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62/2_cafe_2008_02_20_08_15_47bb632052192)
이 사진의 은행나무분재는 약 25년전에 어느밭둑에 부러져 버려진 어린은행나무를 분에 올려 분재로키워 갖고있는 나무의 사진입니다.
오늘은 이 은행나무에 대하여 .........................
식물에대한 전문가가 아니면 보통 식물의 학명을 잘알고 있거나 늘 크게 신경쓰고 사는 이는 그리 많지 않을것입니다. 그런데 가끔은 더넓게 관계하다보면 어쩔수없이 학명을 말해야되는 때가 있지요, 예를 들면 이름이 같다고 같은 나무가 아니며 학명이 같아야 같은 나무 이니까요.
세상살이가 가끔은 상식을 벗어난일이 생기기 마련이고 인간 누구나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실수를 하기 마련인법 이지요. 이렇게 말 하는것은 식물 학명에도 이런일이 있어서 지요,
내용은 은행나무의 학명이야요, 은행나무의 학명은 Ginkgo biloba L 인데. 이학명을 붙인 사람은 우리가 많이 들어본 린네이지요. 린네는 동식물체계를 정립한 세게적인 식물 학자인데, 이렇게유명한 사람도 실수를 하고산다는 것이지요. 이학명의 세 단어중 앞의 두단어가 나무의 특징을 드러내는 것으로 앞의것이 속명 다음것이 종소명이고, 마지막이 학명을 붙인 사람이라지요, 앞의 두단어가 학창시절 생물공부를 할때 많이 들어본 二名法이구요. 보통속명은 대문자로시작하고 종소명은 소문자로 쓰며. 그리고,글씨는 반드시 이탤리체로 써야한다는 법칙이 있답니다.
이 은행나무의 속명을 의미하는 Ginkgo는 은행나무라는 일본어에서 왔는데. 일본어의 Ginkgo는 銀杏(ぎんなん)이 아니고, 銀行(ぎんこう:긴코-)이지요, 엉뚱하게 진짜 銀杏은 Ginnan이랍니다. 그러니까 銀杏을 銀行으로 잘못쓴것이지요. 일본말에 미숙한 식물학자의 실수로 붙여진 학명이 지금껏 전세계적으로 쓰여지고 있다는것이랍니다. 조금 깊이 들여다보면은 은행나무는 銀杏으로쓰고 이쵸-(いちょう)라말하고 열매는 같이 銀杏이라쓰고 보통 긴난(ぎんなん: ginnan)이라 말한담니다. 표현이 서툴러 잘 이해가 갈런지요. 끝까지 읽어주신분 하루종일 좋은 일만 있으세요.
첫댓글 일본이름에서 왔군요. 그러고 보니 발음이 그렇군요. 전 또 중국이 원산이라 하니 중국에서 알려졌을 거라 생각했거든요. 중국도 뺏긴 게 많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