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규영(洪奎泳)
[음관] 무보(武譜)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D64DADDCC601B1805X0
자(字) 경유(敬有)
생년 계해(癸亥) 1803년 (순조 3)
본인본관 남양(南陽[唐])
[관련정보]
[무과] 순조(純祖) 29년(1829) 기축(己丑) 정시(庭試) 병과(丙科) 149위(153/637)
[음관] 문음진신보(文蔭縉紳譜)
[이력사항]
초직 정유(丁酉) 금무(禁武)
타과 기축(己丑) 정시(庭試) 무과(武科) 급제
[가족사항]
[부(父)]
성명 : 홍진(洪枃)
관직 : 선전관(宣傳官)
[생부(生父)]
성명 : 홍식(洪栻)
관직 : 부사(府使)
과거 : ○(○)
[조부 - 조부1:부의 부]
성명 : 홍용진(洪龍鎭)
관직 : 부사(府使)
과거 : 무과(武科)
[증조부 - 증조부1:조부1의 부]
성명 : 홍대함(洪大涵)
[증조부 - 증조부2:조부1의 생부]
성명 : 홍익함(洪益涵)
[4대 - 4대조1:증조부1의 부]
성명 : 홍이도(洪以圖)
[외조부(外祖父)]
성명 : 이소(李熽)
관직 : 현감(縣監)
과거 : 무과(武科)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
성명 : 강구성(姜九成)
관직 : 현감(縣監)
과거 : 무과(武科)
본관 : 미상(未詳)
[출전]
『무보(武譜)』(규장각한국학연구원[想白古923.5-M88])
순조 30권, 29년(1829 기축/청도광(道光)9년) 11월 30일(경신) 3번째기사
공충도암행어사 홍원모가 서계와 별단을 올리다
공청도암행어사(公淸道暗行御史) 홍원모(洪遠謨)가 서계(書啓)하여, 충주목사(忠州牧使) 조제인(趙濟仁), 청풍부사(淸風府使) 박제상(朴齊尙)과 전부사(府使) 조길원(趙吉源), 온양(溫陽) 전군수(郡守) 심영(沈鐛), 신창현감(新昌縣監) 이박현(李博鉉), 당진현감(唐津縣監) 최홍대(崔弘垈)와 전현감 정동로(鄭東老), 남포현감(藍浦縣監) 강구성(姜九成), 비인현감(庇仁縣監) 안숙(安塾), 부여현감(扶餘縣監) 김재선(金在宣), 청양현감(靑陽縣監) 이종덕(李鍾悳), 회덕현감(懷德縣監) 조운구(趙雲龜), 덕산현감(德山縣監) 정세교(鄭世敎) 등의 불법(不法)의 죄(罪)를 논하고, 공주(公州) 전판관(判官) 홍희익(洪羲翼)·이노준(李魯俊), 면천군수(沔川郡守) 조운표(趙雲杓), 태안군수(泰安郡守) 이유목(李惟穆), 괴산군수(槐山郡守) 심원조(沈源祖), 단양군수(丹陽郡守) 김병원(金炳元), 임천군수(林川郡守) 김재성(金在星), 서원현감(西原縣監) 이상재(李常在), 제천현감(堤川縣監) 박종문(朴宗聞), 연풍현감(延豊縣監) 이원재(李元在), 진천(鎭川) 전현감(縣監) 서응순(徐膺淳), 목천현감(木川縣監) 홍영섭(洪永燮), 연기현감(燕岐縣監) 김기명(金箕明), 평택현감(平澤縣監) 조진문(趙鎭文), 보령(保寧) 전현감(縣監) 이시련(李是鍊), 정산현감(定山縣監) 홍전(洪栴), 노성(魯城) 전현감縣監) 윤행정(尹行定), 은진(恩津) 전현감(縣監) 서유준(徐有準), 영동(永同) 전현감(縣監) 이계조(李啓朝), 황간현감(黃澗縣監) 정시용(鄭始容), 청산현감(靑山縣監) 서홍보(徐鴻輔), 회인현감(懷仁縣監) 이시학(李時學), 직산(稷山) 전현감(縣監) 엄질(嚴耋), 연산(連山) 전현감(縣監) 송지응(宋持膺), 청안현감(淸安縣監) 송흠명(宋欽明), 전수사(水使) 박윤영(朴潤榮)등의 불치상(不治狀)을 논하였는데, 모두 경중(輕重)에 따라 감처(勘處)하도록 하령하였다. 별단(別單)으로 군정(軍政)·전부(田賦)·조적(糶糴)5435)등 삼정(三政)의 폐단과 전비(戰備)의 소홀함과 역참(驛站)의 퇴락, 이액(吏額)의 점증(漸增), 송금(松禁)이 오랫동안 해이된 것 및 조창(漕倉)의 남봉(濫捧), 관결(官結)의 편중(偏重)등의 문제를 진계(陳啓)하였는데, 묘당(廟堂)으로 하여금 좋은 방도를 채택하여 시행토록 하였다.
註5435]조적(糶糴): 환곡(還穀)의 출납.
○公淸道暗御史洪遠謨書啓:論忠州牧使趙濟仁, 淸風府使朴齊尙, 前府使趙吉源, 溫陽前郡守沈鐛, 新昌縣監李博鉉, 唐津縣監崔弘岱, 前縣監鄭東老, 藍浦縣監姜九成, 庇仁縣監安塾, 扶餘縣監金在宣, 靑陽縣監李鍾悳, 懷德縣監趙雲龜, 德山縣監鄭世敎等不法之罪, 公州前判官洪羲翼、李魯俊, 沔川郡守趙雲杓, 泰安郡守李惟穆, 槐山郡守沈源祖, 丹陽郡守金炳元, 林川郡守金在星, 西原縣監李常在, 堤川縣監朴宗聞, 延豐縣監李元在, 鎭川前縣監徐膺淳, 木川縣監(洪永爕)〔洪永燮〕, 燕岐縣監金箕明, 平澤縣監趙鎭文, 保寧前縣〔監〕李是鍊, 定山縣監洪栴, 魯城前縣監尹行定, 恩津前縣監徐有準, 永同前縣監李啓朝, 黃澗縣監鄭始容, 靑山縣監徐鴻輔, 懷仁縣監李時學, 稷山前縣監嚴耋, 連山前縣監宋持膺, 淸安縣監宋欽明, 前水使朴潤榮等不治狀, 幷令從輕重勘處, 別單, 陳軍田糴三弊及戰備之虛踈, 驛站之淍殘, 吏額之漸增, 松禁之久弛, 漕倉濫捧官結偏重等事。令廟堂, 從長採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