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존 미디어 중, 최고의 화질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은, 4K 블루레이(Ultra HD Blu-ray)가 아닐까 한다. 하지만, 국내에 출시된 4K 블루레이 타이틀은 18종 정도다. 해외엔 150여종 이상이 출시되어 있어 많지는 않지만, 볼만한 수준은 된다. 4K 블루레이를 온전하게 제대로 즐기기 위해선, 기본적으로 최근에 출시된 HDR지원 4K UHDTV가 있어야 하고, HDR지원 4K AV리시버도 함께 준비가 되어야 서라운드 오디오와 함께 감상이 가능하다. 허나, 온전한 감상을 위해서 수백만원이 넘는 돈을 들여야 한다. 그래서 아직 4K 블루레이를 감상하기란 말처럼 쉽지가 않은 게 현실이다. 그래도 최근에, 4K 블루레이 타이틀 출시가 늘고 있고, 관련 장비들도 저가형 제품 출시가 늘면서, 4K 블루레이를 감상하려는 분들이 제법 늘고 있다. 해서 4K 블루레이에 대한 온전하면서 제대로 즐기기 위한 방안을 간략하게 정리해 보았다. 개인별 보유 장비와 취향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을 수 있으므로, 감안을 해서 봐주었으면 한다. 1.4K 블루레이를 최적의 화질과 음질로 즐기기 위한 장비 1)4K UHDTV 대표적 3가지 HDR방식(HDR 10/HLG/Dolby Vision)지원 4K UHDTV 단, 10bit패널을 사용하고, BT.2020색 재현률이 최소 70%이상~ 권장 →17녕 출시 LG 4K OLED TV 및 LCD(LED)형 4K UHDTV(8000시리즈~) HDMI2.0a/b+HDCP 2.2지원 4K AV리시버-Dolby Atmos/DTS:X지원 2.4K 블루레이 플레이어 출시 현황 아래 도표 참조 3.나에게 맞는 4K 블루레이 플레이어 & 콘텐츠 1)4K 블루레이 플레이어 : HDR 10/Dolby Vision 지원 →LG UP970, OPPO UDP-203 ☞아날로그 오디오(멀티 7.1ch)출력 기능이 필요하신 분 →OPPO UDP-203, UDP-205(음악 감상 겸용) 3)4K 스트리밍 : Netflix, YouTube, Amazon→별도 가입 필요 4.4K 블루레이 타이틀 출시 현황 1)국내-18중 *레고 무비(The Lego Movie, 2014) *레전드 오브 타잔(The Legend of Tarzan, 2016) *맨 오브 스틸(Man of Steel, 2013) *배트맨 대 슈퍼맨-저스티스의 시작(Batman v Superman-Dawn of Justice, 2016) *설리-허드슨강의 기적(SULLY, 2016) *수어사이드 스쿼드(Suicide Squad, 2016) *신비한 동물사전(Fantastic Beasts and Where to Find Them, 2016) *아기배달부 스토크(STORKS, 2016) *어카운턴트(The Accountant, 2016) *얼라이드(Allied, 2017) *위대한 개츠비(The Great Gatsby, 2013) *크리드(Creed, 2015) *퍼시픽 림(Pacific Rim, 2013) *하트 오브 더 씨(In the Heart of the Sea, 2015) *해리 포터와 불사조 기사단(Harry Potter And The Order Of The Phoenix, 2007)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1부(Harry Potter And The Deathly Hallows-Part 1, 2010)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2부(Harry Potter And The Deathly Hallows-Part 1, 2011) *해리 포터와 혼혈 왕자(Harry Potter And The Half-Blood Prince, 2009) 2)해외-150여종~ 아래 링크 사이트 참조 4K 블루레이 플레이어를 구입하였다 해도 4K 블루레이 타이틀이 없으면, 4K UHD화질(HDR)로의 감상은 쉽지가 않다. 하지만, 4K 블루레이 타이틀이 많지 않기 때문에, 4K 블루레이 플레이어를 구입하였다 해도, 손쉽게 구해서 볼 구 있는 HD급 블루레이 타이틀 감상도 함께 권한다. 비록 HD급 블루레이 타이틀이긴 하지만, 4K 블루레이 플레이어의 출력 설정을 2160p로 하면 업스케일링 효과도 있어, 일반 HD급 블루레이 플레이어로 보는 것보단 화질이 다소 낫다. 그리고 대다수의 4K 블루레이 플레이어에는 인터넷과 연동할 수 있는 LAN단자 있고, 스트리밍 서비스 업체인 Netflix나 YouTube, Amazon과 같은 곳에서 제공하는 4K UHD콘텐츠들을 감상할 수 있다. 화질이 그리 좋다고는 못하지만, 부족한 4K UHD콘텐츠 갈증엔 다소 도움이 된다. |
