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레임 : 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오해와 편견으로 가득 찬 세상에서
후회하지 않고 현명하게 사는 법
1995년, 미국 코넬 대학교 심리학과 연구팀이 1992년 올림픽 메달리스트들이 메달 색깔이 결정되는 순간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 분석했다. 분석 결과, 동메달리스트의 행복 점수는 10점 만점에 7.1로, 은메달리스트의 행복 점수는 4.8로 나타났다. 객관적으로 보면 은메달리스트가 동메달리스트보다 더 큰 성취를 이룬 것이 분명한데 감정은 이와는 반대였다.
그렇다면 왜 은메달리스트가 동메달리스트보다 불행한 것일까? ‘프레임: 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최인철 지음, 21세기북스)의 저자 최인철 교수(서울대 심리학과)는 그 이유를 자신이 얻은 것과 얻을 수 있었던 것을 비교하는 비교 프레임의 작용 때문이라고 말한다. 은메달리스트는 “내가 거기서 한 발짝만 더 나갔어도 금메달이었는데….” 하고 금메달리스트와 자신을 비교한다. 하지만 동메달리스트는 까딱 잘못했으면 ‘노메달’이었기 때문에 동메달을 땄다는 사실에 큰 만족감을 느낀다. 즉 비교의 프레임을 통해 현실이 다르게 보이는 것이다.
‘프레임(Frame)’은 흔히 창문이나 액자의 틀, 안경테를 의미한다. 이것은 모두 어떤 것을 보는 것과 관련이 있다. 심리학에서 ‘프레임’은 ‘세상을 바라보는 마음의 창’을 의미한다. 어떤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 세상을 관조하는 사고방식, 세상에 대한 비유, 사람들에 대한 고정관념 등이 모두 여기에 속한다. 마음의 창인 프레임은 특정 방향으로 세상을 보도록 이끄는 조력자 역할도 하지만, 동시에 우리가 보는 세상을 제한하는 검열관 역할도 한다.
이 책의 저자 최인철 교수는 심리학을 연구함으로써 자신의 한계를 깨닫게 되었다고 말한다. “심리학은 우리 마음이 얼마나 많은 착각과 오류, 오만과 편견, 실수와 오해로 가득 차 있는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동시에 이런 허점들이 프레임이라고 하는 마음의 창에 의해서 생겨남을 증명하고 있다.” 즉, 심리학이라는 학문이 우리가 가진 한계를 깨닫게 해주는 동시에 그 한계 밖으로 나갈 수 있는 가능성 역시 보여준다는 것.
하버드 대학교 존 구어빌 교수의 1998년 연구는 우리의 판단에 얼마나 오류가 많은지 보여준다. 회사에서 한 구호단체에 기부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사원들에게 1년간 기부할 의사를 물었다. 한 팀에는 연간 30만 원의 기부액을 제시했고, 다른 팀에는 매일 850원의 기부액을 제시했다. 그 결과 연간 기부의 경우 30%만이 기부 의사를 밝혔지만 일일 기부의 경우 52%가 기부 의사를 밝혔다. 그렇다면 매일 기부하겠다고 한 사람들이 더 착한 사람들인가? 그건 아니다. 850원이라는 ‘푼돈 프레임’이 사람들의 마음을 가볍게 만든 것뿐이다. 선행은 선한 의지만으로 부족할 때가 있다. 그래서 선한 행동을 하게 만드는 프레임이 필요한 것이다.
최인철 교수는 프레임을 이해하는 것이 ‘일종의 마음 설명서’를 이해하는 것과 같다고 주장한다. 그는 자신의 배웠던 심리학의 지혜를 독자들에게 알려주려고 한다. “자신의 한계를 깨달았을 때 경험하는 절대 겸손, 자기중심적 프레임을 깨고 나오는 용기, 과거에 대한 오해와 미래에 대한 무지를 인정하는 지혜, 그리고 돈에 대한 잘못된 심리로부터 기분 좋게 해방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출판사 : 21세기북스 (실용출판유닛)
-당첨인원 : 20명
-이벤트기간 : 6/22~28 (29일 발송 예정)
-회신메일 : chokj@book21.co.kr (질문답변, 배송정보-성명,주소,연락처)
- 이벤트 질문 : 지혜롭게 살기 위해서 가져야 할 프레임이 아닌 것은?
- 답변 :
1. 매일매일 남들보다 뭐가 못한지를 생각하는 비교 프레임을 가져라
2. ‘지금 여기’의 프레임으로 현재의 순간을 충분히 음미하고 즐겨라.
3. 긍정적인 말을 사용해 긍정적인 프레임을 만들어라
4. 위대한 반복의 프레임을 실천하라
책 잘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 도착했습니다!! 기대도 못 했는데,, ^^ 책 선물 잘 받았습니다!! ^^ 잘 읽고~~ 소중하게 잘 간직하겠습니다 ^_^
감사합니다. 책 잘 받았습니다. 또한, 잘읽었습니다. (독후감: 세상의 모든것은 보는 관점이 결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