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닐/멀/칭/재/배/기/술 |
느타리버섯 비닐멀칭재배가 현재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균상관리의 어려운 점을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는 느타리버섯 비닐멀칭재배는 병해방제 뿐만 아니라 수량과 품질에서 관행의 재배방법으로 생산되는 버섯과는 비교할 수 없게 하였으며 특히 여름 느타리 비닐멀칭 재배는 개체로 발생되는 여름느타리버섯을 다발로 발생되게 하여 노동력 절감효과와 품질의 우수성으로 버섯의 연중생산 체계를 이루었다. 느타리버섯 비닐멀칭 재배에 사용되는 멀칭비닐(지름 10cm, 간격 10cm)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으므로 멀칭용 비닐제조에 드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되었다.
|
|
그림 1. 비닐멀칭재배 방법에 의한 느타리버섯과 여름느타리버섯 |
|
ㅁ 버섯의 재배시기 및 품종 |
우리나라의 버섯재배시기는 기온이 대체로 낮은 가을부터 이듬해 봄까지 재배를 하고 있으며 이때의 느타리버섯 품종은 Pleurotus ostreatus 이다. 대부분의 농가에서는 기온이 높은 계절에는 양호한 품질의 버섯을 생산할 수 없으므로 재배를 하지 않고 있다. 그래도 우리나라의 여름철 더운 기온에도 버섯이 발생되는 품종은 개체로 발생되는 Pleurotus sajor-caju종들이다. 이 버섯의 특징은 높은 온도에서도 균사생장과 자실체의 형성이 대체로 잘 되는 버섯이다. 그러나 자실체 발생이 다발로 발생되지 않고 한 개체씩 발생하기 때문에 수확 시에 노동력이 많이 들고 버섯의 생장 또한 빨라 하루종일 버섯 수확하는데 시간을 보내야 한다. 높은 온도에서는 갓의 색택이 백색에 가깝게 됨으로 저온기의 버섯품질에 비해 상품적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시장성이 높지 않아 농가의 소득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버섯도 비닐멀칭으로 재배가 가능하며, 현재 품종으로 등록된 느타리버섯은 비닐멀칭으로 재배가 가능하지 않은 버섯은 하나도 없다. 모든 품종이 비닐멀칭 방법으로 재배하면 기존의 품종 특성보다 한층 질높은 품종으로 만들수 있는 방법이 비닐멀칭 재배법이다. |
|
ㅁ 비닐멀칭재배 |
느타리버섯 비닐멀칭재배법은 98년도에 개발되어 현재 농가에 보급되어 늘리 사용되고 있다(농업기술 1999년 3월호; 2000년 7월호 참조). 여름느타리 비닐멀칭 재배가 성공함으로 인해 이제는 여름철에도 봄 가을에 재배하는 느타리버섯과 비슷한 버섯을 생산할 수 있게 되어 느타리버섯의 연중 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비닐멀칭을 하기 위해서는 배지의 발효상태가 성공여부를 결정지어 준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반드시 발효가 잘된 배지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
|
ㅁ 멀칭용 비닐제조 |
여름 느타리 비닐멀칭 재배를 하기 위해서 멀칭용 비닐을 만들어 직접 가정에서 손수 만들어 사용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는 것이 불편한 점이 되기도 하지만 멀칭용 비닐을 만드는데 한번 숙달되면 2-4시간 정도면 60평 분량의 멀칭용 비닐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최근 느타리버섯 멀칭용 비닐(지름 10cm, 간격 10cm)이 개발되어 시판 되고 있으므로 농가에서 구입이 가능하다. 멀칭재배를 할 경우에는 반드시 구멍의 크기는 9~10cm, 구멍간의 간격은 9~10cm로 하며 구멍부위에 종균을 좀더 접종을 하여 구멍의 가장자리가 뜨지 않도록 하는 것이 멀칭재배의 중요한 점이다. 비닐의 색깔은 투명비닐이든 흑색이든 상관없다. 비닐 상호간의 장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
|
표 1. 멀칭비닐의 규격 |
구멍의 지름(cm) |
구멍사이 간격(cm) |
구멍 수(개/㎡) |
10 |
10 |
25 | |
|
그림 2. 느타리버섯 멀칭용 비닐제조 방법 |
|
|
그림 3. 느타리버섯 균상 비닐멀칭 방법 |
|
ㅁ 배지제조 |
