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육청에 따르면 12월 4일부터 7일까지 중국 강소성교육청과의 교육 교류를 통해 4·3의 세계화를 확대하며, 중·고등학생 10명이 참여한다.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평화교육을 탐구하고 중국 학생들과 함께 토론과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소통과 평화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제주 학생과 중국 학생의 공동수업에서 제주 학생들은 제주4·3이 개인에게 미친 영향과 앞으로 나가야 할 방향을 발표했으며, 무명천 할머니 이야기를 중국어로 소개했다. 중국 학생들은 난징 대학살의 교훈과 극복 사례에 대해 발표하기도 했다.
이후 양국의 학생들이 주제별 모둠 토의를 통해 평화와 인권, 화해와 상생의 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면서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난징에서는 △항일항공열사기념관 △이제항 위안소 유적진열관 등을 방문해 일본의 중국침략을 저지하기 위해 싸우다 숨진 중국, 한국, 미국, 소련 군인들의 희생 및 중국 내 위안소 유적을 살펴보느 시간도 가졌다.
상해에서는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청사 △임시정부 생성구역 △윤봉길 의사 기념관을 관람하면서 이국땅에서 나라의 독립을 위해 치열하게 진행됐던 독립투사들의 항일 정신을 배울 수 있는 시간이 됐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지난 6월 제주·대만학생 교육교류에 이어 이번 중국 난징과 평화교육 교류를 통해 4·3의 세계화를 위해 한발 더 나아가고 있다”며 “제주와 중국 난징은 이번 교류를 계기로 상호 간 교육자료를 공유해 활용하고 학생들의 평화교육을 위해 행·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