▶4K 블루레이 플레이어(Ultra HD Blu-ray player) 출시 현황 | |||||||||||
제조사 | 모델 | HDR | HDMI | 7.1ch Analog | 4K스트리밍 | 출시 | 가격 | ||||
HDR 10 | Dolby Vision | 2.0 (A/V) | 1.4 | Netflix | You Tube | Amazon 국가별차이 | |||||
삼성 | UBD-K8500 | O | - | O | O | - | O | O |
| 16년 2월 | $209 263,910원 |
UBD-M9500 | O | - | O | O | - | O | O |
| 17년 4월 | - | |
LG | UP970 | O | O | O | O | - | O | 1080p |
| 17년 4월 | $299 |
파나 소닉 | DMP-UB900 | O | - | O | O | O | O | O |
| 16년 4월 | $649 |
DMP-UB700 | O | - | O | O | - | O | O |
| 16년 7월 | EUR 373 | |
DMP-UB300 | O | - | O | - | - | O | O |
| 17년 5월 | - | |
DMP-UB310 | O | - | O | - |
| O | O |
| 17년 5월 | - | |
소니 | UBP-X800 | O | O | O | O | - | O | O |
| 17년 3월 | $298 |
OPPO | UDP-203 | O | O | O | O/IN | O | O | O |
| 16년 12월 | $549 930,050원 |
UDP-205 | O | O | O | O | O | O | O |
| 17년 5월 | - | |
필립스 | BDP7501 | O | - | O | O | - | O | O |
| 16년 8월 | $229 |
BDP7502 | O | - | O | O | - | O | O |
| 17년 5월 | - | |
BDP5502 | |||||||||||
MS | XBOX ONE S | O | - | O | X/IN | - | - | - | - | 16년 11월 | $257 370,000원 |
※분홍색 모델은 국내 구입 가능 ※Dolby Vision방식 지원 타이틀은 17년 4월~ 출시-유니버셜, 워너, Lionsgate외 |
첫댓글 잘 보았습니다.
한눈에 최신형 Player를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보 감사드려요
컴터만 출시하면 되는데..
플레이가 지원해야 쓸만할것 같아요..
본 게시판 아래 13550 번 "PC에서 4K 블루레이 타이틀을 감상하려면...."라는 글을 참조해 보세요.
@이군배 파워디브디 문제였습니다만..
16버전이 명확하지 않아서
긴가민가 하더군요..
찾아보면 17버전을 낸다고 하고 있고..
저걸 다 갖추려면 돈이...... 입이 쩍 벌어집니다. 휴~~
모든걸 다 다시 구입해서 본다면, 당근 적지 않은 돈이 들어갈 것입니다. 하지만, 4K 블루레이를 보기 위해 4K UHDTV를 구입하시는 분들은 없을 것입니다. 어찌피 4K UHDTV는 UHD방송과 같은 여러 콘텐츠를 함께보는 것이기에, 모든걸 새로 구입해야 한다는 식의 말씀은 좀 적절해 보이지 않다고 봅니다. 솔직히 4K 블루레이 플레이어는 20만대면 구입이 가능하여, HDR지원 4J UHDTV나 4K AV리시버만 있다면 그리 큰 돈은 들지 않는다고 봅니다. 그리고 이러한 글을 드린 이유는, 최고의 화질과 음질로 구현이 가능한 것이 4K 블루레이 이기 때문에, 그러한 것을 감상하기 위한 소개의 글입니다.
그리고 설사 4K AV시스템을 모두 새로 꾸며서 본다해도, 꾸미기에 따라 비용은 엄청난 차이가 있겠지만, 본문 글에서 언급한 최저 수준에서 AV장비를 꾸민다면, 4~5백만원 정도면 가능도 합니다. AV장비를 새로이 구축하면서, 4~5백만원은 입이 쩍 벌어지는 수준은 아니라고 봅니다. 물론 4~5백만원이 많다면 많다고 이야기 하실 수도 있겠지만, 고화질 고음질 감상에 있어서, 4~5백만원은 그리 큰 비용은 아니라고 봅니다.
소니는 특이하게 디지탈 출력을 광이아닌 코엑셜만 지원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