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주작가님께서주신글]
라면 없는 세상 어찌 살란 말인가?
‘라면왕’ 농심 신춘호 회장이 3월 27일 별세했다. 향년 92세.
신 회장은 1930년 12월 1일 울산에서 태어났다. 롯데 신격호 회장의 동생이다.
1965년 농심을 창업하여 신라면 짜파게티 새우깡을 개발했다. 신라면은 100 여 개국에 수출하는 효자품목이다.
고인에게 실례되는 말이지만 기부에 인색한 롯데 신 씨 일가인데, 임종 전에 입원해있던 서울대학병원에 10억 원을 기부했다.
라면은 사랑이었다.
라면 먹고 갈래요? 아가씨의 이 한마디에, 밤의 뜨거운 역사는 어떻게 할 것인가? 라면은 종종 일탈을 부르는 사랑이었다.
아내가 집을 비웠을 남편은 끼니를 무엇으로 때웠을까?
야근을 마친 후의 헛헛한 속이나 술 마시고 쓰린 속은 어떻게 달랬을까?
갑판 보초를 서면서 라면국물 맛보다가 선임 하사에게 들켜 얼차려 하는 수병의 신세는 어땠을까?
갯바위에 기대어 먹던 라면의 꿀맛은 어떻게 표현할까?
내무반에서 김치를 넣고 끓인 라면은 고향 생각이 나게 했다.
라면이 없었더라면 100만 자취생은 다 굶어죽었을 것이다.
어려웠던 시절 눈물 젖은 라면을 먹어보지 않고는 라면을 말하지 마시라!
라면은 생존이었고 위안이었다. 라면 없는 세상 어찌 살란 말인가?
라면의 유래
국수를 양 기름에 튀기면 좀처럼 부패하지 않는다. 그래서 오래 보관할 수 있다.
면을 튀겨 건조시면 부피가 작다, 포장을 줄이기 위해 꼬불꼬불하게 만든 것이 라면의 시초다.
인스턴트 라면은 중공군이 국수를 튀겨 휴대하고 다니던 것에서 유래했는데. 중일전쟁을 통해 일본에 전해진 것이다.
종이컵에 부슨 라면을 포크로 둘둘 말아 먹는 것에 착안하여, 컵라면을 만들었다는 미국에서는 인스턴트 라면이 일반 라면보다 더 많이 팔린다.
라면의 슬픈 역사
쌀이 부족하여 보리와 밀 등 잡곡을 장려하던 시절이었다.
백성을 굶기지 말라는 선친 인촌 김성수 선생의 유지에 따라 설립한 삼양식품이, 종로 네거리에서 라면 시식회를 열었다.
한국 사람들은 매운 것을 좋아하니 고춧가루를 더 넣으면 좋겠다. 행사에 참가한 박정희 대통령의 말이다.
매우면 물을 켜니 포만감이 생겨, 당시 식량 절약정책에 부합되었다.
60년대는 바지락 칼국수나 감자 수재비보다 닭고기 냄새가 나는 라면이 상전 대우를 받았다.
김치찌개나 된장찌개가 10원이었는데, 라면은 특별한 날에만 먹는 고급 음식으로 30원이었다.
라면은 1963년 9월 15일 태어났다.
전쟁의 상흔이 채 가시지 않은 60년대, 삼양식품 전중윤 사장은 남대문시장에서 한 그릇에 5원하는 꿀꿀이죽을 먹으려고 길게 늘어선 줄을 보았다.
"싼 가격으로 배부르게 먹게 할 방법은 없을까?"
일본에서 라면 제조설비를 들여오면 좋겠는데 외화가 부족한 상태였다
전 사장은 정부보유 달러를 민간인이 사용하기 힘든 상황이라. 나는 새도 떨어뜨린다는 중앙정보부장 김종필(JP)을 찾아가. 백성들을 배 곯리지 말자고 호소했다.
JP는 농림부에서 보유한 10만 달러 중 5만 달러를 쓸 수 있게 주선해주었다.
일본도 전후라 어려운 시기여서 설비를 선뜻 팔려고 하지 않았다.
라면설비 제조회사의 오쿠이(奧井) 사장을 찾아가, 한국의 식량사정이 얼마나 절박한지를 설명하고 도와달라고 했다.
한국 실정은 잘 모르지만, 한국전쟁이 일본경제 재건에 기여한 것은 고맙게 생각한다. 그 덕분에 일본은 잘 살고 있다.
라면 제조설비는 한 라인에 6만 달러인데, 두 라인에 2만5.000 달러에 주겠다.
드디어 삼양의 ‘치킨라면’으로 태어나, 굶주린 백성들의 배를 채울 수 있었다.
아시안게임에서 임춘애 선수가 라면만 먹고 3관왕이 된 것은 사실이 아니었다.
라면에 부연하여
끓는 물에 수프만 넣으면, 매운 맛에 소고기 맛을 동시에 내는 라면은 한국인의 솔 푸드다.
국민 1인당 라면 소비량은 단연 세계 1위. 한 사람이 1년에 70개 이상 소비한다.
인도네시아가 50개로 2위, 이어 일본 중국 미국 순이다.
