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 子罕言利與命與仁 공자께서는 이익과 천명과 인에 대해서는 거의 말씀하지 않으셨다.
罕少也 程子曰 計利則害義 命之理微 仁之道大 皆夫子所罕言也 罕은 적다는 것이다. 정자가 말하길, “이익을 따지면 의를 해치고, 천명의 이치가 은미하고, 仁의 도가 크기 때문에 모두 공자께서 드물게 말씀하신 것이다.”라고 하였다.
龜山楊氏曰 夫子對問仁多矣 曰罕言者 蓋言求仁之方而已 仁之本體 則未嘗言 구산양씨가 말하길, “공자께서 仁을 물은 것에 대하여 대답한 것이 많았지만, 오히려 드물게 말했다고 말한 것은, 대체로 仁을 구하는 방법을 말씀하셨을 뿐 仁의 본체에 대해서는 일찍이 말씀하신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朱子曰 罕言者 不是不言 特罕言之耳 罕言利者 蓋凡做事只循這道理做去 利自在其中矣 如利涉大川 利用行師 聖人豈不言利 但所以罕言者 正恐人求之 則害義矣 주자가 말하길, “드물게 말했다는 것은 말하지 않았다는 것이 아니라, 단지 드물게 말했다는 것일 뿐이다. 利를 드물게 말했다는 것은 대체로 무릇 일을 함에 있어 그저 이 도리를 따라서 해나갈 따름이지만, 利가 저절로 그 안에 들어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큰 냇물을 건너는 것을 이롭다고 여기거나 군사를 동원함이 이롭다고 여기는 것과 같이, 성인이라고 어찌 利를 말하지 않았겠는가? 다만 드물게 말한 까닭은 바로 사람들이 그것을 추구하면 곧 義를 해치게 될까 걱정하였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命只是一箇命 有以理言者 有以氣言者 天之所以賦與人者 是理也 人之所以壽夭窮通者 是氣也 理精微而難言 氣數又不可盡委之 而至於廢人事 故聖人罕言之也 仁之理至大 數言之 不惟使人躐等 亦使人有玩之之心 蓋擧口便說仁 人便自不把當事了 命은 그저 하나의 命일 뿐이니, 이치로써 말하는 것도 있고 氣로써 말하는 것도 있다. 하늘이 사람에게 부여한 것은 理이고, 사람이 장수하거나 요절하고 궁하거나 통하는 것은 氣 때문이다. 理는 정미하여 말하기 어렵고, 운수는 또한 그것에 다 맡겨서 人事를 폐하는 지경에 이르러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성인께서는 命을 드물게 말씀하신 것이다. 仁의 이치는 지극히 위대하니 여러 번 말한다면, 단지 사람들로 하여금 순서를 뛰어넘게 할 뿐 아니라 또한 사람들로 하여금 그것을 갖고 놀려는 마음을 가지게 한다. 대체로 입만 열면 곧 仁을 말한다면, 사람들은 곧바로 스스로 그것을 무슨 일로도 삼으려 하지 않는 법이다. |
3 | 問竊謂夫子罕言者 乃放於利而行之利 若利用出入 乃義之所安處 曰 利用出入之利 亦不可去尋討 尋討著 便是放於利之利 如言利物足以和義 只云利物不言自利 又曰 只元亨利貞之利 亦不可計較 計較著卽害義 爲義之人 只知有義而已 不知利之爲利 누군가 묻기를, “제가 가만히 생각하건데, 공자께서 드물게 말씀하셨다는 것은 곧 ‘잇속에 생각을 두고서 행함’의 利입니다. 만약 물자가 출입하여 쓰기에 편리하면 도리어 義가 편안해 하는 곳입니다.”라고 하였다. 말하길, “利用出入의 利일지라도 역시 가서 찾아서는 안 되는 것이다. 일단 가서 찾기만 하면 곧바로 放於利의 利인 것이다. 예컨대 남을 이롭게 함은 義를 조화롭게 하기에 충분한 것이라고 말한 것은, 단지 남을 이롭게 함을 말하였을 뿐 자신을 이롭게 하는 것은 말하지 않은 것과 같다.”