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오케이 공동구매 원문보기 글쓴이: 바람소리
부정맥이란 심장의 박동이 불규칙하거나, 또는 규칙적이라 하더라도 필요 이상으로 빠르거나 그 반대로 느린 질환을 말한다. 부정맥은 심장 내의 전기전도체계에 이상이 발생하여 비정정상적인 맥박이 생성되거나 혹은 맥박형성 및 흐름이 차단 되는 것이다. 정상 심장 박동수는 성인의 기준과 소아 청소년은 매우 다르다. 성인의 경우는 심장 박동수가 휴식을 취할 때 분당 60회 미만이면 느린 맥박(서맥) 이라고 하고 분당 100회보다 빠르면 빈맥이라고 하지만, 소아청소년인 경우는 연령에 따른 각각의 정상 범위가 있고 그 정상 범위보다 느리면 서맥, 빠르면 빈맥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2 세 미만의 소아인 경우는 정상적인 심박수가 빨라 정상 휴식 시의 박동 수가 분당 100~150회 정도이다. 만 6세 이후는 일반적으로 성인과 같은 기준을 갖는다. 질병 원인과 심전도에 근거한 부정맥의 세부 진단은 수십 가지의 종류가 있으며 그 각각에 대해 치료 및 예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선천적으로 전도계 자체의 기형이 있는 대표적인 원인 질환으로 심실 조기 흥분(WPW, Wolff-Parkinson-White) 증후군을 들 수 있다. 심장 전기전도 체계의 이상은 정상 형태의 심장뿐 아니라 선천성 심장 기형과 동반하여 나타날 수 있으며 혹은 심장 기형의 수술 전후에 생긴 심장근육세포의 전기적 기능 장애 및 흉터조직에 의해서도 발생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심근염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그 외 선천성 QT 연장 증후군과 같은 부정맥 유발성 선천성 유전자 이상이 최근에 새로이 확인되고 있다. 그리고 심근염, 심장 판막증, 심근증, 대사성 질환, 부정맥 유발성 약물, 전해질의 이상, 심근 허혈, 심장내 종양에 의해서도 부정맥이 발생할 수 있다. 특별한 원인을 찾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디프테리아나 류머티즘열에 의한 심장염이나 판막증에 의한 부정맥은 소아과에서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가슴의 두근거림을 느끼는 경우부터, 답답함, 가슴 통증, 호흡 곤란, 발한, 메스꺼움, 구토, 전신 무력감, 어지러움, 실신 등의 다양한 증상을 느낄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본인이 전혀 느끼지 못하지만 심전도 검사 이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나, 심한 경우는 심장부정맥이 급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부정맥이 출생 전 태아기에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는 심하면 태아 부종(심한 태아 수종)을 야기하기도 한다.
심장 전문의에 의한 진찰을 요하며 증상이 있을 때 기록한 심전도에 의해 부정맥의 유무 혹은 세부 종류를 진단한다.
심전도 검사, 24시간 심전도 검사(홀터 모니터), 운동 부하 심전도 검사, 심초음파 검사를 기본적으로 하게 되며 더 세밀한 진단을 위하거나 치료 방침을 정하기 위해 심장 내 전기적 특성을 직접 확인하는 전기생리학적 검사를 시행한다.
무증상의 동성부정맥과 같은 양성 부정맥은 치료할 필요 없다. 심장기능에 이상이 없고 증상도 나타나지 않는 조기 수축증은 운동 시에 악화되지 않는다면 치료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치료가 필요한 서맥(느린 맥박)은 심장 박동기를 삽입하여 외부 전기적 자극으로 심장이 뛸 수 있도록 치료한다. 심장이 빨리 뛰어 생기는 빈맥의 경우는 빈맥의 종류 및 원인에 따라 치료가 달라진다. 보통 항부정맥제 약물을 사용하거나 병소를 제거하는 전극도자 절제술로 치료하고, 심장 마비의 위험이 있는 심한 경우에는 체내 삽입형 제세동기(ICD, implantable cardioverter-defibrillator)를 삽입한다.
부정맥의 발생 원인, 기존 심장 질환의 여부, 부정맥의 종류에 따라 경과가 다르다. 치료가 필요한 부정맥을 방치했을 경우의 합병증으로 반복적 실신, 경련, 심부전증 및 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부정맥의 원인이나 운동 등의 악화 요인을 제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경우에 따라 다르므로 전문의의 조언에 따른다.
부정맥의 종류 및 원인에 따라 일상생활에 아무런 제약이 없는 경우에서부터 운동을 금하는 경우까지 다양하므로 전문의의 조언에 따른다. 부정맥이 운동에 의해 악화되는 경우는 심한 운동을 삼가야 한다.
부정맥의 종류 및 원인에 따라 다르므로 전문의의 조언에 따른다. 심장 기능에 이상이 없는 경우는 일상식사 자체에 큰 영향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