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콩 이야기
콩은 쌀 이전에 주식이였고 천신께 올리는 제물이며 콩 斗(두), 太(태)로
頭, 體, 禮, 登, 豊, 太平洋, 黑太, 白太 , 豆滿江 에 콩 豆와 콩 太가 들어있다.
머리가 깨어나는 머리 두,
뼈가 튼튼 해지는 몸 체,
곡진한 뜻을 표시한 예절 예,
깍지 마다 터질 듯 콩이 여문 풍년 풍,
콩 농사가 잘돼 편안한 태평,
콩을 실어 날랐던 바다 태평양,
콩을 종류를 가르키는 흑태, 백태, 황태, 등,
발해의 콩을 실은 배가 가득했다
는 두만강
三危太白
삼위태백 : 옛날 하늘나라에 어른 환인이 있었는데 그 아들 환웅이
누차 하늘 아래에 뜻을 두었고 인간세상을 구하고자 하였다.
아버지는 아들의 뜻을 알고 아래를 내려다보니 삼위태백 즉
세 사람이 차례로 제단 앞에 단정히 앉아 콩을 바치고 고하는 데가 있어 가히
인간을 도울만 하였다.
이에 천부인 세 개를 황웅에게 주어 보내어 가서 다스리게 하였다.
환웅은 무리 삼천을 거느리고 사람들이 콩을 천신께 바치고 고했던 산마루
신단수아래 내려와 그곳을 神市(신시)라 이름했으며 이가 바로 환웅천왕이시다.
천왕은 풍백, 우사, 운사를 거느리고 주곡, 주명, 주병, 주형, 주선악의 장을
지휘하여 무릇 삼백육식여 가지의 일을 세상에 머물면서 이치로써 다스렸다.
대개 太태는 크다, 심하다, 맨 처음이다는 뜻으로 훈독하는데 우리는 콩 이라는
뜻으로도 훈독하는데 이는 오직 우리나라뿐이다.
神壇樹 신단수의 樹자에서도 나무를 상징하는 목자에 땅을 상징하는 부호 一가
합해진 十자 아래 콩을 뜻하는 豆자를 쓰고 법을 상징하는 寸 촌자를 붙여 만들
어진 것이다.
콩의 원산지는 발해 ,
청국장은 발해의 원주민이 삶은 콩을 말안장에 싣고
다니다 자연 발효한 식품이며 , 흔히 밭의 소고기라 하며
콩의 최대 생산지 및 수출국은 발해로 두만강 연해주 일대가 주생산지로
두만강, 태평양 등은 콩에서 유래되었고 콩은 다른 작물과 달리 싹보다
뿌리가 먼저 나와 거름이 필요없고 오히려 뿌리의 혹덩어리가 거름을 만든다.
콩은 코에서 나왔고
코와 잉태한다는 孕잉자의 종음을 합하여 만들어 졌고 뱃속의 아이가 생길 때
맨 처음 코가 생김이며 각 성씨의 시조를 鼻祖비조라 이른다.
신장을 콩팥이라 함은 그 콩팥에서 씨앗이 생기고 그 씨앗을 여자의 콩팥에 매여
있는 여자의 자궁에 들어가 잉태된다.
녹두는 뱃속의 음식물을 중화시키기 때문에 독한 음식이나, 좋은 약도 중화시켜
산삼도 도라지가 되어 한약 먹을 때 녹두 못먹게 한다.
숙주 나물은 잘 변하여 제일 먼저 변절한 신숙주를 두고 한 말이여 숙주나물은
주독과 열독을 풀러주고 삼초를 이롭게 한다.
미국에 유학한 동포가 학비를 마련하고자 이 숙주나물을 팔았는데 한 과학자가
숙주나물에 몸에 좋은 성분이 검출되었다 하여 돈을 많이 벌었다.
콩 노래
원시 조상이 야생의 콩 취하여 심을 적에
조개껍질 농구 삼아 갈고 매니 곡식재배 비롯이라
그리하여 농사 짓자 김맬 호자 만들었지
산같이 쌓여 풍년 풍자 신께 올린 오를 등자
몸 체자 예도 예자 머리 두자 생겨났네
지각이 열리어 온갖 곡식 심게 됐네
콩이 소금 만나 된장 담가 먹음에
우리 생명 기름이 이로부터 길어졌네
콩의 원산지는 한반도 연해주
세계 식물학자 다 아는 사실이네
강 이름 두만이라 콩 실은 배 가득했지
콩 나물 먹는 법 우리한테 나왔지만
지금의 세상에선 제일가는 식품이네
콩이 솔잎 만나 신선음식 되었지
신선이 무엇인가 사람 산이 합침이네
지금도 우리 땅엔 야생하는 콩 있지
그 이름 샛콩 지천으로 널려 있네
맨 처음 콩이 부엌에 들어 부엌 두자 부엌 주자 지어졌네
고라는 섬에 채우고 두라는 말로 헤아려
물화유통 활발하니 어딜 가도 걱정 없지
고 주둥이 가죽 입혀 소리내니 등당 등당
중국사람 흉낸 소리 텅탕 텅탕
우리사람 아무리 들어봐도 텅탕으로 아니 들려
이로 보아 우리 문자 분명해
딸 난 아내 구짖으면 동네사람 남편에게 말하기를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나네
부여시절 정월에는 콩섬맞이 제천 행사 공무중단 죄수사면
춤 노래 이어졌네 콩 이름 太태라 하여
태극이란 말 나왔네
태평이란 삼년을 농사 짓지 않아도 콩을 고루 먹고서
살 수가 있다는 뜻이네
태묘란 콩을 천신하는 집을 말함이요.
