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기술서 문제]
1. 회사생활을 하면서 업무가 가장 힘들었을 때의 경험은 무엇이지, 그리고 이를 어떠한 노력을 했는지 기술하시오.
2. 당신은 A부처 위해시설 건설 담당 주무관이다. 최적 부지로 B지역을 선정했는데 지역 주민의 반대가 심하다. 당신은 주민들을 어떻게 설득할 것인지 상세히 쓰시오.
[개인발표 문제]
요즘 청소년들의 은어,비속어 문제가 심각하다. 세대간의 갈등 및 청소년 범죄에도 영향이 있다. 청소년들의 은어 및 비속어 사용 증가에 대한 원인 및 개선방안에 대해 작성하시오.
- 1P : 은어,비속어 사용에 대한 실태에 관한 OO일보 등 4개 덩어리로 된 기사문. 첫번째 기사는 국립어학원에서 언어사용 관해서 조사해보니 인터넷, 모바일 사용에 따른 줄임말 은어 관련된 기사. 2~3번째 기사는 "고등학생 99%가 비속어를 사용한 경험이 있다... 중학생은 ..... " "은어 사용은 초등은 99% 중고등은 97% ...비속어 사용은 초등은 70% (?), 중고등이 60%...(?)" 식의 현황이 줄글 서술. 표나 그래프 등은 없었음.
- 2P : 청소년 은어, 비속어 사용 원인에 대한 요약 자료/보고서 느낌의 글. 수치/현황 관련 표가 있었던 듯.
- 3P : 언어 사용 개선과 관련, 여러 기관에서 하고 있는 언어순화, '바른말 사용하기' 캠페인 등의 내용을 설명한 기사 혹은 리포트 느낌의 3개 덩어리 글.
* "답지는, 전체적으로 제시자료가 상세하게 나온 느낌. 작성용지에 자료 요약하고, 대책방안 절반 정도는 생각한 아이디어 대책을 씀."
[개별면접]
ㅇ PT 및 후속질문
- 발표는 7~8분 거의 맞춰서 한 듯
- 면접위원 3명이 돌아가면서 2~3개씩 질문. 1인은 현황 위주, 2인은 문제점 위주, 3인은 대책 위주로 질문하는 등 서로 배분한 느낌. 대책방안은 아이디어 낸 것 위주로 물었음.
- 꼬리질문까지 질문 양이 상당했음.
- 당시에는 "ㅇㅇ직 경력채용인데 왜 청소년 언어 질문만 계속할까..." 좀 의아했음. 면접위원이 시계를 보며 시간을 맞춘 걸 보니, 아마 규정대로 시간을 맞춰서 돌아가면서 질문을 하는 식으로 형식에 맞춰서 질문하는 느낌.
ㅇ 자기기술서
- 전체적으로 10~15분 이상 한 듯. 질문 아주 많았음
- 1번 질문 관련, 근무 회사 얘기 위주로 꼬리 물고 이야기 흘러감. 질답이 많아서 기억은 다 안나는데, 그냥 편하게 묻고 답하는 내용이었음.
- 2번 상황형 질문은 "구체적인 설등 방안"에 대해서 상당히 많이 물었음. 자기기술서도 완벽하게 작성하지 못했는데, 구체적인 걸 계속 물어서 답변을 잘 한 거 같진 않음.
ㅇ 개별질문
- 민경채에서 윤쌤이 말해준 질문을 거의 그대로 물어봄
Q. 왜 민간에서 공직에 지원했나?
Q. 이직할 거면 사기업도 있는데 왜 공직에 오려 하나?
Q. 공무원 박봉인데 괜찮나? 등등
- 공직가치 질문은 개별질문 중반부 하나 질문함. 정확한 워딩은.....
Q. "이제 공직가치 질문드리겠습니다. 공무원에게 있어 봉사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요즘 들어 봉사의 의미가 더 중요해지는거 같은데..."
- 이후 경력 관련 내용 질문들..... (기술관 면접관이 몇 개)
※ 전체적인 면접 소감
- 전날 밤(7일) 온라인 강의에서 말한 내용과 거의 비슷한 내용의 면접이라고 생각됨.
- 면접 분위기는 까칠하거나 압박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루즈한 분위기...
- 정해진 형식(?)과 배분된 시간에 맞춰서 진행한다는 느낌...
- 국가관이나 현안/이슈에 관한 질문은 전무.
- 기 제출한 경력사항이나 '직무수행계획서'에 대한 상세한 질문은 없었음