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2년정도 IBM시스템을 다루어오다가 이번에 회사에서 SAP를 도입한다고 해서 SAP 프로젝트에 암껏도 모르고 참여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조금씩 SAP에 눈을 뜨고 있습니다. 아직 SAP 교육은 받질 못했구요
윗분께서 답글다신것에 대해 의문나는 사항이 있어서 이렇게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현재 프로젝트를 하면서 조정계정과 S/P GL계정의 관계등을 알게 되었는데 여기서 알게된바로는 하나의 VENDOR 코드에는 하나의 조정계정밖에 설정할수가 없다고 하더군요 만일 다른 계정을 사용해서 전표를 생성하고 싶다면 S/P GL을 사용해야 하구요
예를 들면 1000 이란 VENDOR로 외상매출(국내)를 생성할때는 RECON ACCT를 1000000(외상매출(국내))로 정의해서사용하고 선급금 처리를 하고 싶으면 S/P GL을 10000001(선급금)로 정의해서 사용한다고 하더군요
이글을 읽고 VENDOR코드에 여러개의 RECON ACCT를 정의해서 사용할수 없냐고 물어보았더니 그렇수 없다고 합니다.
지금 많이 혼란한 상태입니다. 어느쪽 말을 믿어야하는지 아마 님께서는 VENDOR에 RECON.ACCT를 여러개 정의해서 사용해보았을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VENDOR코드에 여러개의 RECON ACCT를 정의하는 방법이 어떤것인지 방법좀 알려주세요 그럼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P.S : MM모듈을 타고오는 경우와 FI나 SD를 타고 오는 경우에 RECON.ACCT를 정의할수 있는 갯수가 다른가요?
제가 정확히 아는지늠 모르지만 아는데까지만 리플을 답니다.
더 아시는 분들이 보완해주시면 좋겠군요
우선 down pament를 적용할 수 있는 범위는 AR, AP라고 보여지네요.
그리고 Vendor와 Customer로 관리하겠다고 생각하는 계정범위까지
관리할 수 있습니다.
선금금이건 선수금이건 선급비용이건 해당 계정을 마스터로 관리하겠다고 결정한다면 다 선택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선급비용을 Vendor로 관리할 것인지 아니면 GL로 관리할 것인지에 따라 Down payment의 범위가 달라진다는 것이지요.
그리고 recon.acct와 special G/L을 사용할 경우 모두
같은 Vendor코드로의 사용이 가능합니다.
Vendor 코드 하나에 recon.acct를 여러개 설정하여
전표 생성시 선택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으며
special G/L을 사용하면 posting key와 Indicator 코드에 따라
같은 Vendor코드에 대한 계정 값이 사전에 설정한 계정으로 자동
설정되도록 되어있습니다.
사이트 구축의 예를 들면)
recon.acct를 설정하여
"외상매입금, 미지급금, 미지급비용"등의 계정을 선택할 수 있으며
special GL을 설정하여
"선급금, 임차보증금, 가지급금, 선급비용"등의 계정을 선택하여
사용하였습니다.
첫 게시입니다.
다소 부족하더라도 양해바랍니다.
--------------------- [원본 메세지] ---------------------
down payment 에 대해 질문좀 드릴려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