태자란
그 제사 받들 사람 말함이네
팥은 간식으로 먹지만 돌림병 막을 때 쓰이고
녹두는 항상 먹을 수도 있지만 해독할 때 요긴 하네
태극의 이치란 만년 가도 변함 없고
팔괘의 의미란 때에 따라 바뀌지네
그러므로 하늘, 땅, 막힌 괘를 땅, 하늘 통할 괘로 바꾸고
수화기제괘를 뇌풍항괘로 바꿔야 하네
바꿔라는 노래 이런 일이 아니냐
유태인이 조작한 유전자 조작 콩
콩 같으나 콩 아니지 유태라는 말 바로 그렇네
배움이 먼 데 있지 않다오 가까운 말 탐구하소.
콩은 음악의 시원으로
농작물은 흥겨운 가락을 좋아해서 농사를 지을 때 풍작굿을 쳐 주었는데
부여의 콩섬맞이굿 즉 영고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가
콩 농사를 지을 때 남을 흉보거나 싸움말을 하면 빈깍지가 많거나 먼저 여문
덜 된 콩이 된다하여 말 조심하고 화합하는 말을 해야 농사가 잘 된다 하여
별스럽게 야한 소리를 해도 흉이 되지 않고 오히려 농사가 잘 된다 하였다.
논두렁이나 길가 수로변에 거름없이 심을 수 있어 유전자 콩을 먹지 말고 남는
땅에 그냥 거름 없이 심어면 되는 농사짓기 쉬운 콩 농사를 장려하여 토종콩을
장려해야 한다.
콩을 太자 (처음, 클, 심하다, 콩 ) 로 청태, 백태, 흑태로 쓰는 나라는 우리나라
밖에 없고
犬견은 꼬리를 위로 감은 狗구는 꼬리를 아래로 내린
貂초는 꼬리가 짧은 동강개 로
獻헌은 천신(천강성)께 개를 바친다는 것이고
천강성은 북두칠성 (: 첫번째 천추, 두번째 천선, 세번째 천기, 넷째 천권,
다섯째 옥형, 여섯째 개양, 일곱번째 요광 , 첫번째에서 네번째가 곡식을 계량
하는 말斗의 형상, 다섯 째에서 일곱번째 까지가 말의 손잡이 형상)을 보좌하는
천보성과 천강성중 하나이다.
개는 기혈을 탁하게 하며 마늘과 같이 먹으면 독이 된다하여 옛날 선비의
집에서는 먹지 않았고
미국이 보유하고 있는 콩의 20%이상은 한국 콩 종자로 밭고기라 불리며
단백질, 지방, 등 영양가가 풍부하여 밭의 소고기고 유방암, 전립선암, 골다골증
치매 같은 만성질환을 예방 치료하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임상 결과가 대거
발표되었다.
유전자 조작콩은 유태인(猶太人) 이 조작한 콩으로 콩 같지만 콩이 아니다(猶太)
솟대에서 천군이 천신께 제사 드릴 때는 솟대에 북과 방울을 달아 놓고 지냈는데
북은 원래 콩을 담았던 큰 그릇에서 비롯되었고 방울은 바로 콩의 형상을
금속으로 만들었음에서 유래하고
솟대위의 오리류의 기러기는 물에서 살아 물을 상징하고 계절을 알리고 암수의
사랑이 두텁고 형제간의 우애가 깊다.
솟대문화는 콩 생산지와 같고 제상상에 콩나물이 올라가고 밥상의 중앙에는
간장이 차지한다.
素金 소금은 옛날에 콩과 맞바꾸었는데 소금은 산골에는 귀해 하얀금이다.
옛 고구려 땅인 지금 중국의 내몽고에는 무진장한 염산이 있는데, 현재 채취한
소금만으로도 12억 중국 인구가 600년은 먹을 수 있으며 그걸 다 소비한다 해도
3년 이면 회복된다고 중국사람이 자랑하고 있어 옛 고구려에는 그런 무진장한
염산이 있었고 태평을 구가할 만한 콩을 생산했으며 물화의 유통을 수레로 하였다.
고구려 여자들이 나들이할 때 온차라는 가벼운 수레를 타고 있는 고분벽화만
보아도 당시의 국력을 가히 가늠할 수 있는 일이다.
뒷날 고려나 조선에서는 임금도 수레를 타지 못했으니 말이다.
유전자 콩은 유태인이 조작한 콩으로 컴푸터 바이러스 같이 인체의 생명프로
그램을 망가뜨릴 수 있다.
