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냉랭한 민심, 불붙지 않는 野 ‘방탄 탄핵’ 시위
주말인 지난 9일 서울 광화문 일대에서 민노총의 ‘윤석열 정권 퇴진 1차 총궐기’와 촛불행동의 ‘촛불대행진’, 더불어민주당의 ‘2차 국민행동의 날’ 등이 진행됐다. 이들 좌파 진영은 시위에서 윤석열 대통령 퇴진 등을 요구했지만, 대중적 열기는 불타오르지 않았다. 오히려 집회 규모가 줄어드는 현상마저 나타났다.
이날 집회 참석자들은 집회가 끝나자마자 타고온 버스를 타고 현장을 떠났다. 민주당은 지난주와 이날 집회 참석 인원을 각각 30만 명, 20만 명이라고 주장한 반면 경찰은 1만7000명과 1만5000명으로 집계했다. 이재명은 민망한지 "경찰은 어떻게든지 우리 집회 참석자 숫자를 줄이려는 권력의 주구(走狗)"라고 주장했다.
통계 수치 자체보다 중요한 것이 ‘추이’라는 것은 상식이다. 이번 집회의 규모는 민주당 집계를 보더라도 30만 명에서 20만 명으로 1주일 만에 3분의 1가량 줄었다. 경찰 집계에서도 감소세는 감출 수 없다. 집회를 직접 본 사람들의 의견은 경찰 집계인 1만5000명 정도가 실제에 가깝다는 것이다. 최근 발표된 데일리안의 ‘이재명 방탄을 위한 집회’에 대한 여론조사 역시 동의가 36.2%, 반대가 59.2%로 부정적인 의견이 더 많았다.
이들의 집회는 투쟁 목표도 분명하지 않다. 민주당은 소속 의원 개인 차원에서 대통령 탄핵을 거론할 뿐 이 주장이 당론은 아니라고 부정하고 있다. 탄핵 주장이 불러올 반작용과 후폭풍이 두려운 것이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 탄핵이나 퇴진 등 정치적 부담이 큰 주장은 민노총이나 촛불행동 그리고 조국당 등에게 맡기고 있다. 조국은 10일에도 대통령의 ‘임기 반납’을 주장했다.
민주당이 가두시위를 통해 실제로 노리는 것이 이재명의 1심 판결을 앞둔 사법부에 대한 ‘무죄 선고’ 압박이라는 것은 모르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이들 집회가 대통령 퇴진을 노린다면 사실상 대선 불복에 이은 헌정 중단 쿠데타이며, 이재명 무죄를 노린 압박이라면 사법 질서 파괴 책동이다. 어느 경우라도 민주당은 정당 해산 요건에 해당한다고 봐야 한다.
민노총은 좌파의 핵심 무력으로 활동해왔으나 최근에는 투쟁력이 눈에 띄게 약화됐다. 이번 시위도 부득이한 면피성이라는 관측이 많다. 공무집행방해 등으로 연행당한 10여 명은 집행부의 이런 깊은 뜻을 모르는 ‘소모품’들일 것이다.
관련기사
자유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