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孟子 > 告子 上 2 맹자 > 고자 상 2
告子曰: 「性猶湍水也 決諸東方則東流 決諸西方則西流。 人性之無分於善不善也 猶水之無分於東西也。
孟子曰: 「水信無分於東西。 無分於上下乎? 人性之善也 猶水之就下也。 人無有不善 水無有不下。 今夫水,搏而躍之 可使過顙; 激而行之,可使在山。 是豈水之性哉? 其勢則然也。 人之可使為不善 其性亦猶是也。」
告子曰:
고자가 말하였다.
「性猶湍水也
사람의 성(性)은 소용돌이치는 물과 같아서
湍(단) : 여울. 소용돌이치다.
決諸東方則東流
동쪽으로 터놓으면 동쪽으로 흐르고
決(결) : 트다. 터뜨리다. 諸(저) : 어조사. 之於 於之 (위치) 에. 에서.
決諸西方則西流。
서쪽으로 터놓으면 서쪽으로 흐릅니다.
人性之無分於善不善也
사람의 성은
선(善)과 불선(不善)의 구분이 없는 것은
猶水之無分於東西也」
물이 동쪽과 서쪽으로
구분이 없는 것과 같습니다.」
孟子曰: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水信無分於東西。
「물은 진실로 동서(東西)의 구분이 없지만
無分於上下乎?
상하(上下)의 구분도 없습니까?
人性之善也
사람의 성이 선함은
猶水之就下也。
물이 아래로 내려가는 것과 같으니,
人無有不善
사람은 선하지 않은 사람이 없으며
水無有不下。
물은 낮은 데로 흘러가지 않는 것이 없습니다
今夫水 搏而躍之
지금 물을 쳐서 튀어 오르게 하면
搏(박) : 치다. 잡다. 躍(약) :뛰다. 뛰어오르다.
可使過顙;
사람의 이마를 부딪치게 할 수 있고
顙(상) : 이마.
激而行之 可使在山。
물을 막아서 거슬러 올라가게 하면
산에 있게 할 수 있지만
激(격 ) : 부딪쳐흐르다. 흘러들다.
是豈水之性哉?
이것이 어찌 물의 본성이겠습니까?
其勢則然也。
외부에서 가하는 힘이 그렇게 한 것이지요.
人之可使為不善
사람이 불선을 하게 되는 것도
其性亦猶是也。」
그 본성 역시 이것과 같은 현상입니다.」
다음 2회차 예고
生之謂性 생지위성
생리적인 본능을 성(性)이라 이른다.
| |
첫댓글 좋은말씀 고맙습니다 .
인간의 본성은
선하느냐
악하느냐
선하지도
악하하지도 아느냐 같고
나름대로 견해를 갖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어느 말도
틀리지 않고
그렇다고
다 맞는 말도 아닙니다.
상황에 따라
이럴 수도 있고
저럴 수도 있기 때문입미다.
오늘날도
해답이 안 되는데
그당시야
어떻겠습니까?
고맙습니다.
문천님...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잘 감상합니다.
맹자에서도
이 고자편은
읽어볼 만한
편제입니다.
오늘낳처럼
이기주의가 팽대한 세상레서는
필히 한번정도는
읽어보고
판단해보는 것도
좋은 일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즐거운 시간 되시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