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보 도 자 료 |
| ||
배포일시 | 2020. 8. 25(화) 총 4매(본문2) | |||
담당 부서 | 대광위 광역시설 운영과 | 담 당 자 | ∙과장 이우제, 서기관 홍철, 주무관 최규열 ∙☎ (044) 201-5102, 5101 | |
보 도 일 시 | 2020년 8월 26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통신‧방송‧인터넷은 8.25.(화) 11:00 이후 보도 가능 |
앞으로 트램 도입이 본격화 된다 |
- 노면전차(트램) 시설 설계 가이드라인 마련 - 이르면 2023년 트램 운행 예상 … 계획·설계 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실무 지침 |
□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위원장 최기주)는 트램 노선의 계획·설계 시 활용할 수 있는 ‘노면전차(트램) 시설 설계 가이드라인’(이하 설계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다.
* 트램 : 도로 위의 선로를 달리는 노면전차
ㅇ 설계 가이드라인은 권고안의 성격이며, 각 지자체에서 트램 노선의 계획·설계 시 도입 초기의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활용 가능한 실무 지침이다.
- 지난 2년간 철도기술연구원, 도로교통공단 등 전문기관과 협업하여 내용을 구성하고, 올해 수차례에 걸쳐 경찰청, 지자체 및 전문기관 등과 협의하여 보완하는 등의 절차를 거쳐 확정하였다.
□ 트램은 전용선로를 주행하는 도시철도와 도로를 주행하는 BRT의 특성과 장점을 두루 갖춘 교통수단으로서, 설계 가이드라인에는 이러한 트램의 특성을 고려한 계획·설계 요소를 제시하였다.
ㅇ 총칙, 선로, 신호, 전기, 관제 및 통신, 정거장, 차량기지 등 총 7개의 장으로 구성하였으며, 실무적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외 사례도 제시한 것이 특징이다.
ㅇ 설계가이드라인은 트램 노선을 계획 중인 각 시·도 지자체에 배포되며,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누리집*에서 누구나 내려받을 수 있다.
*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누리집 → 정책자료 → 정책정보
□ 정부는 그간 트램의 활성화를 위해 「도시철도법」, 「철도안전법」. 「도로교통법」 등의 법률 개정을 통해 트램의 운행근거를 신설하는 등 제도적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ㅇ 서울, 부산, 대전, 경기 등 5개 시·도는 총 18개의 트램 노선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하는 등 도입 추진을 본격화하고 있다.
- 이 중, 대전 2호선, 부산 오륙도선, 서울 위례선, 경기 동탄트램 등이 노선별 기본계획 및 사업계획을 수립 중이며, 이러한 사업추진 과정에서 설계 가이드라인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한편, 트램은 소음이 적고 매연이 없는 친환경적인 장점과 함께 비용 측면에서도 지하철 보다 경쟁력이 있는 교통수단으로,
ㅇ 도시교통난 해소와 함께 도심의 재생 등에도 효과가 있어 유럽, 북미 등 389개 도시에서 2,304개 노선이 운영*되는 등 해외 주요 도시에서는 쉽게 접할 수 있는 도시교통 수단이다.
* UITP, "the global tram and light rail landscape"(2019.10)
□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지종철 광역교통운영국장은 “트램의 성공적 도입을 위해서는 합리적인 노선의 선정과 함께 면밀한 계획이 우선되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설계 가이드라인이 든든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광역시설운영과 홍철 서기관(☎ 044-201-5102)에게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1 |
| 설계 가이드라인 주요 내용(요약) |
□ 제1장 총칙
ㅇ 노면전차 특성을 고려하여 계획 및 설계에 관한 일반사항을 제시
□ 제2장 선로
ㅇ 철도 및 도로 부문의 법령과 규정을 고려한 설계 기준 제시
* 차량한계, 주행로, 교차로, 노면표장, 안전표시 및 대중교통전용지구 등
□ 제3장 신호설비
ㅇ 교차로 안전대책 및 철도설비의 도로운영 체계로의 편입 기준 등에 중점을 둔 설계 기준을 제시
□ 제4장 전기설비
ㅇ 가선공칭전압은 “DC 750V"로 하고, 전력공급방식은 ”가공전차선, 차내전력공급방식, 제3레일“으로 구분하는 등의 설계 기준 제시
- 안전기준은 ‘철도시설의 기술기준’에서 정한 세부내용을 준용
□ 제5장 관제실 및 통신설비
ㅇ 도로교통 수단과의 운행안전성과 승객 및 보행자 등에 대한 안전성 확보하며 운행 관리·감독 등의 역할을 위한 설계 기준 제시
□ 제6장 정거장
ㅇ 도시철도(지하철) 승강장과의 물리적 차별성을 감안, 간선급행버스(BRT) 정류장과 유사한 시설특성을 반영한 설계 기준 제시
□ 제7장 차량기지
ㅇ 소요편성 수를 감안한 차량기지 규모 및 위치선정 기준 등 제시
참고2 |
| 시·도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상 트램 반영 현황 |
추진 단계 | 도시 | 노선명 | 연장 (㎞) | 비용 (억원) | 진행상황 |
계 | 242.6 | 76,328 |
|
| |
기본 계획 수립 등 | 대전 | 대전2호선 | 32.4 | 5,481 | ▸ 사업계획 수립 중 |
서울 | 위례선 | 5.4 | 1,800 | ▸ 기본계획 수립 중 | |
부산 | 오륙도선 | 1.9 | 470 | ▸ 기본계획 수립 중 | |
경기 | 동탄도시철도 | 32.4 | 9,967 | ▸ 기본계획 수립 중 | |
상위 계획 반영 | 경기 | 성남1호선 성남2호선 오이도연결선 송내-부천선 수원1호선 스마트허브노선 | 10.4 13.7 6.6 9.1 6.2 16.2 | 2,382 3,439 1,761 2,381 1,764 3,666 | ▸ 경기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반영(‘19.5)
․ 성남2호선 예타 중 |
인천 | 인천남부순환선 IN-Tram 영종내부순환선 송도내부순환선 | 29.4 22.3 14.8 7.4 | 17,711 5,440 4,420 1,582 | ▸ 인천광역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반영(‘18.12) | |
부산 | 강서선 정관선 송도선 C-Bay∼Park선 | 21.3 12.8 7.4 9.1 | 5,241 3,755 3,732 5,002 | ▸ 부산광역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반영(‘17.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