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숙도 대교(부산 남단)
[2024년 11월 29일(음:10월 29일)일출
07시:26분.일몰17시 15분]
금요일인(29일)은
전국이 대체로 흐리고.
충청권과 전라권, 경북권,
제주도에 비 또는 눈이 내리겠으며.
경남 서부 내륙은 새벽까지,
수도권과 강원 내륙·산지는
오후부터 밤 사이 가끔
비 또는 눈이 오는 곳이 있겠습니다.
아침 최저기온은
영하 7도 ~ 영상 6도,
낮 최고기온은 영상 3도~12도 로
어제와 비슷하겠습니다.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75호 광장에서
사하구 신평동 66호 광장을 연결하는 다리.
을숙도 대교는 준공 전에는
명지 대교로도 불렸으나,
이름을 공모하여
을숙도 대교가 되었다.
을숙도
생태 공원을
지나간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을숙도 대교는
총 길이 5,205m에
교량 구간이 3,605m이며
폭은 25.5~35m로 왕복
6차선으로 조성되어 있다.
총 사업비는
4,200억 원이 들었다.
을숙도 대교는 부산 신항과
기존 부산항 간의
항만 물동량의 원활한 수송과
물류 비용 절감을 위한
항만 배후
도로로 구축되었으며,
부산·진해
경제 자유 구역
주 진입로
역할을 수행하고,
녹산 공단과 신호 공단 및
경제 자유 구역 등
서부산권 지역의 출퇴근
이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고자 건립되었다.
을숙도 대교는
1993년 12월부터 길이 3.7㎞,
폭 35m[왕복 8차선]의
도로로 도시 계획
시설[도로]
결정 및 지적 고시 되었으나,
일부 구간이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를
통과하여 훼손 위험이 있다는
환경 단체의
반발로 착공이 지연되었다.
2002년 3월 4일
철새 도래지를
우회하는 방안으로
건설 계획을 변경한 이후에도
여러 차례의 조정을 거쳐
2005년 1월 31일부터
2009년 10월 29일까지
공사가 진행되었다.
2009년 10월 30일
조기 개통식을 거행하고,
2010년 1월 30일
준공하였으며,
동년 2월부터
운영이 개시되었다.
...
을숙도 대교는
자동차 전용 도로로
을숙도 철새 도래지의
훼손을 최소화하고
자연 친화적인 교량을
건설하기 위해
곡선 구간으로 설계를
변경해 건설되었다.
유료 도로로 을숙도 대교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2010년 2월 1일부터
2040년 1월 31일까지
30년간 요금을 징수한다.
통행료는 경차 500원,
소형차 1,000원,
중형차 2,400원,
대형차 3,100원이며
중대형차는 하이패스 이용 시
요금이 감면된다.
2012년 기준으로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의
교통량은 2만 7501대로,
전년 대비 11.8% 증가하였다....빵긋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75호 광장에서
사하구 신평동 66호 광장을
연결하는 다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