을 높은 페리틴 수치로 보긴 했네요. 페리틴 수치가 CRS 보다는 ICANS와 더 관련이 있다고 나오긴 했습니다. 1) 혈청 CRP 2)LDH, 3) IL-6, 4) 페리틴 5) MCP-1 수치 6) 혈소판 수치 모두 연관이 있을 겁니다. CAR-T-치료 당일 측정한 CRP 및 페리틴 수치가 주입 또는 그 직후 중증 CRS 및 ICANS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나오고요. 이런 측정 시스템이 나오는 건 고위험 환자들을 미리 식별해 내서 예방을 하거나 대비를 하는 것을 제안하는 거라 생각합니다. 결국 의료진은 많은 환자들을 임상적으로 거치가며 해외 다양한 사례들을 습득해 적절한 부작용 대처를 해야하는 거죠. 다행히 해외는 이미 십 년이상 테이터들이 쌓여 있으니 국내 메이저에서도 많은 자체 연구가 되어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

  • 작성자 24.04.22 23:30

    @steller 논문이 길고 어려워서 읽다가 다 못보겠는데 이렇게 정리해 주신 내용 너무 감사합니다. 주치의 선생님 보니 저희경우에 페리틴 수치가 스테로이드등 쓰는데 중요한 요인 같기는 하더라구요..1583.. ㅠ 1600정도부터 고용량스테로이드(1000ml) 바꾸긴 한거같아요. 수치들이 부디 말 잘들어주길 기도하고 기다리는 수밖에 없겠네요 ㅠㅠ CRP는 조금 높아졌다 정상수치고 LDH는 높아졌다가 카티 주입전보다는 낮긴한데 같이 움직이는 수치들은 아닌가봐요~ 이러나 저러나 어렵습니다 ㅠ

  • 24.04.22 14:48

    https://www.koreahealthlog.com/news/articleView.html?idxno=45078 김석진 교수님 인터뷰 내용입니다.
    보통 토실리주맙과 스테로이드를 투여/조절하며 부작용 관리를 합니다. 토실리주맙과 스테로이드가 잘 듣지 않으면 아나킨라라는 약을 사용할 수 있는데 승인이 났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작성자 24.04.22 17:43

    네 저도 봤는데 토실리주맙은 쓰는데 아나킨라는 아직 못쓰는게 맞나봐요~스테로이드는 카티 초기에는 결과에 부정적 영향미친다가 지배적이었는데.. 요즘은 근거가 없다. 라고 말씀은 하시면서도 되도록이면 최소로 쓰시려고 하는 모습이시고요.. 우선 부작용이 크니 이러나 저러나 약을 쓸수밖에 없더라구요~ ㅠ
    입원동안 카티치료후 혈구감소증으로 잘못 되시거나 걱정하시는 다른 환우분 모습도 보고. 주치의쌤이 저희도 걱정하시길래 크게 눈에띄는 수치인 페리틴과 관련이 있나 했어요~

  • 24.04.22 18:17

    @나무그늘 위에 언급된 다양한 마커들 대부분이 안 좋다면 부작용이 당분간 진행될 가능성이 높을 거라 생각하지만 보통 한 달 이내 잡힌다니 지켜 보실 수 밖에요.

  • 24.04.22 14:53

    신경독성의 경우는 투여 전 혈소판이 6만 이하와 골수 침윤과 함께 블라스트가 5% 이상이면 위험도가 증가한다 나와 있습니다. 아직 열흘밖에 되지 않아 아직은 판단하기가 이릅니다. 5월에 허가나는 약은 의료진에게 여쭤 보십시오 . 저도 궁금합니다.

  • 작성자 24.04.22 17:40

    네 약 이름도 여쭙고. 늦게라도 댓글 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4.24 11:22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4.24 12:53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4.29 22:23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4.29 22:27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4.30 13:44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4.30 15:32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6.07 17:53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6.10 15:08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6.10 17:18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6.10 17:21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6.10 17:25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6.10 17:27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6.11 21:43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6.11 21:44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6.13 01:16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6.14 14:00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