소설가 김훈은 산문집 ‘라면을 끓이며’에서
배고픈 시절에 홀연히 나타나서, 경이로운 행복감을 싼값으로 공급하는 라면.
맛의 놀라움은 장님이 눈 뜨는 것과 같고, ‘불의 발견’과 맞먹는다.
알프스 융프라우 역은 해발 3454m, 세계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다. 얼큰한 한국 라면을 맛볼 수 있는 곳이다.
라면 사랑이 유별난 한국인을 생각해서, 산악열차 탑승권을 산 한국인에게는 무료다.
몇 해 전부턴 마터호른에서도 한국 라면을 팔고 있다.
이곳에서 연간 판매량 10만개 중 6만개를 한국인이 소비한다.
까꿍
======================================
생각을 훔치는 양상군자(梁上君子).
유능한 예술가는 모방하는 사람이다.
위대한 예술가는 훔치는 사람이다.
생각을 훔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피카소
장쩌민(江澤民) 국가주석이 허난(河南) 성장에게 물었다.
당신은 혹시 가짜 성장 아니오?
짝퉁 생산지로 악명이 높은 허난성을 비꼰 베이징의 블랙 유머다.
짝퉁 천지 중국
부패 척결로 ‘철혈(鐵血) 재상’이 된 주룽지(朱鎔基) 총리는 상하이 회계대학의 교훈 “가짜로 회계장부를 만들지 말지어다.(不做假帳).”를 헌정했다. 그래도 가짜가 판을 친다,
포클레인에 담은 절인 배추
뼈에 종이를 바른 구운 오리
종이로 만든 구두
진흙에 양(羊) 기름을 바른 양초
버드나무 잎으로 만든 차(茶),
심지어 가짜 부부(夫婦)까지
짝퉁 만드는 일을 오래 지속하다 보면 타성에 젖어 부끄러움을 모른다. (始于作僞, 終于無恥)
상품의 인기가 높아질수록 짝퉁이 기성을 부린다.
짝퉁은 신분 상승 욕구를 반영한다. 그래서 명품을 들면 인격이 높아 보인다.
공급의 원칙에 따라 수요가 많아, 위험을 무릅쓰고 짝퉁을 만든다.
엉터리 분유
가짜 계란,
가짜 백신
플라스틱 쌀
물들인 만두
물감을 입힌 귤
마음이 편해야 옷이 편하다. 그래서 비싼 옷이 명품이 된다.
시간이 귀중한 줄 알아야 한다. 그래서 고급시계가 명품이 된다.
좋은 핸드백을 들어야 멋진 여성이다. 그래서 구찌 핸드백이 명품이 되었다.
돈을 쓸 줄 알아야 부자가 된다. 그래서 이태리 장인이 만든 지갑이 명품이 된다.
규현이는 옥순이와 똑 같은 백을 들었다. 정숙이에게 빌린 것인데
그것도 모르고 유명한 이태리 명품이구나!
옥순이 것은 프랑스 제 루이비통이었다. 너무 튀는 것 같아 테이블 밑에 숨겨두었는데, 어떻게 알았는지, 어머! 규현이 것과 똑 같네!
그때 누군가가 “짝퉁이 명품보다 낫구나!
모조(模造)는 나쁜 것만은 아니다.
인류는 모방하고 카피하며 발전해왔다,
잘못된 것을 카피하여 사회를 퇴보 시키고 잘 된 것을 모방하여 새로운 문화를 창조한다.
그래서 어설픈 창조 보다는 잘 된 모방이 낫다고 한 것이다.
한국은 미국이나 일본의 가전제품 대부분을 카피해왔다. 그래서 오랫동안 '모방 국가(copycat nation)' 란 오명을 받았다.
하지만 이러한 행위를 '모방'이나 '도둑질'이라고 하지 않고, '지식 공유(knowledge sharing)'라고 한다.
훔치는 게 통하지 않으면 회사를 아예 통째로 사버려라! 이게 요즘 트렌드다.
스티브 잡스도 윈도 인터페이스를 모방해서 매킨토시를 만들었지 않느냐?
한국이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세계 도처에 널려있는 아이디어들을 모방하고 카피하는 것이다.
까꿍 4/17
========================================
https://youtu.be/PK3LnEaZAoM
=======================================
첫댓글 그때 누군가가 “짝퉁이 명품보다 낫구나!
모조(模造)는 나쁜 것만은 아니다.
인류는 모방하고 카피하며 발전해왔다,
잘못된 것을 카피하여 사회를 퇴보 시키고 잘 된 것을 모방하여 새로운 문화를 창조한다.
그래서 어설픈 창조 보다는 잘 된 모방이 낫다고 한 것이다.
한국은 미국이나 일본의 가전제품 대부분을 카피해왔다. 그래서 오랫동안 '모방 국가(copycat nation)' 란 오명을 받았다.
하지만 이러한 행위를 '모방'이나 '도둑질'이라고 하지 않고, '지식 공유(knowledge sharing)'라고 한다.
훔치는 게 통하지 않으면 회사를 아예 통째로 사버려라! 이게 요즘 트렌드다.
스티브 잡스도 윈도 인터페이스를 모방해서 매킨토시를 만들었지 않느냐?
한국이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세계 도처에 널려있는 아이디어들을 모방하고 카피하는 것이다.
까꿍 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