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나는 것을 ‘열 받는다’
라고도 한다.
진화 과정에서 생존을 위해
특별히 힘이 더 나는 상태에
들기 위해 ‘화’라는 감정이
생겼다고 한다.
기운을 쓰면 열이 나는
이유다.
미시(微視)의 세계는 항상
열 받은 상태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원자나 분자들의 열
운동을 이해하는 데
커다란 공헌을 했다.
그의 이론으로 계산하면
섭씨 27도의 주전자 속 물
분자는 주변 물 분자들과
지속해서 충돌하고,
매번 부딪힐 때마다 평균
초속 370m로 날아간다.
공기 중 음속보다 빠르다.
하지만
물속에서 어디로 가랴.
분자 크기의 고작 100분의 1
정도 전진하고 다른 물 분자를
친다.
초만원 지하철에서 주변
사람과 이리저리 부딪히는
격이다.
섭씨 100도가 되면 충돌이
더 심해져 물 분자들이
수증기로 변해 대량으로
튀어나가는데,
이것을 ‘끓는다’라고
정의한다.
이런 무작위적인 열운동은
생명 현상의 원동력이기도
하다.
20세기 최고 과학자 중
한 명인 리처드 파인먼은
“생명체들이 하는 모든 일은
원자들의 지글보글
(jigglings and wigglings)
로 이해할 수 있다”고 했다.
생명은 지글보글의
무질서에서 질서를 자아낸다.
화나는 것이 생존을 위해
필요했던 것처럼
이를 제어하는 이성과
침착함도 생존에 필수다.
이성적 판단은 질서를
자아내는 생명 현상의
인지적 반영이다.
간혹 화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이지만,
이 상태에서
냉철한 판단과 행동을 해야
우리 정신의 기능을 원래
목적대로 활용할 수 있다.
치매 같은 뇌 손상이 오면
사람의 성격이 변하기도 한다.
뇌도 신체 기관이라
건강을 관리하듯
마음 상태도 수양하면 조절이
가능하다.
신체 건강의 변화는
알아보기 쉽지만,
마음의 변화는 금방 알기
어렵다.
하지만
좀 더 참고 기다려보면
대인관계나 행복도의
변화 등으로 느낄 수
있으리라.
...............................
[황원묵의 과학산책]
황원묵 미국 텍사스 A&M대
생명공학부 교수.
2023.4.6(목)00시48분.
中央日報
카페 게시글
일반 게시판
마음의 지글보글
손충식NEW
추천 0
조회 80
23.04.06 07:15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