느타리버섯 비닐멀칭재배를 하고자 하는 농가에서는 반드시 배지의 발효를 잘 되게 하여 종균을 접종하고 균상에 비닐멀칭을 해야한다는 것을 명심하기 바란다. 여러 번에 걸쳐 언급한 바 있지만 균사배양 도중에 가스 빼기작업은 할 필요도 없고 하여서도 안된다.이것이 멀칭재배를 할 수 있는 지표가 되는 것이다. 배지의 살균이나 후발효과정에서 배지의 건조를 막기 위해 비닐을 배지에 씌우는 농가가 많이 있다. 이는 발효하는데 상당한 저해요인이 되며 오랫동안 발효를 하여도 발효가 잘 되지 않는다. 수분의 증발을 막기 위해 부지포 같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지의 수분 증발을 걱정하여 입상할 때부터 배지수분을 과도하게 많게 하여 혐기발효가 일어나게 하는 현상도 있다. 이는 균사배양 도중에 가스 빼기작업을 해야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배지의 수분은 너무 적어도 안되고 너무 많아도 안됩니다. 수분정도는 75%정도가 적당하다. |
|
ㅁ 느타리버섯 비닐멀칭재배의 효과 |
느타리버섯 비닐멀칭 재배는 균상의 병해방제 효과와 병 발생의 원인이 되는 물고임 현상등을 완전히 해결함으로서 안전한 재배체계가 확립되었다. 그리고 비닐멀칭으로 나타나는 효과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주목할 점은 병해방제, 균상관리의 편리함과 노동력 절감 그 중에서도 버섯의 다발화를 만들었다는 것이다. 특히 여름느타리버섯의 경우 자실체가 하나씩 개체로 발생되는 현상을 멀칭재배를 이용해 버섯이 다발로 형성 되게 하였다. 이로 인해 여름 느타리버서의 단점인 개체발생, 갓의 색깔, 품질 등이 개선되었고, 봄 가을에 재배하는 품종과 비슷하게 되었다. 그리고 어린버섯의 고사가 생기지 않으며, 균상관리의 간편함과 다발화로 인해 노동력이 64%까지 줄어들었다. 장점보다 단점들이 많은 여름느타리버섯 재배에 대해 장점을 가진 버섯재배방법으로 바꾼 방법이 비닐멀칭재배 이다. 비닐멀칭 재배를 한번 해본 농가는 느타리버섯 은 비닐멀칭재배를 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며 현재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최소 5%이상의 수량증수 효과를 올리고 있다. |
|
ㅁ 노동력 절감효과 |
느타리버섯재배를 관행의 방법으로 재배하면 균상 전체에 버섯이 발생하여 수확하는 작업과 균상관리하는 작업에 상당한 시간과 인력이 소비되었다. 그러나 느타리버섯 비닐멀칭재배는 이들의 단점을 없애고 노동력 절감이라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는데 봄 가을에 재배하는 느타리버섯의 경우에는 52%, 여름철에 재배하는 여름느타리버섯의 경우에는 64% 라는 획기적인 노동력 절감효과를 거두게 되었다. 앞으로 여름철에 느타리버섯을 재배 할 경우 비닐멀칭을 실시하여 노동력 투입에 있어 절반 이상의 노동력을 줄일 수 있으며 재배에 관련한 일련의 일들이 매우 간편하고 편리해 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
표 2. 비닐멀칭재배와 관행재배의 특성 비교 |
조사항목 |
재배방법 |
비닐멀칭재배 |
관행재배 |
느타리버섯 |
여름 느타리버섯 |
느타리버섯 |
여름 느타리버섯 |
균상관리 |
편리함 |
편리함 |
어려움 |
어려움 |
버섯품질 |
매우양호 |
매우양호 |
보통 |
보통 |
수확시간 |
짧음(1/2단축) |
아주 짧음 |
김 |
매우 김 |
수확기간(일) |
3 |
3 |
7 |
7 |
버섯다발 |
큼(40-50개) |
79 |
작음(10-15개) |
1 |
균상상태 |
건전함 |
건전함 |
갈색으로 변함 |
갈색으로 변함 |
관수면적 |
20% |
20% |
100% |
100% |
종균접종시간(시간/60평) |
2.5 |
2.5 |
2 |
2 |
종균접종량(병/3.3㎡) |
10 |
10 |
10 |
10 |
버섯발생 |
구멍부위 |
구멍부위 |
균상전체 |
균상전체 |
2주기발생 |
빠름(약7일) |
정상 |
정상 |
정상 | |
|
표3. 느타리버섯 비닐멀칭재배와 관행재배에 관한 수량 및 노동력 투입 비교 |
|
구 분 |
느타리버섯(P. ostreatus) |
여름 느타리버섯(P. sajor-caju) |
|
관행 |
비닐멀칭 |
관행 |
비닐멀칭 |
|
자실체수 |
15 |
33 |
1 |
79 |
다발무게(g) |
117 |
283 |
2.5 |
225 |
자실체무게(g) |
9.7 |
13 |
2.5 |
2.5 |
수량(kg/㎡) |
10.2 |
10.8 |
8.0 |
8.0 |
투입노동력(%)* |
100 |
48 |
100 |
36 |
| |
*균상면적 : 60평 |
첫댓글 정말 감사합니다 아프리카에서 버섯재배를 처음 시도 해보려고 하는데 많은 정보를 알았습니다
좋은내용 쉽게 비닐 멀칭 재배를 한번해 보려고 합니다
내년4월에 한국을 가는데 재배하고 있는데를 하번 보고싶습니다
연락처러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