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 종교 활동은 일제의 온갖 탄압 속에서도 일제의 식민통치에 직접· 간접적으로 저항하면서 민족운동과 연계되어 활발히 추진되었다. 따라서 종교 활동도 민족운동의 한 모습이었다. ◆ 대종교 : 단군 숭배 하는 민족종교 ① 창시(1909) : 나인영(나철) · 오기호 ② 2대 교주 김교헌은 교단을 만주로 이동하고, 교육을 통해(단군신앙으로) 민족의식을 고취함. ③ 무장 독립 운동 전개(중광단 결성 → 북로군정서)
◆ 천도교(3대 교주 손병희는 동학의 명칭을 천도교로 바꿈) ① 제 2의 3· 1 운동 계획(1922.3.1) ② 소년운동 전개 : 소파 방정환(어린이날 제정) 어린이들에게 민족의식을 불어넣고자 힘씀(색동회) ③ 3· 1 운동의 중심적 역할을 함 ④ 민족 계몽 운동 전개(신여성· 어린이· 개벽: 잡지) → 천도교는 언론(만세보)· 출판 · 농촌계몽 등 사회운동 전개를 통해 민족문화의 발달과 수호에 이바지 함.
♣ 민족 종교 : 대종교, 천도교
♣ 3· 1 운동의 중심적 역할을 하였던 종교 : (개신교, 천도교)
◆ 개신교 ① 신사 참배 거부운동 전개 : 우상숭배 반대 투쟁 ② 애국계몽· 민족운동 전개. 교육 및 의료 사업 전개 ③ 3· 1 운동의 중심적 역할을 함
◆ 천주교 ① 사회사업 실시(고아원· 양로원 운영) ② 민중 계몽(경향 등 잡지 간행) ③ 무장 항일 투쟁 전개(의민단 조직) : 의민단은 1919년 간도에서 방우령 등 천주교도가 중심이 되어, 국내의 무력침투와 조국독립을 위해 조직한 항일독립 운동 단체다. 청산리 전투에 참여하였다.
◆ 불교 ① 만해 한용운의 ‘한국불교유신론’ 전개 → 민족 불교를 수호하기 위해 노력(불교의 자주화 추구) : 일제가 우리 불교를 일본 불교에 흡수· 통합하려 하자(한국불교를 총독부에 직속시켜), 우리 불교를 지키는 방법으로 만해 한용운이 제시한 불교 개혁 이론이다. 그는 불교의 순수성을 되찾음을 통해서 불교 본연(本然)의 자세를 지키고, 그것만이 우리 불교를 지키는 길임을 역설(力說)하였다. 즉, 불교계의 사상과 제도의 혁신적 개혁(維新)을 주장함.
◆ 원불교(圓佛敎) : 민족의 자립정신 함양에 공헌 ① 창시(1916) : 박중빈 ② 원불교는 불교의 시대화· 생활화· 대중화를 실현하려던 종교였다. 신앙의 대상으로 불상을 모시지 않고, 삼라만상(森羅萬象)의 근본 진리라고 하는 법신불(法身佛)의 일원상(一圓相)을 둥근 원으로 상징하여 모심. 남녀평등 · 허례허식(虛禮虛飾) 폐지 등 새 생활 운동을 전개하였다. ③ 개간과 저축운동을 전개하여 저축과 근로, 봉사활동, 자립정신 일깨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