라고 하였다. 또 말하길, “그저 元亨利貞의 利도 역시 따져서는 안 되는 것이다. 일단 따진다면, 의를 해치게 되는 것이니, 의를 행하는 사람은 그저 의가 있음을 알뿐이지, 利가 이롭다는 것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勿軒熊氏曰 易六十四卦 皆言利 尤詳於性命之原 罕言者非與門人常言之道 물헌웅씨가 말하길, “주역 64괘는 모두 利를 말한 것이 性命의 근원에 비하여 더욱 상세하였다. 드물게 말했다는 것은 문인들과 더불어 늘상 말한 도가 아니었다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慶源輔氏曰 義者天理之公也 利者人欲之私也 天理人欲不兩立 計於彼則害於此矣 경원보씨가 말하길, “義라는 것은 天理의 공정함이요 利라는 것은 人欲의 사사로움이다. 천리와 인욕은 서로 양립할 수 없으니, 저것을 따진다면 곧 이것에 해가 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命乃天之所賦予萬物者 以理言之 則聲臭俱無 以氣言之 則雜糅難辨 是其理爲甚微 仁乃五性之首 所以包乎四德而無物不體 是其道爲甚大 理之微 則人有所難識 知未及而驟語之 則反滋其惑 且使之棄人事而不修 道之大 則人有所難盡 德未至而强語之 則反起其妄 且或使之忽庸行而不謹 此夫子所以罕言 命이란 하늘이 만물에게 부여해 준 것이니, 이치로써 말하자면 곧 소리와 냄새가 모두 없고, 氣로서 말하자면, 마구 뒤섞여 분별하기 어려우니, 이는 그 이치가 대단히 은미하다는 것이다. 仁은 곧 五性의 으뜸인데, 이 때문에 4가지 덕을 포함하고 있으면서도 이로써 體를 이루지 않는 사물이 하나도 없으니, 이는 그 道가 대단히 크다는 것이다. 이치가 은미하다면, 사람들이 알기 어려운 바가 있다는 것인데, 미처 앎이 미치지 않았음에도 갑자기 말한다면, 곧 거꾸로 그 미혹을 자라게 하고 또한 사람들로 하여금 사람의 일을 버리고서 수양하지 않도록 할 것이다. 道가 크다면, 사람들이 다 하기 어려운 바가 있다는 것인데, 덕이 아직 지극하지 않음에도 그것을 억지로 말한다면, 거꾸로 그 망령됨을 불러일으킬 것이고, 또한 그로 하여금 평소의 행동을 소홀히 하여 삼가지 않도록 할 것이다. 이것이 바로 공자께서 드물게 말씀하신 까닭이다.
雙峯饒氏曰 夫子有常言者 詩書執禮 是也 有不言者 怪力亂神 是也 有罕言者 利命仁 是也 無非敎人者 故門人皆謹記之 쌍봉요씨가 말하길, “공자께서는 항상 하시는 말씀이 있었는데, 詩와 書와 執禮가 바로 그것이고, 말씀하시지 않은 것이 있었는데, 怪力과 亂과 귀신이 바로 그것이며, 드물게 말씀하시는 것이 있었는데, 利와 命과 仁이 바로 이것이다. 이것들 모두 사람을 가르치는 것이 아닌 것이 없기 때문에, 문인들이 모두 삼가 이를 기록해둔 것이다.”라고 하였다.
新安陳氏曰 集註言命之理微則此命字以理言 罕言利者 防學者趨乎此 罕言命與仁 以學者未易及此也 其慮學者沒溺於利欲之卑汚 又慮學者躐等於命與仁之精微弘大 其爲慮遠矣 신안진씨가 말하길, “집주에서 命의 이치가 은미하다고 말하였으니, 이 命자는 이치로써 말한 것이다. 利를 드물게 말한 것은 배우는 자가 여기로 달려가는 것을 막고자 한 것이었고, 命과 仁을 드물게 말함으로써 배우는 자는 쉽게 여기에 미칠 수 없었던 것이다. 공자게서는 배우는 자가 利欲의 비루하고 더러움에 빠지는 것을 걱정하셨고, 또한 배우는 자가 命과 仁의 정미함과 광대함에 躐等할까봐 염려하셨으니, 그 염려하심이 원대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