유태인이 미국을 조종하고 미국과 친한 놈은 미친 놈 친한 년은 미친 년이 된다 ?
콩과 토종 종자를 살리기 운동을 다물 차원에서 해야 하며 발해의 정신인 正種
정종은 씨를 바르게 한다는 말이 아니던가
발해는 어느 임검도 감히 첩을 두지 못했으며 관리가 첩을 두지 못했기 때문에
해동성국을 이룩할 수 있었다.
발해의 일부일처는 콩을 법으로 삼아 콩이란 분합된 하나로서 그 표피가 벗겨져
야만 두쪽으로 나쥐어짐으로 부부도 혼인하여 둘이 하나됨이다
정통혼례의 초례상에 반드시 콩과 팥이 올라간다.
禮예는 곡진한 의사를 표시할 때 콩을 바쳤던 데서 비롯된 글자인 것이다.
우리는 전통혼례 역시 신랑이 맨 먼저 천상의 자미원군께 나무기러기를 바치고
두번 절하는데 이를 전안례라 하는데 이제 두 사람이 하늘의 뜻에따라 콩과 같이
한 몸이 된다는 소식을 기러기라는 송신기에 실어 천상께 보내는 의식이다.
이 전안례가 끝나면 신랑 신부가 서로 절을 하는 교배례를 행하고 교배례가 끝나
면 신랑 신부가 술잔을 들어 천지에 맹세하는 서천지례를 행하고
서천지례가 끝나면 신랑 신부가 술잔을 들어 각각 반쯤 마시고 서로 교환해
마시며 부부가 되었음을 맹세하는 서배우례를 행하고
서배우례가 끝나면 손잡이가 긴 표주박을 쪼개어 만든 술잔에 줄을 연결하고
술을 채워 각각 반쯤 마시고 서로 교환해 마시는
근배례를 행한 후 표주박 술잔을 다시 합혀야 예식이 끝난다.
예식이 끝나면 신랑은 하객들을 향해 머리를 숙여 인사를 하고 신부는 얼굴을
가린 채로 하객들을 향해 다리를 약간 구부려 인사를 하는 데 이 때 하객들이
초례상에 올린 콩을 움켜다 신랑 신부의 머리 위에 뿌려둔다.
이제 신랑 신부가 콩처럼 하나가 되었음을 여러 사람이 증명해 주는 것이다.
혹 신랑 신부의 머리위에 팥을 뿌려주는 하객들도 있는데 이는 액을 물리치고
부정을 막아주기 위함이였다.
실재로 팥속에는 사특한 기운을 물리치는 묘한성분이 들어 있는 것이다.
콩, 팥뿐이 아니라 초례상에 올려놓은 것은 나름대로 다 묘한 의미와 상징이
있는 것이다
예를 들자며 상 가운데 물은 천신이 하감하시라는 뜻이요
쌀, 보리 등의 곡식은 지신이 감응하시라는 뜻이며 해와 달을 상징한 두 개의
촛불은 광명을 바라는 뜻이요,
소나무와 대나무 가지에 청실, 홍실을 걸친 것은 하늘의 뜻에 따라 연분을 맺었
으니 송죽같은 굳은 절개 변치 말자는 뜻이다.
그리고 암탉과 수탉은 봉황을 대신한 것인데 봉황처럼 평생동안 화기애애하게
살자는 뜻이요,
곶감, 대추, 밤 등은 선영께 유구히 그렇게 이어가겠나는 무언의 약속이다.
여기에 또 하나 빠져서는 안 되는 것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목화씨다.
목화는 한 곳에 뿌리를 내리면 절대로 옮겨 싦어서는 안 되는 식물이다.
옮겨심으면 말라서 죽거나 열매를 맺지 않는 것이다. 때문에 이 씨앗으로써
상징을 삼아 두 사람이 하나되어 평생동안 한 뿌리를 내리겠다는 무언의 약속을
하는 것이다.
근래 어느 무식한 양반이 이러한 우리 전통혼례를 허례허식이라 매도하고 가정
의례준책이라는 별스런 법령을 만들어 공포한 적이 있는 데 콩 같은 귀신이
전한 방법으로 혼례식 하기를 유도했는데 실로 이 방법이야말로 그 비용이
수십배가 더 들어가는 허례허식인 것이다.
신부가 옷을 한번 빌려 입는 데 거액이 드니 말이다.
어디 그 뿐 인가.
하객들도 예전과는 달리 다 축의금을 내야 하는 판속이니 말이다.
여기에 더욱 가소로운 바는 이미 그 콩 같은 귀신에 현혹된 상당수의
신랑 신부가 아예 그 귀신을 반드는 교당에 들어가 그 귀신 앞에 맹세를 하는
것으로서 혼례식을 한다는 사실이다.
이제 부터라도 우리 아이들에게 콩의 역사를 가르쳐야 한는 것이다
우리 솟대문화를 재현해야 하는 것이다.
우리 전통혼례의 멋을 되살려야 하는 것이다
반드시 우리콩을 먹이면서 말이다
그래야 옛 고구려의 영광, 발해의 융성을 가히 기대할 수가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